블로그

atie의 이미지

우분투 Dapper Backport

이전 버전의 우분투를 쓰다보면 backport 저장소는 이름만 있고 실제 패키지가 들어오는 경우는 극히 적었습니다. 백포트 패키징을 하는 패키지 관리자의 수가 절대적으로 부족한 형편이어서 그랬다고 생각해왔습니다. 그러니 저 같은 경우는 자연히 베타 이전에도 개발 버전의 저장소를 탐내게 되었고요.

권순선의 이미지

GNU 홈페이지 초기화면 디자인 변경

http://www.gnu.org 의 초기화면 디자인이 변경되었습니다. 별도의 CMS를 사용하지 않고 순수 html로만 구성되어 있는 듯 하여 디자인은 매우 심플하지만 나름대로 상당한 포스를 느끼게 했었습니다. 그런데 시간이 지나면서 관리하기가 힘들었는지, 아니면 뭔가 새로운 디자인이 필요했는지 정확한 이유는 잘 모르겠지만 좀더 현대적인 분위기로 바뀌었습니다.

moonhyunjin의 이미지

Fedora? 피도러(0) 페도라(X)

전 처음에 레드햇에서 Fedora 소개했을 때 무슨 뜻인 몰라서 사전 찾아보니 발음 기호로 '피도러'로 돼있더군요. 그런데 다들 페도라 페도라 해서 매우 궁금했었습니다. 검색하니 그냥 나오네요.

앞으로 통일해서 썼으면 합니다. 국어국립원에서 그렇다는데 불만은 없으시겠지요? ^^

국어국립원 http://w

feanor의 이미지

Stardust@Home

Stardust는 NASA에서 1999년에 발사한, 혜성의 코마에서 물질을 채집하여 지구로 다시 가져오기 위한 우주선입니다. 2004년 Wild 2 혜성과 성공적으로 만난 뒤, 올해 1월에는 성공적으로 미국 유타 주 사막에 캡슐을 떨어뜨렸습니다.

이 우주선에는 혜성의 물질 외에도 항성 형성 초기의 물질로 여겨지는 성간 먼지(interstellar dust)를 채집할 수 있는 채집기가 달려 있는데, 먼지들이 작아서 찾기가 힘든 모양입니다. 그리고 아직 컴퓨터는 자기가 스스로 이런 먼지들을 찾아낼 능력이 안 된다는군요. 그래서 시작된 것이 Stardust@Home입니다.

chlrbgh0의 이미지

커널 2.4의 interrupt 정리 1

이 글은 O'Reilly에서 출판된 리눅스 커널의 이해를 읽고 개인적으로 정리한 내용이다.

인터럽트 : 커널 2.4에서 인터럽트란 exception(예외)과 일반적인 의미의 인터럽트 두가지로 구분된다.

exception은 예외/프로세스 수행중의 구문에러등으로 인한 인터럽트를 의미힌다. 일반적으로 인터럽트는

프로세스와 비교하여 포함하고있는 컨텍스트가 적어 context switching이 프로세스보다 빠르다. 이는 짧

atie의 이미지

책, 비디오, 빌보드 그리고 스티커...

,
비디오,
빌보드 ^^;;
그리고, 스티커

불과 몇 달전과는 다르게 우분투에 참여하는 방법이 다양해지고 있습니다.

1day1의 이미지

국내 이동통신에서는 더 이상 혁명적인 서비스를 기대하기 어려운가?

http://blog.chosun.com/blog.log.view.screen?blogId=2295&logId=1355045
"자신과의 싸움" 규모가 커지다보면, 어느업종이나 그렇겠지만, 글을 읽다보면 정말 심각한것 같다.

wibro 도 많은 기대를 했었는데, 혜택을 보긴 힘들것 같다.
DMB 쪽도 위성,지상파 - 수도권이외에는 역시 어렵다.

http://kldp.org/node/72662 - 기대하는 이 제품은 무선랜이 되어야 그 진가를 발휘할텐데,

wkpark의 이미지

GD라이브러리 타원그리기에 대한 Bresenham알고리즘 적용

http://kldp.org/node/72772

코드놀이터, 코드퍼즐의 일환으로 제 PC에 묵혀두었던 허접 놀이개를 꺼내보았습니다.
----
GD라이브러리 다들 잘 아실겁니다.

이 라이브러리를 이용해서 pie 챠트를 그리거나 할때 그 얻어지는 타원의 그림을 보면 미려하지 않고 뭉게지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다음과 같은 식입니다.

1day1의 이미지

난 이런 서비스 or 제품 을 원한다.

인터넷을 사용하면서, 생활을 하면서 이런 서비스 or 제품을 원한다.
여러가지가 있지만, 두가지를 말해보면...

RSS 리더기 와 MP3 플레이어 - 있는제품이잖아!! - 그래 그렇지만, 이런 기능이 있었으면해.

1. RSS 리더기
현재는 FF 에서 sage 를 사용한다. 그런데, 사용하다보면(블로깅을 하다보면) RSS 목록이 하나둘씩 늘어난다.

1day1의 이미지

구글은 gmail 을 메일 서비스로 생각하는가?

구글은 gmail 서비스를 하면서 대중(?)의 관심을 받게 되었을 것 같다.
물론 이미 검색으로 자리를 잡고 있었지만, 대중적이지는 않았던 것 같다.(국내만 그런가?)

아무튼 gmail 서비스를 하면서, 정말 메일서비스 자체에 관심을 가졌던 것인가?
어디선가 구글의 gmail 점유율이 2% 정도라고 본 것 같다.

페이지

RSS - 블로그 구독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