블로그

권순선의 이미지

모니위키로 시작된 PC방 고행기

KLDPWiki:KLDP10YearAnniversary 의 가독성이 떨어진다는 지적이 있어서 가독성을 높이기 위해 mac os x safari에서 페이지를 손질하고 있었습니다. 그런데 새로운 페이지를 생성하려고만 하면 로그인 상태가 풀려 버려서 더이상 페이지를 손질하지 못하고 있었습니다. 사실 이것은 KLDPWiki:MoniWiki 의 오래된 버그입니다. 기존 페이지를 고칠 때는 별 문제가 없어서 그냥 잘 되나 했는데 새 페이지를 생성할 수가 없어서 결국 ibook을 덮고 밤 12시경에 주위의 pc방을 찾아 나섰습니다. x86 노트북이 없기에 페이지를 수정하기 위해서는 어쩔 수 없었습니다.

김정균의 이미지

KLDP Validator Service

KLDP 에서는 현재 html validator 와 css validator 서비스를 제공 중입니다. (http://kldp.org/node/47327 참조)

간만에 보니 html validator 가 0.7.2 로 업데이트가 되어 있어서, KLDP 의 validator 역시 0.7.2 로 업데이트를 완료 했습니다.

또한, Web2.0 시대로 오면서 Feed 의 사용이 엄청나게 증가했는데, 이를 validator 할 수 있도록 http://feedvalidator.kldp.org 에서 Feed Validator 서비스를 추가하였습니다.

권순선의 이미지

Andrew Morton도 구글로...

Linus Torvalds와 더불어 가장 잘 알려진 Linux Kernel Maintainer인 Andrew Morton씨가 OSDL에서의 생활을 접고 구글에서 새로운 생활을 시작하기로 했다고 합니다. 다만 그가 기존에 해 오던 Kernel Maintainer 역할은 그대로 Full Time으로 하게 된다고 합니다. 고로 그를 고용하는 고용주만 바뀌었을 뿐 그가 하는 일은 바뀌지 않을 전망입니다.

netkit의 이미지

라이브러리 킬!

윈도 XP 쓰면서 기괴한 문제에 시달리고 있습니다. 노트북을 쓰고 있는데, 과거 약 반 년 전에 데스크탑 쓸 때도 가끔 일어나던 문제입니다.

멀쩡히 잘 되던 프로그램이 어느 날 컴퓨터를 시동하고 켜려고 하니 Segmentation fault("이 프로그램에서 잘못된 연산을 수행하여 종료됩니다. 문제가 지속되면…")를 일으키며 죽습니다. 이때 프로그램을 제거하고 다시 설치하면 잘 동작하기도 합니다. 어쨌든 최근까지 그런 문제가 발생한 프로그램은 그냥 포기하고 봉인하고 대안 프로그램을 찾아서 쓰다가, 오늘 한번 수리에 도전해 보았습니다.

권순선의 이미지

리듬박스 vs. iTunes로 본 오픈 서비스/오픈 데이터의 사례

제가 http://kldp.org/node/72449 에 썼던 오픈 서비스/오픈 데이터에 대해 조금 자세히 씁니다. 오픈 소스와 오픈 서비스/오픈 데이터와의 관계는 오픈소스 음악 소프트웨어인 리듬박스에서 CD ripping을 하는 과정을 통해 예를 들어 설명할 수 있습니다. 실은 리듬박스가 직접 ripping을 하는 것은 아니고 sound juicer가 불려져서 MP3로 ripping을 해 주는데 이 과정에서 ripping할 CD를 인식하기 위해 freedb 서비스를 이용합니다. 그리고 이 과정은 모두 오픈소스/오픈 서비스/오픈 데이터를 이용해서 이루어 집니다.

1day1의 이미지

소니가 대박제품 하나를 출시할 것인가? - mylo

관련글 및 그림링크출처 : http://itviewpoint.com/tt/index.php?pl=1716

PMP 기능에 무선환경을 보완한 정도로 보일 수 있겠지만, 국내의 무선랜환경이 좀더 좋아지면,
언제나 온라인상에 접속해 있을 수 있는 그런 날이 올 것 같습니다.

그동안 PMP, UMPC, 블랙베리 등 마땅한 것을 찾아 다니곤 했었는데, 이 소니의 "마이로(mylo)" 가 해결을 해줄 것 같습니다. ^^

lacovnk의 이미지

indentHelper 제작

indent는 코딩 스타일을 정리해주는 프로그램이다. 여러 언어를 지원한다.

별것 아닌 것 같지만, 코딩 스타일이 다르면 소스 보기가 참 힘들다. 그래서 indent를 잘 써보려고 하는데, 너무나 많은 옵션에 질려버렸다 orz 적당한 스타일(gnu, kr..)을 고르고 덧붙여도 좋겠지만 이왕 하는 김에 선택하는 걸 도와주는 간단한 웹 프로그램을 만들었다.

cinsk의 이미지

C FAQ 한글판 소스 공개

큰 맘 먹고? C FAQ 한글판 소스를 공개합니다. 사실 LaTeX 명령을 잘 알지 못하기 때문에 창피당할까봐 그 동안 공개하지 않았습니다. 물론 저작권 문제도 약간 있긴 하지만.. 이를 계기로 좀 더 많은 분들이 번역 내용이나, 새로 추가한 내용들을 검토해 주시기를 바랍니다.

C FAQ 한글판

권순선의 이미지

우리나라에서는 왜 F/OSS 관련 컨텐트가 별로 없을까

오래전부터 생각하고 있던 내용입니다. 최근에 인터넷 상에서 새로운 컨텐트가 생산되는 가장 활발한 매체는 블로그가 아닐까 합니다. 그래서 블로그에서 주로 어떤 이야기들이 많이 다루어지는가를 여러가지 경로를 통해서 확인해볼 수 있는데 특정한 주제에 대해서 전문적으로 다루는 블로그들 중 기술적인 내용을 다루는 블로그는 거의 대부분 웹과 관련된 것들이고, 그 외의 주제는 거의 마이너리그 수준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페이지

RSS - 블로그 구독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