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스템 엔지니어 고민상담실

cksrnrkd의 이미지

그냥 일..이직..가족..휴식...

업무사항은 서버관리/운용, 네트워크/보안장비 등등 운용, 인프라 구성 및 구축, 취약점 탐지 및 분석, 장애처리, 기타 부가서비스에 대한 서비스 매니지먼트...

각종 벤더장비 운용..약간의 개발..

4년차 28살 시스템 엔지니어로서 제 일입니다...

이직을 하려고 해요..

이직을 해야하는게 맞는지도 모르겠어요..

단지 한달만 쉬고 싶다는 생각도 하구여, 여러 지인들의 조언들 들어보자면..

여러가지 일을 고루 하는것도 좋지만, 한 분야에 좀더 전문적으로 파고 들라는 말씀들도 있었구요..

외쿡 갔다오신분은, 한국에서의 엔지니어와 외쿡에서의 엔지니어는 하는일이 다르다고도 말씀하시드라구요

한국의 it폐해라는..그런 ㅎ

아이도 낳아요 예정일이 4월23일인데..그거 마춰서 약 한달간만 쉬려고 했던 것도 있구요..

와이프 혼자두기는 싫네여..

4년동안 밤낮을 지세워가면서 힘들고 고단해서 로컬뒤에서 눈물흘리며 일했던 일들이 그저 지금은 추억처럼 흘러갑니다..

seryu88의 이미지

네임서버 1차가 죽으면 2차도 죽어요..

오늘 네임서버 죽어서 죽는줄 알앗어요

서버가 죽은건 아닌데 named 데몬이 죽더라구요

1차 네임드 데몬이 죽으니 2차 네임드 데몬도 죽어버려서..;

혹시 이런경우에 어떤걸 봐야하는지 아시나요?..

로그같은건 평소에도 자주 봐서 별문제 없어보이는데.. 하..

프로세스 리스타트 하려니 안되서

강제로 리붓해서 프로세스가 업되긴 햇는데.. ㅜㅜ 원인을 어디서 찾아야 할지..

astro916의 이미지

시스템엔지니어 현실에 대해....

나이먹고 30대 초중반에 늦게 시작했습니다...

원래는 자바개발자로 처음을 시작했는데 선택미스로 다른일을 했다가..,.

돈도 하나도 못모으고 이나이에 늦게 그리고 운좋게 다시 돌아왔습니다

때문에 지금 욕심이 많은 상태입니다만...

최대한 빨리 연봉을 올리고싶어졌습니다. 하지만 열심히해도 안되는 현실은 당연히 있기마련입니다

그나마 적성에 맞는다고 생각해 시작한지 얼마 안된 일이지만

시스템엔지니어로선 대우적으로 힘들다는걸 알았습니다. 특히 단순 유지보수는요

제가 나이가 있는관계로 제 위치에서 20대였다면 별 걱정은 없었을겁니다

그래도 뭔가 희망적인걸 보고 움직여야 에너지가 생길거같아서 문의드립니다

여기서 현실적으로 전직가능할수있는일이 무엇인지..

물론 가장 중요한건 제가 하기 나름이라는건 저도 압니다 ㅋㅋ 다만 같은 노력을 들였을때가 궁금합니다

DBA와 서버개발자와 커널개발자 이 세가지중에 가장 현실적으로 빠르게 전직할수있는일이 무엇인지요.

yelly9의 이미지

실제PC에 centos5.8 설치 후 네트워크 카드가 안잡힙니다.

안녕하십니까
선배님들!
다름이 아니라
제가 데스크탑에 centos5.8설치를 하였는데 네트워크 카드가 안잡힙니다.
이런적은 처음입니다.
2대 PC를 모두 설치했는데
한대는 삼섬 PC였는데 알아서 잘잡던데
나머지 한대는 HP PC인데 네트웍 카드를 잡지 못합니다.
/sbin/lspci | grep -i Ethernet 요래 명령어 치면은 네트웍 카드가 올라오긴 올라오는데
절대 잡히지 않네요
네트워크 카드는 Atheros이거 인데요
와 정말 아침부터 지금까지 환장하겠습니다요!!!!!
/etc/sysconfig/network-scripts 안에 ifcfg-eth0은 없고 ifcfg-lo만 있네요
이럴땐 도데체 어캄니까!!!!!!!!???????
썬배님들 ㅠㅠ ㅠㅠ ㅠㅠ

labiz의 이미지

듀얼 NIC 구성시 공유기 포트포워딩 문제

직업은 시스템 엔지니어는 아니지만, 집에서는 엔지니어로서 질문 드려봅니다.

위와 같이 구성했는데요. 집에 인터넷 라인이 4개이 들어옵니다.

eth1 를 활성화 하지 않은경우에
- 공유기의 공인 IP 포트 22240 으로 마이크로서버의 22 포트 포워딩을 통해 ssh 접근이 가능합니다. (e4200v2 에서 포트포워딩 걸어줌)

근데, eth1 를 기본게이트웨이로 설정하고 활성화(ifup) 을 하게되면 공유기의 공인IP:22240 으로 ssh 접근이 안됩니다.

이왕이면 둘다 되게 했으면 좋겠는데요. 어떻게 해야할지 모르겠네요.

굳이 이렇게 해야 하는 이유를 꼽자면, 그림에는 없지만 마이크로 서버 말고 다른 서버가 또 있는데 둘중 하나가 불능일 경우에 내부 ip 를 통해서 서버 상태를 알고 싶기 때문입니다.

yelly9의 이미지

서버관리용 키보드 질문용

대다수의 서버를 관리할때 사용하는 키보드가 따로 있다고 하더군요.
노트북처럼 생긴 놈이던데....
다들 그걸 사용하는건가요?
찾아보니까 KVM스위치라는 것도있고
KVM장착된 노트북처럼생긴 아이도 있구요...
하아....
보통 뭘 많이 쓰시나요?
그리고 가격대는 얼마정도가 적당한가요?

yelly9의 이미지

물리적인 서버 관리에 대해서 여쭙습니다!

안녕하십니까 선배님들!?
저희 회사에서 이번에 스토리지 서비스를 구상중에 있습니다.
그래서 서버를 5대정도 구입했습니다.
서버랙도 지금 알아 보고있는 중이구요!
서버랙은 가격이 싼것도 있고 비싼것도 있던데
가격의 차이는 무엇때문에 나는건가요?

그래서 말인데요.
서버랙에 보통 서버를 넣을때 공간을 두고 넣나요 ?
아님 그냥 다닥다닥 공간도 없이 때려 넣나요?

그리고 서버가 전기를 그렇게 많이 잡아먹는다고 들었습니다.
보통 일반적인 사무실에서 돌리기에는 전기가 많이 부족하나요?
충분히 서버가 돌아갈려면 어느정도의 전력이 필요한가요?

그리고 서버 관리할때 원격접속을 많이 해서 관리를 하나요?
제가 아는 원격접속은 ssh이게 전부인데 혹 다른 툴이나 프로그램을 이용하는 게 있습니까?
아니면 직접 서버가 있는곳으로가서 직접 관리를 하는 것입니까?

저 혼자 서버를 설치하고 구상하려고 하니 너무 막막합니다 ㅜㅜ
현업에서 근무하시는 시스템엔지니어분들 많은 조언좀 부탁드립니다!

khs30611의 이미지

linux 본딩 구성에서 eth에 할당된 mac들이 부팅시마다 바뀝니다..

안녕하세요.

Red Hat Enterprise Linux Server release 5.5 (Tikanga)를 사용하는 서버 장비에서 본딩 구성을 사용하는 곳이 있었는데요,

active-standy의 본딩을 사용하고 있습니다. 문제는 이 장비가 재부팅시마다 bond0의 멤버로 속해있는 eth5, eth7의 mac이 자꾸 바뀝니다.

mac주소 자체가 변하는게 아니라 재부팅하고나면 eth5, eth7이 다른 어댑터에 있는 포트의 mac을 물고 올라오더라구요.

그러다보니 fail-over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는건 당연하고 링크가 자꾸 죽는 증상이 발생합니다.

ifconfig -a로 살펴보았더니 eth#들에 할당된 포트들이 재부팅하고나면 섞여버리더군요..예를 들면 eth2에 할당되있던 mac이 다음 부팅때는 eth3에 있다든지 이렇게 되버립니다.

본딩 구성 설정과 관련해서 mac을 고정시켜 사용하는 별도의 옵션이 있나요? 혹은 이런 경우 어느 부분을 점검해보아야 하는지 궁금합니다.

illuminati_f의 이미지

리눅스 커널 개발에 기여한다면 뭐가 좋을까요??

리눅스의 전반적인 아키텍처와 업데이트 흐름은 정확히 알며,

특정 파일에서(예를들어 디바이스 드라이버나, 파일 시스템)에 깊은 지식 / 더 나아가 기여도까지 있다면

리눅스 고급 엔지니어로써 대우 받을 수 있나요??

toukou의 이미지

CentOS 5.8 RAID5 2TB 디스크 인스톨 문의 드립니다.

CentOS 5.8

환경에 RAID5를 구성하여 OS를 설치해야 하는데

이게 생각보다 많이 힘드네요 ..

HP DL360e Gen8 장비이구요

Smart Array 는 BIOS에서 잡았으나 Drive를 별도로 인식 시켜줘야 하는 작업이 필요한 상태입니다.

GPT 파티션을 이용해야 2TB 이상의 하드디스크를 인식 시킬 수 있다고하는데

SystemRescueCD 를 이용해야 설치가 가능하다고 나오는데 실제 HP Smart Array B120i 는 SystemRescueCD에 대한 Drive를 제공하지 않아

이방법 또한 진행이 안되고 있습니다.

혹시 저와 같은 환경에서 LINUX를 구축하신 분이 있으실가요 ...?

페이지

시스템 엔지니어 고민상담실 구독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