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스템 엔지니어 고민상담실

aocheer의 이미지

무엇을 대비해야될까요.


어느분야가야 출세하지요?

미래가 걱정

jun3010의 이미지

RHCE 자격증 취득하면 신입으로 취직시 도움 될까요?

현재 취직 준비를 하면서 서버관련직으로 도움될 자격증 찾다가 RHCE 자격증을 알게 되었습니다.
응시료가 생각보다 비싸던데 취득하게 되면 취업에 도움이 되나요??

scamphan의 이미지

엔지니어의 수명은 언제까지 일까요?

안녕하세요. 나이 32(예정)의 남자입니다.

가입하고 글 쓴적도 없는데... 요새 갑작스런 고민으로 끙끙 앓다가 글 써봅니다.

저는 약 4년간 자그마한 중소기업에서 펌웨어 엔지니어로 일하고 있으며,

임베디드 쪽에 대해서 좀더 깊숙히 공부하려고 하는중입니다.

하지만 요새 미래에 대한 걱정이 듭니다. 과연 임베디드 쪽을 지금와서 해봐야 얼마나 잘 할것이며

그걸로 과연 몇 살까지 일 할 수 있을까하는 걱정입니다.

어떤 분 말로는 요새 펌웨어 엔지니어가 부족해서 오래 갈것이다 라는 분도 있고....

엔지니어란것이 나이 45가 한계다라고 하시는분도 많더군요...

갑작스레 떠오른 이 고민에 요새 밤잠도 설치네요...

명확한 답은 없고 본인의 노력과 운에 따라 다르긴 하겠지만

여기 계시는 분들이 보시기에 '펌웨어 엔지니어' 혹은 '시스템 엔지니어'의 미래는 어떠한가요?

centos의 이미지

mysql-mmm 실무 적용사례

안녕하세요.

참... 신입때 and 년차 초기에 자주 이용했던 kldp 오랫만에 들어와 봅니다!!!
저두 어느덧 이렇게 년차가 차버리고... 나이를 먹어버렸네요 ㅠㅠ
그만큼 실력이 늘었으면 좋겠습니다. ㅋㅋ

본론으로 들어가서...
현재 근무중인 회사에서 mysql dba 역할 까지 같이 맡고 있습니다.

저희 회사는 mysql replication master(write)-slave(read) 형태로 운영 되고 있습니다.
기본적인 2중화 구조이긴 하지만... 단점이 하나있다면. write 가 발생하는 master 가 죽어버린다면...
그야말로 난감한 상황이 발생합니다.

그래서 mysql-mmm을 테스트를 했으며 현재는 테스트가 마치고 실무에 적용할까 고민중입니다.
아시겠지만 mysql-mmm 은 mult master 구조의 오픈소프 제품으로 active master 죽었을때 자동으로 vip 가 stanby master 로 넘기면서 master 유지됩니다.

k1d0bus3의 이미지

서버의 스토리지 디바이스 안정성에 대해

정확하게 서버는 아니지만, SW 빌드용으로 주 100시간 이상씩 사용해왔던 데스크탑 PC가 있습니다.

메인보드: asrock(일년에 1~2번 다운됨), CPU: amd 쿼드코어 (3~20시간짜리 빌드한번하면 조그만 사무실이 후끈거림), 스토리지: 64~500GB 짜리 3~4개 장착

지난 2년간 HDD를 4개쯤 고장냈습니다. 주로 콘솔창에 I/O error가 뜨는 횟수가 많아지면서 서서히(?) 죽습니다.

3.5인치 1개, 노트북용 2.5인치 3개 입니다.

다행히 SSD는 아직 고장난 적이 없습니다.

원인이 뭐라고 보세요? 메인보드의 불안정성? HDD수명? 열기?

집에 가고 싶습니다. 경험담이나 조언부탁드립니다.

achieve_sun의 이미지

안녕하십니까 임베디드 진로에 대한 고민입니다

안녕하십니까!

전역한지 얼마 안된 복학생입니다.

나이는 23으로 2학년 2학기를 다니고 있습니다.

정보통신공학과이고 지금까지 GPA는 3.3(전공은 4.2인데 교양이....)이고

TOEIC은 마지막에 본것이 660점이었습니다

자격증은 하나도 취득하지 않았습니다.

군대가서 제 상황을 보니 정말로 아무것도 안했다는게 뼈속 시리도록 느껴졌습니다.

늦었다고는 생각하지만 제 진로에대해 3학년전까진 정하고 공부하려고 합니다

군대에서 개발자&IT관련책을 정말 여러권을 읽었습니다

각 언어 프로그래머들이나 임베디드 시스템 프로그래머 데이터베이스관련 직종

게임프로그래머 또 개발자는 아니지만 QA 디자이너 여하튼 각종 IT지식이란 지식은 때려 넣었습니다.

그래서 구체적인건 아니지만 대략적으로는 정했습니다

저는 전역하기 전에 임베디드 시스템 프로그래머관련 일을 하려고 결심했습니다

그래서 임베디드 시스템이란 무엇인가부터 시작해서 무엇을 공부해야하는지 찾았습니다

yellowstone의 이미지

시스템 엔지니어한테 서비스마인드와 인내심이 필요하다는 말이 무슨 뜻인가요?

어느 구직 사이트에서 시스템 엔지니어 신입 채용 자격요건에 "마음가짐 (서비스 마인드)이 좋고 인내심이 뛰어난 사람"이라고 되어 있어요.

(필수) 아래 기술 구사 가능한 자
Apache, PHP, MySQL 설치 및 설정
Sendmail, Qmail 설치 및 설정
FTP, NFS, SAMBA 설치 및 설정
BIND 설치 및 설정
- 서버운영 관련 교육 이수자 (전공 또는 학원)
- 마음가짐 (서비스 마인드)이 좋고 인내심이 뛰어난 사람

시스템 엔지니어, 개발자든, 인내심이 필요로 하는데, 저렇게 까지 인내심이 뛰어난 사람이 라는게 다른 의미가 있는 것 같아요. 서비스 마인드는 무슨 말인지 모르겠어요.

시스템 엔지니어 경력 되시는 분 무슨 말인지 답변 바랍니다.

p.s. 저도 슬슬 취업해야 하는데, 채용 조건을 유난히 초대졸 학력을 요구하는 업체가 많군요...
전 고졸인데 걱정이 됩니다. 물론 마음만 먹으면, 전문대 입학은 할수있지만, 등록금 너무 부담이 되요.ㅠㅠ

over0806의 이미지

자동차 프로그래머가 되고싶어요..

전 현재 컴퓨터공학과를 다니고있는 2학년 대학생입니다...

자동차 프로그래밍을 하는 자동차 프로그래머가 되고싶습니다 ㅠㅠ

근데 무슨 공부를 해야하고 자동차 프로그래머가 정확히 무엇인지도 모르겠습니다.

어떻게 해야 자동차 프로그래머가 될수있나요

자동차 프로그래머는 어떤분야인가요 인베디드인가요??ㅠㅠ

제가 조언을 주세요 ㅠ 전 뭐부터 해야하죠 ㅠㅠ

astzlra955의 이미지

진로 조언 부탁드립니다.

안녕하세요.

저는 현재 약 3년차 되는 엔지니어입니다.
30대 초반입니다.

약 2년 반정도 BSP분야 엔지니어로 일하다가,
기존 회사에서 완전히 다른 상위 level의 업무를 부여받게 되어서
경력 연결도 안되고 하여 이직을 하였습니다.

이직한 자리는 외국계 FAE인데요, 사실 트러블 슈팅을 제 업무로 생각하고 이 자리를 받아들인 것인데,
막상 입사하고 보니 거의 기술영업이 주요 업무더라구요..

입사하여 몇달간 소스코드는 거의 본일이 없고요..
이 분야에서는 나름 이름이 알려진 회사이고, 전의 회사보다 기술력도 앞서가고 있어서
트러블 슈팅을하면서 좀 여러방면에서 코드 좀 보고, 몇년 뒤에는 다시 개발자로 이직을하거나,
그 회사에서 계속 트러블 슈팅을 할 생각이었는데, 막상 업무가 전혀 다르다보니 이 상태로 있으면 개발자로 돌아오기는 어려울 것 같아서 고민입니다.

sepiros62의 이미지

선배님들 조언 구해봅니다~!


안녕하세요. 얼마전에 가입한 새내기 회원 입니다^^

올해 서른으로 시스템팀에서 사원으로 근무를 하고 있습니다.

팀내 상사들은 대부분 과장,차장들인데 10년이상의 리눅스 엔지니어 입니다.

격차를 좁히기 위해 공부를 하고 있지만 막막하네요. 과연 저 위치까지 갈 수 있을까? 어떻게 공부를 해야 할까... ?
(참고로, 현재 리눅스, 쉘 프로그래밍, 성능테스트 공부하고 있습니다.)

물론 나이,경력에서 차이가 있지만~! 향후 3년뒤에는 직장상사들과 어깨를 나란히 협업을 하고 싶습니다.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어떻게 무엇을 어떻게 공부해야 할지 현업에 종사하고 계신 선배님들 조언을 구하고자 합니다~!

페이지

시스템 엔지니어 고민상담실 구독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