블로그

hey의 이미지

TODO 목록을 만들고 계신가요?

아마 많은 분이 TODO 목록을 만들어 보았을 겁니다. 많은 곳에서 - 누구나 - 목록을 만들고 꼭 필요한 일을 필요한 순서대로 하라고들 말합니다. 저도 매일 목록을 만듭니다. 하나씩 지워나가는 쾌감이 좋아요. (실은 그 때문에 이미 일 먼저 해놓고 나중에 목록에 올려서 지우기도 해요.)

hey의 이미지

쓰리(Writely) 투

62%여서겠지만, 쓰리에는 아직 심각한 버그도 있습니다.

그림 파일의 상대 주소 연결

Blog Out할 때의 문제입니다. Blog API를 사용해 문서를 내보내면 그림 파일의 경로가 상대 주소로 되어 있습니다. 앞의 "http://www.writely.com/"을 생략하고 "File.aspx"로 시작되는 식이죠. 구글링해보니 이미 꽤 많은 사람이 호소하고 있는 문제입니다. 외부 블로그 에디터로 마케팅하는 입장에서 보면 심각한 문제일텐데 왜 아직 그대로일까요? 아마도 공식 블로그일(네이티브 포스트가 지원되니까요 - 게다가 구글) 블로거에서도 동일한 문제가 있습니다.
아무튼 이것은 HTML 편집 메뉴에 들어가서 그림 경로의 앞에 "http://www.writely.com/"을 넣어주면 해결할 수 있습니다. 다행히 편집을 해도 주소가 원래대로 되돌아 가진 않습니다.

hey의 이미지

쓰리(Writely)

Writely는 구글이 공개한 웹 오피스 중 하나로 웹에서 동작하는 워드 프로그램입니다. (구글 스프레드시트도 그런 구글 웹 오피스 중 하나입니다.) 이것은 대표적인 웹 2.0 사례로 유명했던 동명의 사이트를 구글이 인수해서 새로 공개한 것입니다.
웹에서 글을 작성하고 모양을 바꾸는 것은 여느 블로그나 게시판에 있는 리치 에디터들의 기능과 같아서 특별할 것이 없어 보입니다. 태터툴즈나 이글루스, 수정에서 사용하는 fckeditor 만 해도 아래에 있는 기능 정도는 웬만하면 다 있죠.

feanor의 이미지

LTposter 0.3

LTposter 0.3 버전을 릴리즈하였습니다.

변동사항:

* 다른 동작을 수행하기 전에 ISBN의 적합성을 검사합니다.
ISBN-10과 ISBN-13의 체크섬을 검사할 수 있습니다.

* 다른 책과 엮지 않고도 책을 등록할 수 있습니다.

* 종종 책이 잘못 엮이던 문제에 대한 임시 회피 방법을
넣었습니다.

* 출판년도 필드를 자동으로 채워넣습니다.

* 국립중앙도서관을 먼저 검색하도록 도서관 검색 순서를
조정하였습니다.

* 데모 HTML을 소스 수정에 맞게 업데이트하였습니다.

* 파이썬 파일의 소스 코드 인코딩이 선언되지 않아 아파치
로그에 에러가 쌓이던 문제를 수정하였습니다.

* 원서명을 찾지 못했을 때 발생하던 UnboundLocalError를
수정하였습니다.

1day1의 이미지

구글은 정말 어디까지 꿈꾸고 있는 것인가? - writely

http://www.writely.com/
이제는 구글 gmail 계정으로 접속하여 사용할 수 있습니다.

훌륭합니다. ^^

http://kldp.org/node/72810 에서도 언급을 했었지만, 정말 그 끝을 짐작할 수가 없네요.
아직 writely 도메인을 사용하지만, 구글도메인으로 옮겨지는 것은 시간문제겠죠.

구글!! 나를 구글서비스에 꽁꽁 묶어둘 셈인가 봅니다.(이러면 안되는데...)

소타의 이미지

SQLiteDBMS 0.5.0 릴리즈

SQLiteDBMS 0.5.0이 릴리즈 되었습니다.
거의 두달동안 손도 못 대고 있다가 0.5.0을 위해 바짝 작업을 했습니다..

0.5.0의 가장 큰 변화는 리플리케이션 지원입니다.
1:n 멀티 슬레이브 방식으로 1개의 마스터 노드와 여러개의 슬레이브가 붙을 수 있습니다. 슬레이브는 readonly 상태가 되며 마스터가 되어 중계 역할을 할 수도 있습니다.

segfault의 이미지

aKademy 2006 - Presentation summary

Presentation summary

Day 1:
Keynotes
* Looking Ourselves In The Eye - Aaron J. Seigo
* The State of the Linux DEsktop - John Cherry, OSDL

KDE4
* Keeping Users in Mind - Ellen Reitmayr
* Plasma: What the Bleep Is It? - Aaron J. Seigo
* Phonons in Solids - Internals and Usage Explained - Matthias Kretz, Kevin Ottens
* Akonadi - The KDE 4.0 PIM Framework - Tobias Koenig
* Decibel - You are not alone!

inureyes의 이미지

(0) 시작하며

KLDP 의 블로그 사용자 모임에 지원하여 공간을 얻은지도 몇 달이 되었다. 원래의 목적이었던 '리눅스 어플리케이션' 소개가 힘들어 글을 올릴 일이 없어졌다. 단기적으로는 설치할 프로그램을 다 설치했기 때문이기도 하다. 머릿속에 리눅스를 다시 깐다는 개념이 없어서 다시 설치하며 스크린샷을 찍을 수가 없다.

joone의 이미지

KLDP 10주년 컨퍼런스..

컨퍼런스 분위기를 스켓치해보았습니다.
그림 속 몇몇 분은 실존 인물을 염두하고 그려보았습니다. :-)

행사 소개는 http://wiki.kldp.org/wiki.php/KLDP10YearAnniversary ,
컨퍼런스 후기는 http://kldp.org/node/73785

참고하세요...

1day1의 이미지

비밀번호와 보안 - 어떤방법이 현명한 방법인가?

http://kldp.org/node/73809
http://kldp.org/node/70568

비밀번호의 암호화

 * 암호화 하지 않고 평문으로 그대로 저장.
 * 내부 암호화로 저장(decode 가능)
 * decode 불가한 암호화로 저장

비밀번호 분실시 처리방법

 * ID 와 비번을 이메일로 보내준다.(초기가입시)
 * 사이트 상에서 주민번호/이름/이메일 정도를 확인하고

페이지

RSS - 블로그 구독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