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스템 엔지니어 고민상담실

wonjnlee의 이미지

페도라 코어4로 만들어진 프로그램을 최신버전 23으로 업그레이드 하고싶습니다.

안녕하세요.

리눅스 관련 프로그래머입니다.
페도라 4 core로 만들어진 프로그램을 최신버전 페도라로 다시 컴파일하고싶은데요.
현재 페도라4에서는 커널 2.6.17을 사용하고 있습니다.

그대로 페도라 업그레이드 한 상태에서 컴파일만 하면 되는지 궁금해서요.

현재 프로그램에서 사용하는 기술들은 네트워크 관련된 기술들만 사용하고 있습니다.

답변 부탁드립니다.

astro916의 이미지

시스템엔지니어로 가느냐 어드민으로 쭉 가느냐 고민중에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시스템 엔지니어 3년차 입니다

제가 늦깎이로 시작해서 나이가 꽤 많습니다.

35살이구요

이번에 회사 이직하게 되었는데 리눅스쪽에서는 국내에선 꽤 영향력 있는곳으로 이직 확정이 되었습니다.

회사에서는 실업급여를 해주신다고 신경써주셔서 어차피 실업급여 나오는바에 천천히 알아보려고 했는데요~

게임회사쪽에 시스템어드민으로 (DB도 다룸) 불러줘서 그쪽에도 고민이에요

외국계 회사로 한국지사가 막 성장중인 회사이고 제가 혼자 시스템담당자로 일하게 될거 같구요
(문제는 그 외국인과 영어로 메신저 대화해야 해서... 잘할지 의문)

연봉은 비슷합니다.

장단점은 제 생각에 엔지니어로 일하게 될 리눅스전문 회사는 OS위주로 설치 및 구성등의 기술을 파고들어서 배우기에 상당히 좋을거 같구요

게임회사는 분위기가 좀 좋고 제가 주도적으로 어드민이 되고 영어와 중국어를 배울 기회가 좀 있을거 같다는겁니다

어차피 제나이에 그냥 바로 어드민으로 하는게 나을까요?

criny333의 이미지

udev의 device node 생성 지연에 따른 이슈 고민상담

udev가 디바이스노드 파일을 늦게만들어서,

디바이스 노드파일을 파라메터로한 mounting 명령등이, 부팅스크립트 수행중에 실패할 경우,
어떤 해결방안이 좋을까요?

실력자 분들의 조언 부탁드립니다.

kckjn97의 이미지

리눅스 커널코드 구조에 대해서 이해하고, 커널 모듈을 만드려 하는데 관련 서적좀 추천해주세요

내년에 대학원 연구실에 들어가는데
교수님께 미리 공부할 걸 여쭤봤더니
논문 읽거나,
리눅스 커널코드 보고 공부하면서 수정해보라고 하시더라구요..
논문은 교수님이 추천해주신걸 몇개 읽어보고 공부해보려 하는데
커널은.. 도무지 어떻게 해야할지 모르겠더라구요...
그냥 소스코드를 보면서 ctags로 따라가자니,
자주 쓰이는 자료구조나 함수도 잘 모르니 도무지 분석을 못하겠어요 ㅜㅜ
또 디버깅도 어찌해야 할지 몰라서
printk찍으면서 컴파일하고 돌려가면서 확인하고 있는데
혹시 좀더 효율적인 방법은 없을까요??

지금 딱 C언어 처음배울때의 느낌이에요...
새로생긴 연구실이 선배도 없어서 모를때 물어볼 사람도 딱히 없네요 ㅜㅜ
도서관에서 책을 보려하는데 책이 너무 옛날버전에 대한 책이라
개인적으로 최신 서적을 사려하는데...

yellowstone의 이미지

해외취업 하려고 할때 국제자격증 있어도 학력이 얼마나 중요하나요?

시스템엔지니어 혹은 서버관리자로 진로를 준비 중인 취업 준비생입니다.
고등학교 졸업하고나서 전문대에 진학하려고 하였으나, 현실적인 문제(별 효과가 없는 교육, 비싼 등록금, 영어, 수학 지식 미흡) 때문에 진학을 포기 하였습니다.

혹시 될지 안될지 모르겠지만, 만약에 제가 LPIC,CCNA(추후 CCNP 자격증 취득 할수도 있음), MCSE, IC3, ICDL, MOS, 기타등(RHCE...)등 국제 자격증 취득하고, 고등학교 학력으로 시스템 엔지니어, 서버관리자 직종으로 해외 취업이 가능할까요? 취업이 가능하면, 대우나 급여는 4년제 대학이나 전문대보다 얼마나 차이가 나는지 알고 싶습니다.

nkwlhdlp의 이미지

안녕하세요 문자열 파일저장에 대한 질문입니다.

제가 간단한 명령어 한줄을 실행했습니다. /etc/network/interface 에서 게이트웨이 주소를 추출해서 핑을 보내주는 명령어입니다.
잘동작하는것을 확인후에 따로 파일로 저장을 하고 싶은데 echo를 사용하면 제가 '입력한 명령어'가 아닌 '실행후 출력'이 저장됩니다.
제가 입력한 그대로를(명령어 그대로) 출력하는 방법이 어떤것이 있을까요??
사진 첨부합니다. 감사합니다.

yahao의 이미지

TTFB 문제가 해결되질 않습니다.

ttfb 가 도저히 떨어지질 않아요..

아무것도 없는 static 파일을 단순하게 보내는데 3kbyte밖에 안되는 도메인당 첫번째 파일에서 ttfb가 유독 길게 잡습니다

최소 350ms~3s 까지...
같은파일을 다시 호출한것임에도 랜덤하네요 이것도...
직접 해당 도메인으로 ping을 날려보면 10ms~20ms 밖에 안됩니다.
다른거 아무것도 한거없이 오로지 was(NGINX 1.8)에서 static 파일 날려주는 설정밖엔 되있는것도 없습니다.
관련설정이
기본포맷에서
index index.html index.htm;
이정도로 끝입니다.

근데 또 VPN으로 잡고 HOSTS파일을 private ip로 잡아서 호출하게되면 이 타임이 34ms정도로 짧아지네요..
SSD사용중이면서 vm에서의 2CPU, centos7 최소설치에 nginx 정도만 설치되어있다고 보면될거같습니다.

이젠 도통 무슨문제인지 어디서 문제가 생기고 있는건지 감이 안잡히네요..도움주실 수 있는분 계신가요 혹시..

cds0915의 이미지

HP-UX Trusted 모드에서 default로 사용되는 암호화 알고리즘을 확인하고 싶습니다.

안녕하세요.

OS별로 패스워드 암호화 방식을 정리하고 있는데

HP-UX Trusted 모드에서 사용되는 기본 암호화 알고리즘을 확인해보고 싶습니다.

유닉스 계열인 리눅스, 솔라리스, AIX는 확인을 했는데

유독 HP-UX Trust 모드에서 확인하는 방법은 찾기가 어려워 도움을 구해봅니다.

암호화 알고리즘을 확인하는 명령어 또는 해당 정보를 포함하는 파일 경로를 알고 계신 분 있으면

도움 요청드립니다. 감사합니다.

elvonk의 이미지

gcc 라이브러리들 질문입니다.

Cent 6.5 에서 gcc을 기존 버전보다 높은 버전을 쓰기위해서 4.7을 설치하고 이것저것 시도하는데

아래와 같은 에러가 아직도 절 따라다닙니다..

/lib/libc.so.6: version `GLIBC_2.15' not found와 /usr/lib/libstdc++.so.6: version `GLIBCXX_3.4.15' not found인데

어떻게 해결 해야될까요?

shari83의 이미지

조건부 파일/디렉토리삭제 스크립트 생성을 도와주시기 바랍니다.

현재
1. 윈도우 2012 R2에서 NAS서버 운영중
2. NAS서버 내의 "F:\share\ID\" 폴더를 각 사용자에게 AD를 통해서 부여함
* 사용자의 경로는 "D:\" 임
4. powershell을 통해서 매일 00시 "F:\share\ID\"폴더내의 *.url을 제외하고 모두 삭제하고 있음

문제점
1. WINAPI 이슈로 인하여 파일/디렉토리명 제한이 260자를 넘어가지 못함
2. 사용자의 경로와 NAS 서버의 경로 길이가 상이하여 NAS서버에서 파일/디렉토리를 컨트롤하지 못하는 상황이 발생함

필요사항
1. 테스트 결과 리눅스에서 해당폴더("F:\share\ID\..." )를 연결한뒤 삭제등의 컨트롤이 가능함
2. 상기 powershell에서 구현된 기능을 리눅스 스크립트를 통해서 구현하고 싶음.
3. 빈디렉토리도 가능하면 삭제하고 싶음

페이지

시스템 엔지니어 고민상담실 구독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