블로그

iolo의 이미지

SCO 칼데라 리눅스 새버전 발표!

http://linux.slashdot.org/linux/06/06/17/2050248.shtml

SCO가 올 연말에 칼데라 리눅스 새버전을 출시한다고 발표했습니다.
발표에 따르면: '신뢰성과 성능을 위한 광범위한 기능들을 제공하기위해, 리눅스 커널 2.5를 코드를 최근에 개발된 SCO의 세계 일류 UNIX 핵심 운영체제에 접목시켰습니다. 기존에 SCO가 소유하고 있는 코드는 최근의 리눅스 커널 릴리즈과는 상반되지만 안정성과 전체적인 경험 측면에서 이득이 되도록 그대로 포함될 것입니다.'

joone의 이미지

밤샘 근무의 슬픔

언젠가였습니다.
밤새 일하다가 사무실 책상밑에서 잠시 눈을 붙였는데,
청소하시는 아주머니께서 이른 아침에 저를 깨우시더라구요..
빗자루로...

슬펐습니다... --;

bugiii의 이미지

차량 도난 사고

오늘 상가집에 갔다가 새벽 1:52분경 흑석동에서 잠시 차를 세우고 한명을 내려준 다음에 잠깐 골목길로 들어갔다가 나왔는데, 차가 없어졌습니다.

정말 한순간에 머리가 띵한게 어찌할 바를 모르겠더군요. 핸드폰도 차 안에 있고... 지나가는 행인에게 폰 빌려서 112에 신고하고 출동한 경찰관 아저씨들과 근처를 뒤졌지만 허탕을 치고 조서를 꾸몄습니다.

thyoo의 이미지

gen_vcproj.py (Source File List -> .vcproj File VC7.1)

* 도입

다양한 Open Source의 덕택으로 처음부터 고생하면서 프로그래밍할 필요가 줄어들었지만 여전히 OS 또는 Compiler간의 Porting을 피할 수 없는 경우가 종종 있다.
수작업으로 VC Project를 만드는 일 만큼 지겨운 일도 드물다.
gen_vcproj.py는 Source File List로 VC7.1의 vcproj File을 생성한다.
vcproj File은 Static Library (Debug/Release), Dynamic Library (Debug/Release) 4가지의 Configuration을 제공한다.

1day1의 이미지

Flickr, google map 의 매쉬업 서비스? - Zooomr

정확히 이야기하면 flickr 같은 서비스에 google map 을 적용시킨것이네요.(flickr + 는 아니고, 자체서비스)

http://digg.com/technology/Why_is_Flickr_Afraid_of_Zooomr_

http://beta.zooomr.com
http://beta.zooomr.com/photos/1150514330_9595/57701/near-by

flickr + google map 의 절묘한(?) 결합.

구글맵에 추가할 수 있게, geoTag 라는 것을 만들어 놓았네요.

1day1의 이미지

google calendar , 구글 개인화 페이지에 추가 지원

http://lifehacker.com/software/google-calendar/google-calendar-adds-homepage-module-and-calendar-publishing-181339.php

http://www.google.com/googlecalendar/new.html

구글 서비스중에 가장 마음에 드는 것이, 구글메일과 구글캘린더 입니다.

구글의 개인화서비스로 http://www.google.com/ig 가 있지만, 약간은 투박한 면도 있고, 쓸일이 없을 것 같아, 이런것도 있구나 하고 넘어갔었습니다.

gtko의 이미지

원가 Cost - 사후원가, 표준원가, 개별원가

ERP 안정화에 막바지인 여러 구성원들의 노력에 비하면(?) 완성도는 얼마나 될지?
참 고민이 많이 생긴다.
시작은 쉬우나 끝이 어렵다는 생각이다.

회사의 원가에 영향을 미친 이 넘의 ERP가 원가에서 빌빌 거리니, 아이러니 아닌가? ^^'

사후원가 기준에서
- 세부 공정별 원가에 막히고,
- 세부 개별 아이템 원가에 막힐테고,

iolo의 이미지

네이티브 코드의 최후?

http://ask.slashdot.org/askslashdot/06/06/12/2044245.shtml

요즘에는 보통 PC들도 가상머신이나 just-in-time컴파일러를 통해 실행되는 인터프리터 언어들로 만든 복잡한 소프트웨어를 실행하기에 충분한 성능을 갖고 있죠. 윈도 개발자의 입장에서, MS가 발표한 윈도 비스타의 시스템 요구사항은 미래의 윈도 박스가 현재의 인터프리터/JIT 방식 언어(예: .NET, 자바, 파이썬 등등)의 메모리/프로세서 요구사항을 비웃는 것처럼 보이네요.

GunSmoke의 이미지

[서평] 재미없는 농담에는 결코 웃을 수 없다.

재미없는 농담에는 결코 웃을 수 없다.
- '은하수를 여행하는 히치하이커를 위한 안내서'를 읽고

더 이상 ‘은하수를 여행하는 히치하이커를 위한 안내서(이하 HGG)’를 읽지 않고 덮어버리기로 결심했다. 이 책에 대한 수많은 찬사 때문에 지나친 기대를 했던 것 같다. 책을 읽는 도중에 덮는 이런 참담한 기분, ‘다빈치 코드’ 이후 참 오랜 만이다.

iolo의 이미지

인텔용 OSX은 오픈소스가 아니었다...

다들 알고 있는데.. 저만 몰랐던 걸까요?

오늘 슬래시닷에서 이글을 읽다보니...
http://apple.slashdot.org/apple/06/06/14/176236.shtml

그 이전에 이 글과
http://www.macworld.co.uk/news/index.cfm?NewsID=14663&Page=1&pagePos=8

이 글이
http://apple.slashdot.org/article.pl?sid=06/05/17/1453206

있었군요.

요는, Darwin/x86은 오픈소스가 아니다라는 거네요.

페이지

RSS - 블로그 구독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