블로그

마잇의 이미지

Qt의 자바 바인딩? Qt Jambi가 나왔다고 합니다.

난생 처음 ruby로 프로그래밍에 입문하고 요새는 Qt의 ruby 바인딩을 이용해서 Qt tutorial을 열심히 따라해보는 중입니다. (포트리스 게임 만들기더군요 허허)

KDE, Ubuntu 관련 피드들에 Qt의 자바 바인딩이 발표되었다고 해서 KLDP에도 소식을 알려 봅니다.

http://www.trolltech.com/developer/downloads/qt/qtjambi-techpreview

moonend의 이미지

나를 웃게 만든 티셔츠

kldp의 마스코트가 정해졌다는 말을 듣고, 순간 제가 아는 몇몇 사이트들의 아이콘을 알고 싶어졌습니다.
sourceforge.net에 들어갔는데, 모 나라 디자이너가 만들었는지 상당히 재미없었습니다.
덩그러니 동그라미 하나라니...

하지만 제 눈을 사로잡는 것은 따로 있었습니다.
그 옆에 있던 Think Geek라는 곳의 티셔츠 광고였는데... 이 문구가 재미있더군요.

권순선의 이미지

PHP 핵심 개발자, 프로젝트와 결별

/.에서 읽은 소식입니다. zend 엔진과 php 코어에서 중요한 역할을 해 왔던 Jani Taskinen이라는 개발자가 다음과 같은 이메일을 남기고 php와 결별을 선언했습니다. Jani는 zend 엔진의 핵심개발자이고 php에서는 thread safety system 등 프로그램의 핵심적인 부분을 담당했었다고 합니다. 그가 남긴 메시지는 다음과 같습니다.

권순선의 이미지

GPL v3 2nd Draft, LGPL v3 1st Draft 릴리즈

GPL v3의 두번째 draft와 LGPL v3의 첫번째 draft가 릴리즈되었습니다.

- GPL v3 2nd Draft: http://lwn.net/Articles/193118/
- LGPL v3 1st Draft: http://lwn.net/Articles/193119/

저도 아직 자세한 내용은 못 봤습니다. 누가 보신 분 있으면 내용 추가 부탁드립니다...

권순선의 이미지

Google, SF.net의 대체 사이트 개설

구글에서 F/OSS 개발자들을 위한 호스팅 인프라를 개설하였습니다. 쉽게 말해서 소스포지와 같은 사이트라고 보시면 되겠습니다. http://code.google.com/hosting/

아직은 기능이 그다지 많지는 않습니다. 소스포지와 가장 크게 다른 점은 이슈 트래커(버그 트래커)이고 subversion을 기본 SCM 툴로 제공하고 있습니다. 파일 다운로드나, 홈페이지 호스팅 등의 기능은 아직 없습니다.

1day1의 이미지

배경음악검색 서비스 - 음악의 메타(허브)서비스라 할 수 있을까?

qbox 로 부터 시작된 배경음악검색 서비스들.

찾아보니, 이런것들이 더 있다고 한다.
뮤프리(www.mufree.com), 큐박스(www.qbox.com), 에프송(www.fsong.co.kr), 싸이차트(www.cychart.com), 헬로우뮤직(www.hellomusic.co.kr) 등..
(http://news.naver.com/news/read.php?mode=LSD&office_id=038&article_id=0000337952&section_id=103&menu_id=103)

대부분 별도의 뮤직플레이어를 다운,설치후에 실행시켜 음악을 재생하는 방식이다.

1day1의 이미지

넷피아의 한글키워드 서비스는 이제 정말 끝인가보다.

http://news.inews24.com/php/news_view.php?g_serial=215491&g_menu=020100
참 말이 많은 넷피아!!

이제 IE7 이 나오면서 그 끝을 바라보게 된 것 같습니다.

사실 넷피아의 이상한 행동들은 별로 상관하고 있지 않았었습니다.
그냥 그런 회사도 있구나!! 하는 정도로 무시하고 있었죠.

다만, 그들이 하고 있는 한글키워드 서비스 ( 그들의 주장은 한글인터넷주소 라고 하지만...)

netkit의 이미지

Features

'개발자 우스개 블로그'를 돌리면서, 이번에는 연작물 기획으로 개발자 우스개를 소개할 예정이었습니다만… 방금 들은 어떤 개발자 우스개의 포스가 너무 강해서 소개하지 않을 수가 없군요.

15:04:11 <********> 지금 KDE4 SVN버젼으로 할수 있는 일:
15:04:16 <********> 1. 없다
segfault의 이미지

KWin gets compositing manager support

http://www.kdedevelopers.org/node/2172

KWin도 xrender나 XGL/AIGLX 따위를 백엔드로 지원할 수 있도록 compositing manager가 구현되고 있습니다.
그렇게 되면 KWin도 compiz와 같은 효과를 구현할 수 있게 됩니다.
KDE SVN에 kwin-composite 브랜치가 생기고, KDE 4 버젼에서 아마 쓸 수 있게 될지 싶은데,
아직 백엔드 구현만 되었지 실질적인 그래픽 효과를 만들 개발자가 없어서, 지금 그쪽 관련해서 개발자를 모집하는 모양입니다.

페이지

RSS - 블로그 구독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