블로그

1day1의 이미지

내가 생각하는 커뮤니티.

http://kldp.org/node/62224 의 글에서 논쟁이 일어났다. 어떤 커뮤니티를 A 라 말할 수 있느냐 없느냐의 문제? 논쟁?
http://kldp.org/node/76864 에서 권순선 님의 커뮤니티에 대한 생각.

위 쓰레드의 글을 보면 그 차이가 바로 각 개인의 커뮤니티에 관한 관점의 차이겠다.

사람마다 커뮤니티를 생각하는 관점은 다르다.

7339989b62a014c4ce6e31b3540bc7b5f06455024f22753f6235c935e8e5의 이미지

Tilda 진짜 투명 패치

gnome-terminal처럼 tilda에서도 컴포지팅 매니저가 있을 때 진짜 투명한 터미널이 나올 수 있게 하는 패치를 만들었습니다.
패치할 때 http://bugzilla.gnome.org/attachment.cgi?id=67669&action=view를 많이 참고했습니다. (거의 베끼다시피;;)
patch 파일과 스크린샷, gzip으로 압축한 우분투 i386용 패키지를 함께 첨부합니다.

권순선의 이미지

2007년 오픈소스 예상

새해 인사를 나누기엔 어색할 정도로 2007년이 벌써 4일이나(!) 지나가 버렸습니다. 제가 워낙에 게을러서 2006년을 차분히 뒤돌아 보는 기회도 갖지 못했고 제때 2007년을 예상해 보는 기회도 갖지 못했는데 비록 조금 늦긴 했지만 2007년에 오픈소스 관련해서 일어날 듯한 일을 한번 상상해 보는 것도 좋을 것 같습니다.

la9527의 이미지

Mdir 리눅스클론. LinM 0.7.12 릴리스

릴리스가 많이 늦었습니다.
2006 년을 넘기지 않으려고 했는데 넘겼네요 ^^;

QT 버전을 준비한다고 하는데, 진행속도가 빠르지 못하네요.
어쩔수 없이 기존 버전에 기능 몇가지를 추가하여 올립니다.

이번 버전에서 Samba 부분이 새로 추가되었습니다.

따라서 Ctrl+R(리모트접근)로 smb:// 이렇게 접근하면 같은

김정균의 이미지

oops-firewall v6.0.0 release

JSBoard 때 부터 해오던 크리스마스 relase 로 올해는 oops-firewall 을 하려고 했는데 좀 늦어서 new year relase 행사가 되어 버렸군요 :-)

6.0 에서 드디어 bridge 를 제어할 수 있도록 변경이 되었습니다. 또한 inboud/outbound 를 확실하게 구분이 되었고요. ssh brute force attack 에 대한 옵션이 추가가 되었습니다.

http://my.oops.org/92

wkpark의 이미지

새나루 1.0 정식판 릴리스

새나루 1.0 정식판을 릴리스합니다~ :)

일단 2006년을 넘기지 않는 것에 만족을 하며, 최종 스냅샷을 그대로 버전만 고쳐 릴리스하였습니다.

== 바뀐점/고친점 ==
* 한자<->한글 reconversion 지원 (기본 IME보다 더 나은 지원)
* 한자 단어사전 지원
* 드보락 지원 (드보락 단축키 on/off옵션 추가)
* 콘솔(명령창) 드보락 지원 (한글 드보락 키보드 드라이버 별도 설치 필요) 한글 드보락 키보드 드라이버 설치법

jachin의 이미지

escaped character ... 어떻게 번역할까?

오늘 김정균님께서 부탁하셨던 validator 의 오류메시지 부분 중 일부의 번역을 마쳤습니다.

번역을 하다가 문득 escaped character 에 대한 번역을 어떻게 해야 할까 하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escaped character 란, C 언어 내에서 문자열 안에 문자값과는 다른 형태의 문자인 \n 이나, \b 등의

'자료형과 일관되지 않고, 돌출된 형태의 문자'를 의미하는 말입니다. Markup Language 에서는

김정균의 이미지

css validator 2006/12/15 cvs version 업데이트

http://jigsaw.w3.org/css-validator 가 드디어 업데이트 되었습니다. 그동안 http://css-validator.kldp.org 가 개발 버전으로 운영되어 오다 보니 디자인이 달라서 이거 뭐에요 하는 질문을 많이 받았었는데, 이제 디자인도 동일해진 관계로 이런 질문은 더이상 오지 않을 듯 싶군요.

한국어 버전을 사용하면 좋은 점은 일단 한글 폰트가 들어가 있을 때 에러가 발생하지 않는 다는 점과 속도가 빠르다는 점이죠. 아직까지 http://jigsaw.w3.org/css-validator 에서 검사를 하시던 분들은 http://css-validator.kldp.org 로 이전하시기 바랍니다. ^^;

권순선의 이미지

오픈소스 활성화를 위해 200만원으로 할 수 있는 일은?

오픈소스 활성화를 위해 커뮤니티가 할 수 있는 일/해야 할 일은 무엇일까요? 좀더 정확히 말하자면, 우리나라에서의 오픈소스 활성화를 위해 KLDP가 할 수 있는 일/해야 할 일은 무엇일까요? 오랫동안 저는 우리나라에서 오픈소스가 그다지 활발하지 않다는 점에 대해 많은 고민을 해 왔는데 정작 그러한 상황을 타파하기 위해서 작으나마 어떤 것을 할 수 있을지에 대해서는 그다지 크게 생각하지 않았습니다.

지리즈의 이미지

노트북을 이용해 듀얼 모니터처럼 활용하기 위한 간략한 지침서.

이 문서는 gentoo위주로 작성되어 있으며, 중상급자들을 위한 간략한 지침서입니다.
구체적인 내용은 생략되어 했으며, 차후에 자세한 Howto는 wiki에 올릴 수 있기를 바랍니다.

기본적인 방향은 이러합니다.
1. 노트북시스템은 데스크탑에서 빌드한다.(gentoo)
2. 노트북을 nfsroot로 사용한다(하드디스크 전력소모를 줄인다)

페이지

RSS - 블로그 구독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