블로그

권순선의 이미지

The Art of Project Management : 마음을 움직이는 프로젝트 관리

얼마 전에 이곳에 소프트웨어 개발 프로젝트 관리자의 기본 덕목이라는 제목으로 실행, 의사소통, 권한위임 이렇게 세가지 항목에 대해서 글을 쓴 적이 있습니다. 혹시라도 프로젝트 관리 쪽에 더 관심이 있는 분이 계신다면 얼마전에 출간된 'The Art of Project Management : 마음을 움직이는 프로젝트 관리'를 일독해 보시기를 권해 드립니다. 쉽게 말해서 회사에서 일을 어떻게 하는지에 대해서 설명해둔 책이라고 생각하면 편합니다.

권순선의 이미지

MySQL 라이센스에 대한 고찰

mysql 라이센스에 대해서 얼마 전에 Channy 님의 글에서 다음과 같은 글을 남긴 적이 있었는데 최근 제로보드 업그레이드 등과 맞물려 mysql 라이센스에 대한 불필요한 오해가 많이 발생하는 것으로 판단되어 이에 대한 제 의견을 올립니다.

Quote:

MasterQ의 이미지

Google Intern Open House 2006 을 다녀왔습니다.

P1000481

Google에서 인턴을 하고 있는 친구가 초대해줘서 매년 열리는 Google Intern Open House에 다녀왔습니다. 옆동네에서 일하고 있어서 퇴근후에 Mountain View 로 같이 사는 동생하고 갔습니다. Googleplex는 처음 가보는데 역시 크더군요, 회사라기 보다는 대학같은 분위기가 더 나는것 같구요. 6-7시까지는 식사, 그 이후로는 TechTalk가 있었는데 Agenda는:

GunSmoke의 이미지

Knoppix 한글 프로젝트 인덱스 페이지를 만들었습니다.

http://knoppixko.kldp.net/

Knoppix 한글 프로젝트 인덱스 페이지를 만들었습니다. 특별히 다른 페이지를 더 만든 건 아니지만 이제야 대문이라도 제대로 달았다는 느낌입니다. 제가 유일하게 다룰 줄 아닌 html 에디터인 나모 웹 에디터를 이용해서 만들긴 했는데 역시나... 감각이 부족하다는 것을 인정하지 않을 수 없군요.

antz의 이미지

Kubuntu(6.06)에서 ipod nano 사용기.

윈도우에서 kmplayer로 음악을 듣다가,
Amarok이 얼마나 발전되었는지 궁금해 져서 실행해 보았다.

전에 메모리디스크나 ipod가 자동으로 인식되고
어떤 작업을 할지 물어 보는 창이 나와서 놀랍고 좋았었는데, 오늘은 Amarok이 한번 더 놀라게 했다.

Media Devices 설정에서 ipod, iRiver 지원을 보고 놀랍고 기뻤다.

cinsk의 이미지

Gentoo 시스템 업그레이드

휴가 기간 중에 별렀던? 서버(www.cinsk.org)를 다른 PC로 바꿨습니다. P4 3GHz (cache 256KB) RAM 1GB를 Pentium D (cache 2MB * 2) RAM 2GB로 바꿨습니다.

Pentium D 계열은 dual-core이며, 완전히 독립된 두 개의 core를 제공한다고 합니다. 게다가 각각 core마다 2MB짜리 L2 캐시를 제공합니다. 나머지는 큰 차이가 없어보입니다.

그리고 dual LCD 19inch를 달았습니다. 또 3년동안 쓰던 구닥다리 logitech ball mouse를 logitech 광 마우스로 바꿨습니다. 감촉 좋네요.

moonend의 이미지

MS designs iPod package...를 보고

동영상: http://video.google.com/videoplay?docid=36099539665548298&q=microsoft+ipod

MS가 만들었다고 인정까지 된 이 동영상을 보았습니다.
아무래도 다른 사람들보다는 꽤 늦게 본 것 같았지만... 요즘 본 어떤 것보다 재미있었습니다.
[발표란 이런 식으로 해야... -_-;;]

MS의 패키지 디자인이 이 동영상 하나로 바뀔 것이라고 생각하는 사람이 있을까요...?

권순선의 이미지

오픈 서비스, 오픈 데이터: 웹2.0시대의 오픈소스

현재 우리가 알고 있는 '오픈소스'의 정의는 기업에게는 어필하기 힘들었던 KLDPWiki:FreeSoftware 의 개념을 좀더 확장한 것입니다. KLDPWiki:OpenSource 에서 오픈소스의 정의를 보실 수 있는데 이 정의는 Eric Raymond, Bruce Perens, Larry Augustin 등이 90년대 말에 만들었죠.

그리고 십수년이 지난 지금... 소프트웨어 자체를 사용자에게 배포하지 않으면서 '서비스'만 제공되는 형태의 소프트웨어 산업이 매우 빠른 속도로 커지고 있습니다. 우리가 흔히 이용하는 인터넷 사이트들이 가장 대표적인 케이스입니다. 우리는 포털 사이트에서 제공하는 각종 서비스들을 이용하지만 그 서비스를 구동하기 위해 어떤 소프트웨어가 돌아가고 있는지는 알 방법이 없고 알 수 있는 권리도 없습니다. 소프트웨어의 라이센스 의무는 거의 대부분 소프트웨어 자체가 타인에게 '배포'될 때에 발생하기 때문인데 포털 사이트에서는 소프트웨어를 배포하지 않기 때문입니다.

joone의 이미지

그 정도 보안으로 어디 인터넷 뱅킹을?

얼마전에 이슈가 된 내용이지만.. 다시 한번 구성해봤습니다.
리눅스에서도 어서 빨리 인터넷 뱅킹이 되기를 기원해봅니다.

참고글

http://kldp.org/node/72139?page=1

GunSmoke의 이미지

Knoppix 5.0.1 한글을 배포합니다.

어떤 요청이 있을 때마다 잦은 업데이트를 하는 불편함을 해소하기 위하여 이전 버전과는 달리 한달간의 베타 테스트 기간을 두기로 했습니다.
더 나은 크노픽스 한글을 만들기 위해서 테스트를 도와주실 분들은 한달 동안(8월 말일까지) 크노픽스 한글 베타1을 사용하시고 개선점, 문제점 등을 크노픽스 한글 프로젝트 (knoppixko.kldp.net)에 보고해 주시면 됩니다.

페이지

RSS - 블로그 구독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