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전 버전의 우분투를 쓰다보면 backport 저장소는 이름만 있고 실제 패키지가 들어오는 경우는 극히 적었습니다. 백포트 패키징을 하는 패키지 관리자의 수가 절대적으로 부족한 형편이어서 그랬다고 생각해왔습니다. 그러니 저 같은 경우는 자연히 베타 이전에도 개발 버전의 저장소를 탐내게 되었고요.
http://www.gnu.org 의 초기화면 디자인이 변경되었습니다. 별도의 CMS를 사용하지 않고 순수 html로만 구성되어 있는 듯 하여 디자인은 매우 심플하지만 나름대로 상당한 포스를 느끼게 했었습니다. 그런데 시간이 지나면서 관리하기가 힘들었는지, 아니면 뭔가 새로운 디자인이 필요했는지 정확한 이유는 잘 모르겠지만 좀더 현대적인 분위기로 바뀌었습니다.
Stardust는 NASA에서 1999년에 발사한, 혜성의 코마에서 물질을 채집하여 지구로 다시 가져오기 위한 우주선입니다. 2004년 Wild 2 혜성과 성공적으로 만난 뒤, 올해 1월에는 성공적으로 미국 유타 주 사막에 캡슐을 떨어뜨렸습니다.
이 우주선에는 혜성의 물질 외에도 항성 형성 초기의 물질로 여겨지는 성간 먼지(interstellar dust)를 채집할 수 있는 채집기가 달려 있는데, 먼지들이 작아서 찾기가 힘든 모양입니다. 그리고 아직 컴퓨터는 자기가 스스로 이런 먼지들을 찾아낼 능력이 안 된다는군요. 그래서 시작된 것이 Stardust@Home입니다.
KLDP 블로그는 그다지 화려하지도, 많은 기능을 제공하지도 않지만 F/OSS, IT에 관련된 충실한 내용을 담고자 노력하는 분들이 함께 만들어 나가고 있습니다. 혹시라도 이곳에서 블로그를 운영하시고자 하는 분은 이곳으로 어떤 내용으로 운영하실지를 알려 주십시오. 확인 후 개설 여부를 결정하여 알려 드리도록 하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