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스템 엔지니어 고민상담실

shari83의 이미지

리눅스의 syslog 권한 변경이 가능한가요?

안녕하세요..

리눅스의 syslog들..

예를들어서 /var/log/messages 등의 로그들의 권한을

600에서 640으로 변경하고 싶은데요. 이부분을 /etc/rsyslog.conf 등에서 변경이 가능할것 같은데요.
아무리 뒤져보아도 나오질 않네요.

OS는 Centos 6.3 입니다.

earnest1214의 이미지

서버/시스템 기술지원에 대한 질문이요

서버/시스템기술지원 부서에 입사를 하게되면
어떤자세로 임해야 하고 준비해야할 것은 무엇이 있는지 알려주세요

즉 시스템엔지니어가 되면 어떤자세로 임해야 하고 준비해야 할 것은 무엇이 있는지 알려주세요

alata의 이미지

리눅스 커널이 User Space와 Kernel Space를 만드는 과정이 궁금합니다.

공부하다가 궁금한 것이 생겼는데요.
가상메모리는 User space와 Kernel Space로 구성되있는데
리눅스 커널이 어떤 machine 안에서
User Address Space와 Kernel Address Space를
만들어 내는 내부 메커니즘을 알 수 있을까요?

kkd927의 이미지

Ubuntu Ethernet Interface 에 대한 질문..

안녕하세요.. 노드 설정 중 에 궁금점이 생겨 질문드립니다.

환경은 VMWare Workstation 에 3개의 노드를 가동 중에 있습니다. (Ubuntu 14.04LTS)

노드 1은 eth0 을 VMware NAT 으로.. (10.0.0.0/24)
노드 2는 eth0 을 VMware NAT(10.0.0.0/24), eth1 을 VMware Host Only (10.0.1.0/24) 으로..
노드 3은 eth0 을 VMware NAT(10.0.0.0/24), eth1 을 VMware Host Only (10.0.1.0/24), eth2 를 VMware Bridge 로 (192.168.0.0/24 - 공유기에 다이렉트로 접근)

이렇게 구성되어있습니다.

셋다 외부 인터넷이랑 연결이 되구요.. 당연히...
제가 궁금한 점은 공유기 ip인 192.168.0.1 로의 핑테스트 시 입니다.
노드1, 노드2의 경우에는 핑이 제대로 날라가는데 노드3은 핑이 도달하지가 않는 군요...

tobiaskim19의 이미지

선배님들! 고민 좀 들어주세요 ㅠ

안녕하세요. 현재 20살 중반에 입사한지 1년 가까이 되고 있습니다.
경영정보학과를 나와서 사실 컴퓨터에 대한 관심과 이해가 적어서.. 방황하고 있다가
대기업수준의 연봉을 주는 중소기업 전산실에 취업을 해서 지금까지 근무중입니다.
군대 전역하구 바로 취업준비를 하다보니(군대를 학교졸업하고 끝내다보니 ㅠ) 머리가 텅텅빈상태라서
처음부터 하나하나 배우자라는 마음가짐으로 일을 시작했습니다.
si회사가 아니다보니 직접적으로 개발을 하진 않지만 .. 여러가지 일? 다른 의미로 보자면 잡무와 같은 일을 하다가
요즘은 리눅스 서버와 네트워크쪽으로 역활이 주어져서 흥미를 가지고 일을 하고 있습니다..
하나하나 배워가는 느낌은 좋은데.. 사실 서버에 집중할 수 있는 시간이 적습니다. 하루 근무시간 중 서버를 만지는건 한시간도 안되고 업무의 대부분이
요즘은 컨설팅업체가 필요한 자료 찾아주거나 하는.. 전문적인 지식없이도 사실 가능한 업무입니다.
1년이 거이 다 되가는데.. 월급이 빠닥빠닥 나오는건 좋지만 이런식으로 시간을 보내도 되나 하는 생각이 듭니다.

msh7409의 이미지

안녕하십니까 선배님들 조언좀 부탁드리겠습니다

현재 막 입사한 신입입니다 원래 서버관리자가 되고 싶어서 이쪽 엔지니어 길에 들어서게 되었느데 어쩌다보니 입사를 한쪽이 필드엔지니어로 aix 및 nt 리눅스 등을 구축 및유지보수하는 일인 회사입니다 생각하던 관리하고는 좀 다르더군요 그래서 고민이 되는것이 저는 경력 3년정도쌓고 일본쪽으로 나아가볼까 생각중입니다 물론 방사능이나 언어문제가 있긴하지만 일단 경험상 나아가 보고 싶습니다
그런 입장에서 필드엔지니어의 경력은 서버관리경력에 쳐주고 이직시 괜찬을까요? 진지하게 물어봅니다 물론 신입이라 이런 생각은 좀 그렇지만 미래에 대해 생각좀 해보고 싶습니다 조언 부탁드리겠습니다

lupinlll의 이미지

chmod 작동이 안됩니다.

파일들에 sudo chmod로 모든 권한을 부여한 상태에서 USB로 옴긴 후에
포맷후 다시 USB의 파일을 하드로 옮겼습니다.

그 후 sudo chmod를 사용하여도 권한이 변경되지 않습니다. (ex. sudo chmod -x *)
물론 저에게 sudo 권한은 준 상태이구요.

특이 사항이라면 해당 폴더는 윈도우 호스트 리눅스 게스트의 공유 폴더라는 것입니다.

그럼 답변바랍니다.

shari83의 이미지

일반사용자 계정의 접근이 불가능 합니다. su: /bin/bash: 허가 거부됨

안녕하세요. tomcat에서 한번 잘못된 스크립트가 돌아서 리눅스의 권한이 싹다 엉망진창으로 설정되었습니다.
레드헷 6.3 입니다.

# chmod 500 -R /* 수준으로 돌았다고 보시면 됩니다.

그리하여, 일단은 복구작업을 시작하였습니다. (당장 재설치가 불가능한 머신이라)

/bin
/usr
/var
/sbin
/lib
/lib64
/home
/tmp
/dev
/root
/etc
/proc

등등 거의다 복구했다고 여겨지는데 하위디렉토리까지 한번에 -R을 주고 하기는 여러가지 권한들이 서로 틀려서 하지 못했습니다.
그나마 생각나는만큼은 최대한 하위디렉토리까지 들어가서 하나하나 권한 복구를 시도했구요.

# su - userid 를 입력할경우

su: warning: cannot change directory to /home/userid: Permission denied
su: /bin/bash: 허가 거부됨

ki90999의 이미지

Centos Xtrabackup 시 에러 가 나옵니다. 무슨 에러인지 검색도 안되고 답답하네요

..
..
..
>> log scanned up to (3279326447)
..
..
..
..
..
..
..
..
..
>> log scanned up to (3279327811)
InnoDB: Tried to read 1048576 bytes at offset 785383424. Was only able to read -1.
2014-09-01 11:47:55 7fee161fc700 InnoDB: Operating system error number 5 in a file operation.
InnoDB: Error number 5 means 'Input/output error'.
InnoDB: Some operating system error numbers are described at

sangbum0의 이미지

보안 si vs 프로그래머

안녕하세요
이번에 보안 si업체로 취업을 한 신입사원입니다.
나이는 올해 30살이고, 대졸입니다
입사를 하여 선배들 일을 지원하고, 프로젝트도 지원하다 보니
제가 앞으로 할 일이 보안솔루션을 필요로 하는 고객과 만나 회의하고, 원하는 솔루션을 가진 업체를 섭외하여 사업을 제안한 후 구축하는 일(PL or PM)이라는 것을 알았습니다.

학교에서는 여지껏 프로그래밍 위주로 공부를 해왔고, 저도 프로그래머로 취업을 하려 했었습니다.
그런데 사람일이라는게 맘대로 되지 않더군요. 물론 저 자신에게 문제가 더 많이 있겠지만요.

(대기업 전자 회사 SW직에 합격했지만, 개인적인 이유로 입사하지 못하였고, 중소기업쪽 SW은 붙은 곳이 몇군데 있는데 가지 않았습니다...)

페이지

시스템 엔지니어 고민상담실 구독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