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스템 엔지니어 고민상담실

rlarkawk의 이미지

전산팀 근무자로서 가져야할 기술? 능력? 뭐가 있을까요?

운좋게? 전산팀에 입사하게되어서 근무중인데 ..

다른분들이 여기에 글 쓰신걸 보니까 다들 개발도 하셨고 DB도 다룰 줄 아시더라구요 ..

근데 저는 정말 전문적으로 아는게 하나도없고 다 겉핥기 식인데...

업체를 통해서 대부분 관리를 하다보니 저 스스로 처리해야할 경우가 거의 없더라구요
(심지어 리눅스, 유닉스 서버는 손도 대지 못합니다 .. )

불안해서 정보처리기사자격증 하나 취득한게 전부 입니다..

그래서 뭐라도 전문적으로 하나 파볼까하는데 방향을 못잡겠습니다 ㅠㅠ

선배님들 조언 부탁드립니다.

shepherd1291의 이미지

엔지니어 가능할까요??

지방에서 생산관리직으로 근무하다가 회사가 어려워져 그만두었습나다.

네트워그엔지니어인 지인의 추천으로 필드에서 네트워크 장비 만져보고 하면서 몸으로 조금이나마 배웠습니다.

그러다, 지인 추천으로 서울로 올라와서 근무를 하게 됐습니다.

구축하시는 엔지니어 있으니 따라다니면서 몸으로 때우라구.....

근데... 어찌하다보니 서버쪽 상주직원으로 왔습니다.

회사사정상 일단 서버쪽을 가서 배우라구....;;;;

첫날 출근해서 간단한 교육을 하는데 리눅스 관련해서 설명을 하시는데 정말 무슨말인지 하나도 모르겠더군요.

그 당시 ls 명령어도 몰랐으니..;;;

사장님에게 1도 모른다고.....어떡하냐 하니...그냥 하라네요...

일단 상주직원으로 구축된 사이트 돌아다니면서 유지보수 업무하고 있기는 한데..

점검이야 명령어만 외우고 하면 되니깐.. 어찌 하겠는데...

고객들의 질문이나, 버젼 업그레이드, 등등.... 고객의 요청에 벙어리가 되어버리네요..

kawail7823의 이미지

DB엔지니어

2학년 재학중인 대학생입니다 진로에 대한 여러가지고민으로 정보통신과로 전과를 한 상태입니다 제 생각은 대학교를 졸업하고 직업훈련기관을 가서 실무능력을 쌓기보다는 지금 대학교기간내에 준비해서 졸업과 동시에 취업을 하고싶습니다 여러과목을 수강하다가 데이터베이스과목에 흥미를 느껴서 공부를 하고싶은데 이쪽분야 공부 계획세우기가 쉽지않네요 혹시도움을 받을수있을까요?

sakim의 이미지

리눅스 tar 에 대해서 문의 드립니다.

안녕하세요
리눅스 tar를 사용하여 묶은 파일이 풀리지 않아 질문 드립니다.

리눅스에서 다음과 같은 명령어로 파일을 묶었는데요
nohup tar cvf - /home/test1/* | split -b 2048m - test.tar &

파일의 크기가 30G가정도 되서 파일을 분할로 묶었는데

tar 로 묶은 파일을 풀려고 하면 다음과 같은 에러가 떨어집니다.
command : cat test.tara* | tar xvf -
tar: 이것은 tar 아카이브처럼 보이지 않습니다
tar: 다음 헤더로 건너 뜀
tar: Exiting with failure status due to previous errors

tar파일을 file test.tara 등으로 확인해보면 data파일로 인식 되는데
현재 원본파일이 지워지는 바람에 tar파일을 복구해야만 하는 상황인데
방법이 없는지 궁금합니다.

qazsew100의 이미지

레이드 관련 질문

레이드 관련 질문드립니다.

dudcksdl2878의 이미지

Replication 구성 도움 부탁 드립니다..

신규 DB에 3개의 DB 스키마를 Replication을 해야하는 일이 생겼는데
문제는 3개의 DB스키마 및 테이블 구조가 모두 동일합니다.

스키마나 테이블 구조는 같지만 안에 들어가 있는 데이터가 각자 다르기때문에
이 데이터들을 하나의 DB에서 Replication을 받아오고 싶은데요.

일단 Slave를 mysql5.7로 구성하여 multi_source_Replication을 사용하려고 하는데
막상 Replication을 걸려고하니 어떤방식으로 걸어야 할지 막막하네요..

SLAVE에서 Replication을 걸때 3개의 스키마 이름을 각각 다르게 인식하여
받을수 있으면 좋겠지만 아무리 찾아봐도 이방식은 불가 하더라구요
( Master -> Slave
스키마 -> 스키마A
스키마 -> 스키마B
스키마 -> 스키마C
)

danus123의 이미지

임베디드? 펌웨어? 전망? 현실?

안녕하세요, 진로를 찾고있습니다...
지식인에 올려봤다가 원하는 답변이 없어 이곳에도 올려봐요..

-임베디드 시스템 프로그래머와 펌웨어 프로그래머는 같은것인가요?

하는일은 무엇인가요?

어셈블리어로 맨 밑바닥부터 프로그래밍 해서 리눅스나 윈도우같은 시스템을 만드는 건가요?

-전망이 안좋다고 하던데.. 정말인가요?

"칩에서 라이브러리가 제공되고 그것만 가져다 쓰면 되기 때문에 전망이 없다. 또한 새로운 제품은 더이상 나오지 않고 나와도 대기업에서 장악하기 때문에 임베디드는 끝났다" 라고 구글링하다가 어떤 블로그에서 봤는데요..

★이 답변을 가장 듣고 싶어요..
-아두이노나 라즈베리 파이, 아트메가, ARM 같은 것들은 뭐라고 하나요?
이런걸로 기기를 만드는 실무작업을 할 수 있을까요?

실제 회사에서도 아두이노나 라즈베리 파이같은 보드, 아트메가나 ARM 같은 칩(맞나..)을 사용하나요?

이런것들로 전자기기를 개발하는 직업이 있을까요?
또 그런 직업의 이름은 무엇인가요?

hunmin1의 이미지

선배님들 조언얻으로왔습니다..

안녕하세요 ㅎㅎ 건설현장 기술직으로 일하다가 IT에 꿈이 있어서 최근 국가기간산업전략직종훈련을 받고 취업에 준비중입니다. 리눅스라던지 윈도우, CCNA 모두 기초지식이지만 제가 원래 이쪽에 관심이 많아서 이해하는 데는 지장없었습니다. 저는 최종적으로는 정보보안 엔지니어가 되고싶지만 남들보다 늦게 시작하였습니다. 지금 27살입니다. 방통대 4년제 취득까지 2년 남았는데 그동안 일을 해야하는 입장이고 학력도 고졸이라 넣을 곳도 많이 없어서 관제나 시스템 엔지니어에 먼저가서 실무 기술익히는게 좋을 것 같아서 일할 곳을 찾고있는데요, 리눅스, VDI환경 오퍼레이터에 자리가 났습니다. 어중간하게 만족하는 스타일은 아니라서,, 공부하다 죽더라도 이분야에서 정점을 찍을려고 합니다. 오퍼레이터로 일하여도 도움이 되나요? 부탁드립니다. 선배님들..

kombo67의 이미지

서버 구축 후 설치 및 해봐야할 것??

안녕하세요
제목의 요지는 이러합니다
"서버 구축 후 무엇을 운영해볼 수 있나 ?" or "무엇을 운영해봐야할까 ?"

가상 리눅스를 설치하고 나서( rhel7 )
현재 아무것도 진행을 못하고 있습니다 ( httpd, ssh 제외 )
딱히 was 를 설치해서 뭘 해야할지도 모르겠어서
web서버만 설치한 상태입니다

뭔가 생각은 많은데 진행이 안되네요

autozip의 이미지

보통 사이트에 서버 관리자는 몇명씩 운영하시고 계시나요?

회사 규모나 사정에 따라서 각각 다르지만
보통 운영하시는 사이트 규모에 따라서 개발자와는 별개로 시스템관리자(서버관리)는 몇명씩
운용을 하고 계시나요?

장애 대응 체계도 어떤식으로 하시는지 궁금해서 문의 드립니다.

아니면 운영하시는 사이트는 전담자가 있고 매니지먼트나 운영 대행 서비스를 이용하시나요?

다른곳 시스템관리자는 어떻게 근무하고 있는지 궁금해서 올려봅니다

페이지

시스템 엔지니어 고민상담실 구독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