블로그

segfault의 이미지

KLDraw 0.1.0

KLDraw는 제가 만들고 있는 3차원 LEGO 모델링 소프트웨어입니다. 마우스 클릭만으로 그럴듯한 가상 레고 모델을 만들고, POV-Ray를 통하여 렌더링도 할 수 있습니다.

레고 부품 데이터베이스와 파일 포맷은 LDraw를 사용합니다. LDraw 프로젝트는 레고를 3D로 만드는 프로젝트입니다. 현재 공식적으로는 2500개가 넘는 부품들이 구현되어 있습니다. 관심 있으시다면 http://www.ldraw.org 를 참고해 주세요.

마잇의 이미지

리눅스, 자유 소프트웨어에게 이제 남은 것은 뭐가 있을까요?

전 남은 것은 라이센스 문제만이 남았다는 생각입니다.

근래에 널리 사용되고 있는 배포본들 설명서나 유저 공동체에서 나오는 각종 문서, 팁들을 살펴 보면 상당 부분 라이센스 문제와 연관이 있는 부분입니다.

전 리눅스를 좋아하고 일상적인 데스크탑의 용도로도 널리 사용되기를 바라기 때문에 리눅스에 뭐가 부족한가 자주 생각해보곤 했습니다. 그 중 대부분은 이미 해결되었고 이제 기대를 뛰어넘어 발전하고 있다는 생각입니다. 기술과 노력으로 해결할 수 있는 부분은 이제 거의 해결되었다고 봅니다.

GunSmoke의 이미지

Knoppix General FAQ 문서를 번역했습니다.

Knoppix General FAQ 문서를 번역했습니다. 오역이 있다면 연락바랍니다.
시간이 허락하면 Knoppix.net의 다른 문서들도 번역해볼 생각입니다.

http://wiki.kldp.org/wiki.php/Knoppix/GeneralFAQ

마잇의 이미지

자유 소프트웨어에 대한 오해는 아직 남아 있습니까?

RMS도 다녀가고 해서 이런 주제를 써보기에 적당한 것 같습니다. KLDP에 들르시는 분들의 자유 소프트웨어에 대한 일반적인 견해도 알고 싶었구요.

일단 저는 개발자가 아니고 그와 관련된 일에 종사하지도 않고 있음을 밝힙니다.

하지만 KLDP에 오시는 많은 분들이 개발자이거나 소프트웨어와 관련해서 일을 하시고 계신 것 같은데 이런 생각을 많이들 하고 계시는 것 같습니다.

hey의 이미지

관측이 현상을 교란한다

제 직장에는 꽤 큰 카페가 있습니다. 생과일 주스를 제외하면 모든 음료가 오백원이고, 천오백원짜리 아침 샌드위치 세트를 사러 가면 줄을 서고 있는 이사님들을 만나며, 항시 근무중인 직원들만 해도 서너 명은 될 만큼 카페 사용이 일상적입니다. 간단한 회의는 카페에서 하기도 하고 외부 손님이 왔을 때도 카페로 직행합니다. 하루 중 세 번 있는 집중 근무 시간을 제외하면 카페는 사람들로 가득합니다. 하루에 한 번쯤 카페에 죽치고 앉아서 노닥거리는 것도 일상적인 일이죠.

gtko의 이미지

FCKeditor 좋다,,, 그러나 Frame/frame에서는 쥐약

그동안 미뤄왔던 FCKeditor를 내부 결재,보고서 작성 프로그램에 잘 정비(?)하기 위한 재 작업을 해보았다...ㅋㅋㅋ

로칼에서 단독으로 좋은 성과를 보이고 결과를 Test서버에 올려선 시행을 했더니 바로 툴바 에러를 낸다.

'FCKLang undefined....'

된장, 실제 환경은

frame a +- blank.html
|
+- main.html

Arcy의 이미지

cygwin 설정


cygwin을 사용할때 가장 큰 문제는 한글을 포함한 터미널이다.

hanterm만을 쓰던 5년 전과 달리 putty를 주로 사용하는 지금, cygwin도 sshd를 띄우고 localhost로 putty 접속하여 동일한 터미널 환경을 유지한다.

. cygwin 필요 패키지: openssh / cygrunsrv

먼저 sshd 서비스를 설치한다.

$ ssh-host-config -y

그리고 sshd 를 시작한다.

segfault의 이미지

kdegames4 goes to svg

kdegames의 개발자들이 게임에 쓰이는 아트웍을 전부 svg 기반으로 옮기는 작업을 진행중입니다. 아직 몇 가지 게임들만 작업이 진행되고 있거나 완료된 수준이지만, svn에서 첵아웃하여 직접 돌려본 결과 대부분 작업이 진행된 게임들이 이전과 거의 다를 바 없는 속도로 상당히 쾌적한 게임 플레이가 가능하였습니다. 몇 가지 게임들은 아직 아트워크가 미완성이고 어떤 게임은 아직 렌더링 속도가 느리긴 하지만 앞으로 조만간 고쳐지리라고 기대해 봅니다.

alee의 이미지

자바스크립트로 Vi를 만든다면?

얼마 전부터 개인 위키를 하나 설치해서 사용하고 있는데,
VI를 쓰다가 웹 브라우저의 편집기를 사용해서 글을 쓰려니 영 불편합니다.
그래서 생각해 본 것이, 웹 페이지의 textarea에서 vi처럼 글을 편집할 수 있다면 무척
편리하지 않을까 하는 것입니다.

얼마 전에 올렸던 자바스크립트 한글 입력기를 만들면서 배운 것을 토대로 생각해 보면

ptmono의 이미지

구글 해커 인터페이스 언어

구글의 환경설정의 인터페이스 언어 부분에 '해커'라는게 있군요

설정을 해보니 구글에서 제공되는 언어들이 우주어(?)가 되어버리는 군요.

페이지

RSS - 블로그 구독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