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스템 엔지니어 고민상담실

tnpchd의 이미지

시스템 엔지니어 3년차 연봉이 어느정도죠?

안녕하세요! 선배님들께 질문이있습니다.

조그마한 쇼핑몰이나 기타 서비스를 운영하고 있는 회사에 다니는 3년차 SE인데요.

곧 연봉협상 시기가 다가와서 요즘 SE 3년차 연봉의 평균을 알고싶습니다.

jhkim123의 이미지

인프라 엔지니어링 책은 어느정도 경력있는 사람이 읽는 책인가요?

온라인 서점을 보다보니 인프라엔지니어링 관련된 책이 보이는데요
리눅스나 윈도우서버 관련된 책은 서버 엔지니어로 일하는 사람이
처음 일하는 사람이 보충하는 용도로도 쓸수 있고
경력자가 모르는거 보충하는 용도로도 쓸수 있는데
책 난이도가 감이 안 잡히는데
어느정도 연차 이상부터 저런 책 보나요??
책으로 읽은거 한번 실제로 해보고 싶으면 어떤 방법 쓰시나요?
서버 엔지니어에서 저런 쪽으로 발전 해보고 싶어서 읽는 분들은 그냥 계속 보고 또 보고 그러나요??

gurumong의 이미지

기업 서버관리직에 대해 조사하고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개발직에서 기업 전산직으로 이직을 고려하고 있습니다
그런데 이쪽 일에 대해 아는 정보가 전무해서 조사를 해보고 있습니다

기업 전산직이라면 생각해볼만한것들이
보안/서버/네트워크/DB 등의 운영 업무라고 생각되어지는데요
(구인 공고를 보더라도 대부분 업무를 이렇게 두리뭉실하게 적어 놓은곳이 많습니다)

한 사람이 이 모든것을 제대로 알고 수행하는것은 불가능할것 같은데
그래서 정확히 어떤 일을 하게 될지 구체적으로 알고 싶습니다

Q.1 구체적인 사례를 들면 어떤 일을 하게 되는것일까요?
Q.2 기업 전산에서 가장 중요하게 생각하는 가치는 무엇일까요?

질문을 이렇게 두리뭉실하게 해서는 안된다는 것을 아는데
조금이라도 답변을 주시면 이후 조사를 하거나 이직을 준비하는 도움이 될것 같습니다

thsalsgh01의 이미지

Alsa plugin을 사용한 arecord SRC (Sample Rate Conversion)

aplay 를 할때, alsa plugin을 사용한 SRC는 잘 돌아가더군요...

헌데!! arecord를 할때 alsa plugin을 사용해서 SRC를 돌리려고 하는데

정말 무슨 온갓 짓을 다 해본것 같은데 SRC가 안돌아가더라고요....

/etc/asound.conf 에다가
아래 [1]번과 [2] 번 같이 적어놓고,

aplay 로 sample_rate 16000Hz 음원 주고, arecord 돌리면

Recording WAVE '11.wav' : Signed 16 bit Little Endian, Rate 8000 Hz, Mono

이렇게... 버젓이 recording이 8000 으로 돌아가더군요.... /etc/asound.conf 에 분명 24000 으로 돌라고 써놨는데도!!!!!!!!!ㅠㅜㅠㅠ

미치겠습니다...

arecord 의 옵션으로 -r 24000 으로 주면, 억지로 돌아가서 소리가 굉장히 빨리 재생되더군요....

slave device 에 대한 이해없이 하려니깐 죽겠습니다....

코다두의 이미지

컴공 3학년 임베디드시스템 입문 조언부탁드립니다

안녕하세요 저는 24살 서울 소재 대학의 컴공학도 3학년이고

학교 수업에 대한 개인적인 실망이 커서 학교를 쉬고 반년정도 아버지 회사에서 일을 하고, 배우고 있습니다

저는 기본적으로 C와 자바를 알고있는 상태이지만

전기/전자에 대한것은 거의 아무것도 모르는 수준이었습니다

회사에서 외국인 엔지니어와 함께 주로 stm32와 같은 avr쪽의 MCU와, 아두이노를 다루었고

그럼으로서 영어를 상당히 익히고, MCU의 데이터시트를 읽는 방법과 MCU의 여러 컴포넌트에 대한 것들을 알게 되었습니다.

그리하여 IAR 예시코드나 오픈 소스 코드를 제법 따라하거나 응용할 수 있게되었고

ESP8266, ESP32 이라는 것으로 무선 통신(WIFI,BLE) 으로 전압값을 받아온다거나, 그것과 안드로이드와 서로 통신하는 것들을 만들어보았습니다

하지만 역시 시간이 지나자 이론적인 한계가 들어나더군요. 특히 여전히 하드웨어, 회로쪽 지식이 거의 없는 상태에서

tempman의 이미지

초짜 시스템 프로그래머입니다.

약 반년전에 회사에 입사해서 시스템 프로그래머로 일을 하게 되었습니다.
아무것도 모를 때, 이곳에 질문 글을 올려서 큰 도움이 되었었는데,
한번 더 도움을 받고자 글을 올리게 되었습니다.

현재 회사에서 하는 업무는 디바이스 드라이버 제작입니다. 아직 일이 많지 않아서 다양한 디바이스 드라이버를 제작하지는 못했지만 이전보다는 어느정도 이해하고 있습니다. 아직 거의 레퍼런스 코드들을 참조해가며 제작하기는 하지만요.

그런데, 디바이스 드라이버뿐만 아니라 다양한 경험도 해보고 싶습니다.
디바이스 드라이버는 업무를 하면서 계속 경험을 쌓을 수 있고 다른 경험을 해보고 싶습니다.
누군가에게 저는 시스템 프로그래머입니다 라고 소개를 할려면 어떤 경험들을 해보면 좋을까요?
조금 구체적인 경험 예를 들어 'sensor의 device driver 제작'과 같이 작은 프로젝트 단위로 구체적으로 말씀해주시면 더욱 감사할 것 같습니다!

제가 여전히 아는 것이 없어서 명확히 질문을 못 드리는 것 같습니다.
선배님들의 도움을 부탁드립니다.

hdaun의 이미지

Zookeeper 사용 방법

주키퍼를 이용하여 각 클라이언트간 설정파일을 관리하고자합니다.
아무리 읽어봐도 어떤방식으로 주키퍼 노드에 실제 conf파일을 올릴수있는지 감을 못잡겠어서..

주키퍼서버의 노드에 업로드된 파일을 클라이언트 서버에서 바라볼수 있도록 설정이 가능한지
내용을 알고계신분이 있다면 도움부탁드립니다..

ehera의 이미지

Unix 엔지니어 IDC파견근무

안녕하세요. MS엔지니어를 1년정도 하고, 다른 직장 구직 중에 Unix를 배워 볼 생각이 없냐고 해서 알아봤더니
아웃소싱하는 업체이고, PM이 IDC에 파견되어 있으니 거기가서 배우면서 일하는 거라고 하더군요.

아직 아는게 없어서 IDC쪽에 파견이 되면 어떤일을 하는지 어떤식으로 일을 하는지 궁금합니다.

pigxxxxx의 이미지

시스템엔지니어(SE) 현실적으로 조언부탁드립니다.

일단 이번에 SE로 입사하게된 신입입니다.

오랜시간 공부하고 선배들 쫓아다니면서 하드웨어적인것부터 시작해서 네트워크, 서버, 백업 등 많은것을 다룰것으로 보입니다.
일단 주는 백업입니다. dell emc. commvault 등등
현재 네트워크, 서버, 백업등 에 관한 내용은 매우 초급단계입니다.

웹개발자와 SE 둘다 관심이 많아서 고민하다가 SE 신입으로 들어오긴했는데요. 불행하게도 제가 개발과 SE 둘다 관심이 있는 성향이다보니;; 개발에 대한 미련이 남아있긴 합니다.

개발경력은 없으며 개발에 대한내용은 자바,오라클&mysql디비, 스프링프레임워크 조금 다룰수 있습니다.

그래서 이곳 선배님들에게 진로선택에 대해 한번 조언을 구하고싶네요.

검색도 하다보니 개발자와 SE의 장단점도 많고.. 여러가지 생각이 드네요

아무래도 질문을 드리는건 5년, 10년의 경력을 쌓았을 경우 개발자와 시스템엔지니어 중 어떤일이 더 경쟁력이 있을지 궁금합니다.

thsalsgh01의 이미지

ALSA dmix 가 서로 다른 pcm device 에 대해 mixing 할 수 있나요

뭔가 생각하면, 말이 안되는거 같아 보이는데....

dmix 의 parent device를 두개나 그 이상으로 잡아서

서로 다른 pcm device에서 나오는 소리를

특정 pcm device 로 mixing 되서 나가게도

설정이 가능할까요??

페이지

시스템 엔지니어 고민상담실 구독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