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스템 엔지니어 고민상담실

sunjae79의 이미지

httpd의 현재 처리중인 작업을 확인 할 수 있는 방법이 있을까요??

몇달 전부터 OOM으로 인해 서버에 문제가 생기고있습니다

확인해본바 httpd의 메모리 점유율 상승으로 스왑영역까지 모두 사용하여 발생하고 있었습니다.

httpd 데몬은 개발팀의 client가 설치되어있긴 한데 개발쪽에서는 문제 없다고 말하고있고

장애 때문에 메모리 50%이상 올라가면 수동으로 kill 시켜주고 있는 상황입니다.

특정시간에 발생하는것은 아닌것 같고.. 몇십개의 httpd 중에 하나의 데몬에만 문제가 발생하는 상황이라

도움될만한 정보가 있다면 도움 부탁드립니다.

2대의 서버에서 발생하고있어 서버 자체를 동일 모델 다른 장비로 바꾸어 보았지만 동일한 증상이 발생하고있으니

하드웨어 문제의 경우는 배제하고 답변 부탁드립니다.

calpice의 이미지

[ 고민..] MySql 에서 slow query 에 인한 Too many connection 에러때문에.. DB 다운....

일본 벤쳐에서 클라이언트의 어플을 개발하고 있는데요.

저희는 개발을 하고, DB에 관해서는 다른 회사가 담당을 하고 있습니다.

2개월 전 제가 데이터 조사를 위해서 실행시킨 쿼리가 엄청 무거워서 서비스용의 마스터 데이터 베이스가 한번 다운되었었습니다.

그때 실제 서비스용의 데이터 베이스에서 실행시킨게 문제가 되어서,

그 다음부터는 조사보고서를 작성하고, 클라이언트측에서 승인을 해야 조사를 해야하는 절차가 도입되었습니다.

또한 승인이 난 이후부터는 실행을 하더라도 슬레이브에서 실행하도록 되었지요.

일단 조사보고서를 쓰기 위해선 Explain을 이용해서 실행계획을 써 넣어야 하는데,

Explain 쿼리의 실행은 어떤 절차를 이용해서 실행을 할지는 딱히 정해져 있지는 않구요..

Explain 괜찮겠다 싶어서 실제 서비스용 데이터베이스에서 실행하곤 했습니다.

그리고.. 어제 또 마스터 데이터 베이스가 다운되었습니다.

제가 실행시킨 Explain의 쿼리 2개가 문제였지요.

choi8608의 이미지

이제 3년차 되는 되는 시스템엔지니어 지망사원입니다.

취업난에 운좋게 한번에 금융권 IT 회사로 입사해서 첫해는 은행 장차법 관련된 리뉴얼 프로젝트,

두번째해는 은행 펀드쪽 SM

이제 세번째해에는 생명쪽의 시스템 어드민을 하고 있습니다.

원래 개발쪽을 지망하여 커리어를 쌓고 싶었지만 회사에 다니다보니 정확하게 원하는 곳을 오지는 못했네요..

그래도 이제 시스템 어드민 쪽으로 진로를 잡고 회사 3년차, 시스템 어드민으로서 1년차의 생활을 하고 있습니다.

그래도 나름 4대 금융그룹중 하나인 곳이라 여러종류의 장비를 만진다는 장점은 있지만, (주로 AIX, 비주류로 NT 리눅스 총 2-300대 정도)

10년도 전에 기획된 시스템에 꾸역꾸역 리소스들을 올리고 형상시스템이 있기는 하지만 20% 는 수동반영으로 하는 환경입니다.

이제 여기에서 반년정도 일하며 OP 업무나 일의 전체적인 그림이 보이기 시작하니 드는 생각이

내가 여기에서 리눅스나 AIX 관련된 공부를 어떻게 해야 될까.. 라는 생각이 듭니다.

kkd927의 이미지

엔지니어가 되기 위해서...

안녕하십니까
우분투에서 오픈스택을 이용하여 클라우드컴퓨팅 환경을 구축 중인 대학생입니다.
최근 클라우드에 관심이 들어 공부를 하게 되었는데 쉬운 일이 아니라서 선배님들께 조언좀 구하고자 글을 적게 되었습니다.
클라우드 구축 중 에러나, 리눅스 네트워크에 대한 지식이 얕아서 장벽을 뛰어넘기가 힘드네요...

이에 관한 지식을 얻을 수 있는 문서나 서적좀 추천부탁드립니다..
그리고 커리큘럼에 대해서도 조언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eses9999의 이미지

syslog를 이용한 log 헤더 포맷 변경

현재 syslog를 이용해 여러서버의 log를 한서버로 모으고 있습니다.
모으면서 궁금한게 하나 있는데

혹시 syslog설정중 보내는 쪽이나 받는 쪽에서 log헤더의 포맷을 변경할수 있는지 궁금합니다.

예를 들어 /var/log/message 라는 로그헤더가
Apr 16 16:00:57 localhost rsyslogd:... < - 이렇다면
보낼때나 받을때 syslog 설정을 변경해
Apr 16 16-00-57 localhost rsyslogd:... <- 이런식으로 형식을 바꿀수 있을까요?

negabaro의 이미지

vmware player위에 kvm설치가 가능한가요??


https://kldp.org/node/141456

위 토픽에서 전가상화인 KVM은 설치 가능한 CPU가 있다는것은 알았는데요

가상화위에 가상화를?? 설치해보는 것은 기술적으로 가능한건지

궁금해서 질문드립니다.

저 같은경우는

yum install 자체는 되고

virt-manager를 치면

[root@localhost ~]# virt-manager
Traceback (most recent call last):
File "/usr/share/virt-manager/virt-manager.py", line 383, in
main()
File "/usr/share/virt-manager/virt-manager.py", line 286, in main
raise gtk_error
RuntimeError: could not open display

sangjin0822의 이미지

스팸메일인가요? 그냥 무시해도 될지 모르겠습니다.

저희가 사용 중인 도메인은 mydomainname.com 으로 수정해서 문의드립니다.
메일 내용이 3개인데요, 보낸 사람의 메일 주소가 Administrator@mydomainname.com 입니다.
실제로 Administrator 메일 계정은 세팅되어 있지 않습니다.

무슨 메일인걸까요?
그냥 무시해도 되는 메일일까요?
혹시 이런 메일을 받아보신 경험이 있으신가요?

조언 좀 구하고자 문의드립니다.

negabaro의 이미지

오브젝트 스토리지란 무엇인가요?

open stack에 대해서 공부중 오브젝트 스토리지라는 용어가 나와서 찾아보고 있는데 잘이해가 안되네요..

오브젝트 스토리지의 장점이

저렴한 하드디스크에 안정적으로 데이터를 구성할 수 있다

스토리지를 이용하기 위하여 시스템에 로그인을 하고, 파일을 저장할 수 있는 디렉터리라고 하는 컨테이너를 생성 및 삭제 할 수 있다

해당 컨테이너에 데이터나 음악, 동영상, 문서와 같은 파일을 업로드하고 다운로드가 가능하다고 들었는데요

*밑에 링크 참조
http://naleejang.tistory.com/92

오브젝트 스토리지는 왜 저렴한 하드디시크에 안정적으로 데이터가 구성이 가능한건가요?

그리고 로그인을 한다는게 어플리케이션단에서 하는 로그인을 얘기하는건가요?

마지막으로 N드라이브 나 드롭박스 등이 오브젝트 스토리지를 쓰고 있는건가요?

wishwisdom의 이미지

System Admin으로서 어떤 것을 알아야 될까요?

금년에 제가 어떤 기업에 개발직 신입으로 취직을 했는데,

갑자기 개발직이 아닌 서버와 DB관리를 업무로 맡게 됐습니다.

이런 업무배정은 저를 당황하게 했지만,

부서에 들어오니 분위기도 괜찮고, 사람들도 괜찮아 SA로서 맡은 바를 다하려고 하는데, 뭘 해야 될지 모르겠네요.

막 들어온 신입에게 일을 3개월이상 업무를 맡기지 않지만, 제 업무를 깊게 알게 싶은데 어떻게 준비해야 될지 모르겠네요.

입사한지 1달이 지난 이 시점에 제가 나아갈 길을 알고 싶네요.

혹시 이에 대해 도움을 주실 분 있으신가요?

beom529의 이미지

데스크톱 가상화 서버성능에 대하여

위에서 약 10명쯤 수용할수 있는 데스크톱가상화 서버를 구축하라는 말을 들었습니다.
그런데 회사 erp프로그램 때문에 꼭 윈도우를 써야되서 윈도우서버를 쓰려고 합니다.

어느정도 성능이여야 10명이 쓸수 있을까요?

주 업무는 erp프로그램,이메일 입니다.

페이지

시스템 엔지니어 고민상담실 구독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