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스템 엔지니어 고민상담실

ajoucap의 이미지

IT쪽 회사 생활하면서 궁금한 점 몇가지...

저는 공공기관 전산실에서 근무중입니다.
나도 안짤리지만 쟤도 안짤리는 곳이죠.

업무 하면서 이럴때 좀 궁금하더군요.
일부는 전산쪽이 아니라, 일반적인 내용도 있는데
그냥 겸사겸사 여쭤보겠습니다...

1. 개발 쪽 말고 정책 같은거 배우는 전산 대학원
있을까요? 대전이나 서울 쪽에요...
커리어를 그런 정책 쪽으로 좀 일해보고 싶은데요... 전산 관련 정책이나
뭐 그런거 결정하고 연구하는 곳 그런데요...

개발 관련은 대학원보다는 혼자 포트폴리오가 더 낫다고
하더군요. 저는 학부도 전산쪽 나와서, 요새 고민이 있습니다.
저랑 안맞는 사업관리만 계속 하는 편인데, 이게 힘든 일이라 그런지
타인에게 주기도 어렵더군요.

회사에서 대학원 지원해주는데(졸업후 의무로 일하는 기간이 4년 정도 있고,
그전에 퇴사시 지원금 반납해야 함)

dullroutine의 이미지

시스템엔지니어 입문


안녕하세요?

뜻하지 않게 시스템 엔지니어로 다음 주부터 일을 하게 되었습니다.

인프라 운영의 전임자가 나가게 되어 혼자 관리를 하게 될 것 같은데, 지식이 전무해서 막연합니다..

제가 일하는 곳은 IT 회사는 아니고, 프렌차이즈 입니다..

시스템 환경이 가지각색이겠지만 기초적인 부분이라도 찝어주시면 미리 공부하고 임하려고 합니다..

도움 좀 부탁드리겠습니다..

dhunter의 이미지

네트워크 가로채기...?

안녕하세요. 오랜만에 질문좀 드립니다.

x86 윈도 10 PC 로, 회사 PC라 오만가지 보안프로그램이 덕지덕지 깔려있다보니 어떤게 원인일지 모르겠습니다. 서버는 Apache Tomcat, RedHat Linux. 정확한 릴리즈는 까먹었습니다만 상당히 오래된 버전입니다.

꽤 흥미로운 문제가 있어서 질문 드려봅니다.

다른 사람 PC에서는 발생하지 않고, 제 PC에서만 발생합니다.

1. 사내의 특정 웹서버로 GET / HTTP/1.0 을 날립니다. 정상적인 리스폰스가 돌아옵니다.

2. 사내의 특정 웹서버로 GET /cb/ HTTP/1.0 을 날립니다.
리스폰스가 그냥 안돌아옵니다. TCP Socket 도 안 닫히고 그냥 열려있습니다.
서버쪽 로그를 보면, Status 200으로 데이터 수kb를 정상적으로 보내고 종료했다는 로그가 찍혀있습니다.

3. 사외의 다른 웹서버로 GET /cb/ HTTP/1.0 을 날립니다.
별 이상 없이 404가 뜨는군요.

-@Naver의 이미지

안녕하세요 개발자님 저는 IT업체에서 보안정책 담당을 맡고 있습니다. 개발자는 아닌 거지요;; 개발관련해서 궁금한 점이 있어서 이렇게 글을 올려봅니다. 혹시 개발자님 회사에서는 GitHub 등과 같은 Public Reposi

안녕하세요 개발자님

저는 IT업체에서 보안정책 담당을 맡고 있습니다. 개발자는 아닌 거지요;;

개발관련해서 궁금한 점이 있어서 이렇게 글을 올려봅니다.

혹시 개발자님 회사에서는 GitHub 등과 같은 Public Repository를 허용하시는지요. ㅎ

회사의 소스나 접속정보 등이 실수로 커밋될 우려가 있어서 어떻게 해야 하나 하고 있었습니다.

하지만, 개발자분들의 경우 포트폴리오 등의 목적으로 Public Repository의 사용이 필요하다는 의견이 많았습니다.

타사에서는 Public Repository를 허용하고 있는지 궁금합니다.

바쁘시겠지만, 답변 부탁드려봅니다. 감사합니다 :)

forever의 이미지

시스템엔지니어 역량질문

잡사이트에서 포탈, 쇼핑몰, 게임 시스템엔지니어 채용공고를 보면 보통 담당업무에 OS, 네트워크는 기본이고 클라우드에 보안, 애플리케이션까지 써있는걸 봤는데요

시스템엔지니어에게 요구하는 애플리케이션 역량은 어디까지를 말하는 걸까요..?

상세내용은 다음과 같이 써있다고 가정할때

"WAS, WEB, 기타 Application 구축 및 운영"

WAS, WEB, 기타 Application 구축은 대략 설치, 세팅 정도로 이해했는데 WAS, WEB, 기타 Application 운영은 어디까지 말하는건지 잘모르겠네요(시스템엔지니어가 하는 영역이 정해져있는지 아니면 백엔드 개발자가 하는 하는 업무가 어느정도 들어가 있는건지..)

hok1019의 이미지

개발 경험으로 기술지원이나 시스템 엔지니어 신입으로 직종변경 가능여부

BSP팀에서 드라이버 담당자로 겨우 1년정도 근무하다 퇴사하고 재 취업 준비중입니다.

기간은 짧지만 개발이 적성에 맞지않는다는 판단이 들어서 직종변경을 결정하게 되었고 그래서 선택한 분야가 기술지원 쪽 분야입니다.

전공이 전자공학이고 임베디드 쪽만 다루다 보니 리눅스는 익숙하지만

데이터베이스나 네트워크, 클라우드 관련 지식이 아예 없습니다.

이런 상황에서 바로 기술지원 쪽 신입으로 입사가 가능한 지 혹은 따로 공부에 시간을 투자해야 하는 건지 조언 부탁드립니다.

올해 29살 인지라 입사가 충분히 가능하다면 바로 입사해서 공부하는 쪽으로 선택하고자 합니다.

어떤 쪽으로 어필하면 좋겠다 라던가 조언좀 얻고자 합니다.

긴글이지만 조언 살짝 보태주신다면 정말 큰 도움이 될 것 같습니다.

감사합니다.

clover6070의 이미지

펌웨어 개발자 미래에 대한 질문입니다.

안녕하세요!
저는 펌웨어 개발자를 희망하는 대학생인데요
펌웨어 개발자는 회사에 들어가서 풀스택엔지니어가 되나요?? 보통 펌웨어 개발자로 시작하면 어디가 최종 도달지?가 되나요?? 연구원으로 빠지나요? 근데 서치하다가 어떤분은 학사로 펌웨어 개발자로 취업해도 하드웨어 공부를 기본이상으로 하지 않으면 더 나아가기는 힘들고 평생 석사나 박사 밑에서 지시받으면서 일한다는데 사실인가요??ㅠㅠ

clover6070의 이미지

임베디드 용어가 헷갈립니다ㅠㅠ

안녕하세요! 저는 컴공에 입학한 학생입니다.
다름이 아니라 제가 임베디드 분야에 관심이 생겼습니다. 근데 학교 커리는 임베디드 관련된 수업이 별로 없습니다ㅠㅠㅠㅠㅠㅠㅠ
그래서 제가 책 읽고 있는데요 헷가리는 부분이 있어서요ㅠㅠ
책에서 임베디드 소프트웨어 엔지니어= 펌웨어 엔지니어라구 하는데요 제가 알기론 임베디드가 3개로 펌웨어, 디바이스드라이버, 응용시스템 프로그래밍이렇게 나뉘는데요 펌웨어 엔지니어가 제가 알고 있는 그 펌웨어 분야 말하는게 맞나요??
저는 응용 시스템 프로그래밍을 하고 싶은데요 이 직업은 뭐라 부르나요?? 저는 지금까지 임베디드 소프트웨어엔지니어 가 저 3부분을 통칭하는 줄 알고있어서요!

goda2의 이미지

OP에서 SE나 서버 관리자로 이직하려면...

안녕하세요.현재 서버관제로 1년째 근무 중인 26살 청년입니다.

저의 경력으로는 공기업에서 사무직으로 2년이 전부입니다.

현재 대기업 IDC에서 op를 근무하고 있습니다. (아웃소싱은 아니고 대기업에 입사했습니다.)

하는 업무는 서버 관제를 합니다. 회사 복지나 하는일에 비하여 급여도 나쁘지 않은 편이라서 나름 만족 하며

근무하고 있는데 문득 드는 생각이 배우는것도 없고 미래를 생각해보면 답이 없는거 같다고 생각이 들더라구요.

서버 관제를 하다보니 시스템엔지니어나 서버관리자 쪽으로 관심이 생겨 KLDP 커뮤니티에 가입하게 되었습니다.

회사를 다니면서 학원을 다니고 싶지만 3교대 근무라 학원을 다니는게 쉽지 않더라구요.

퇴사를 생각 했지만 주변에서는 회사를 다니면서 공부하는것도 괜찮다고 하더라구요.

급여는 조금 받아도 상관없으나 신입으로 입사해서 근무하면서 업무를 배울수있는 곳이 있다면 그쪽으로

생각중입니다.

선배님들 생각은 어떠신지 궁금합니다.

긴 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AustinKim의 이미지

[공유] 꼰대 임베디드 시스템 SW 개발자가 되는 방법

임베디드 리눅스 BSP를 개발하면서 수 많은 꼰대들을 만났습니다. 그런데 연차가 늘어날 수록 꼰대를 만나는 확률이 점점 높아지고 있는 것 같은데요. 그 동안 제가 프로젝트를 통해 만나 뵈었던 꼰대님과 교류를 통해 얻은 교훈을 공유하고 싶어요.

<< 꼰대가 되는 가장 빠른 방법: 스스로가 성공한 개발자라고 확신한다! >>

위대한 꼰대가 되기 위해서 먼저 자신의 개발 능력이 상대방보다 100% 월등하다는 것을 확신해야 합니다. 개발 연차가 많던, 부장이나 개발 이사와 같이 직급이 높던, 성과급이나 월급을 많이 받던, 이 중 반드시 하나는 갖춰야 합니다. 그런데 여기서 가장 중요한 것은 다음과 같은 확신입니다.

* 다른 개발자들도 내가 생각하는 성공의 정의에 따른다!

페이지

시스템 엔지니어 고민상담실 구독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