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유 게시판

익명 사용자의 이미지

중국어, 한국어, 일본어의 한자 단어의 차이

漫然 [ 만연 ]
①어떤 목적(目的)이 없이 되는대로 하는 태도(態度)가 있음 ②맺힌 데가 없음 ③길고 멀어 막연(漠然)함

이 한자 단어는 한국어하고 일본어에는 있지만 중국어에는 이렇게 다르게 표현합니다:

만연하다 (漫然-)
1. 漫不经心mànbùjīngxīn。
2. 旷荡kuàngdàng。
3. 茫茫mángmáng。

그러면 이 만연이라는 단어는 어디서 만들어진 단어죠? 일본? 조선?

권순선의 이미지

KLDP.net 폐쇄를 검토하고 있습니다.

kldp.net를 폐쇄하려 합니다. 현재 kldp.net은 명확한 관리 주체가 없이 몇몇 관리자 분들께서 그때그때 발생하는 문제점에 대해 비정기적으로 대응하며 운영한지가 몇 년이 되었습니다. 그러다 보니 활성화를 위한 활동은 커녕 기본적인 이슈 대응조차 제대로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는 실정입니다.

따라서 현재와 같은 서비스 품질을 계속해서 유지하는 것은 문제이며 국내/외에 대체 서비스들도 많이 있기 때문에 필요하면 이전할 수 있을 것입니다. 이미 일부 사용자는 이전을 완료했습니다. 다만 더이상 원 프로젝트 관리자와 연락이 되지 않는 경우나 해당 프로젝트 관리자가 이전 작업을 하지 않는 경우, 그리고 이전을 하더라도 해당 프로젝트의 전체 정보를 이전하기는 힘들 것이므로 그점은 모두가 감수해야 할 것 같네요. (참고: http://kldp.org/node/128360#comment-574365)

익명 사용자의 이미지

가족의 추억의 비디오와 사진을 안심하고 보존하기 위해 뭘 합니까?

외장하드에 있으면 외장하드를 누가 훔치거나 그냥 고장나거나 잃어버리면 영영 추억의 레코딩들을 잃어버리는데 어떻게 보존하십니까?

darkmyth의 이미지

지금 검색이 되나요??

아무리 해도 검색 결과가 출력이 안되네요 ㅠ_ㅠ

kldp 업데이트라도 해서 그런건가요??

익명 사용자의 이미지

생각 정리를 어떻게 합니까?

생각정리하려 할때 무슨 유용한 게 있나요?

empty2fill의 이미지

KLDP 포럼 최근 게시물 보기 버튼이 사라졌나요?

왼쪽 메뉴에 있었던것 같은데 오늘 보니 없어졌어요.

포럼 주제 별로 들어가서 보려니 불편해요.

어떻게 된 일이에요?

익명 사용자의 이미지

세계언어학자들 ... 한글 공통 언어로?

몇 년전 프랑스에서 세계언어학자들이 한 자리에 모이는 학술회의가 있었다. 안타깝게도 한국의 학자들은 참가하지 않았는데, 그 회의에서 한국어를 세계공통어로 쓰면 좋겠다는 토론이 있었다고 한다(KBS1, 96.10.9)

여기 나온 출처는 간단하게 KBS1 이라고 써있는데, 그럼 뉴스인가요. 출처를 제데로 밝히고 싶군요.

relilau의 이미지

심볼릭 링크 관련 고민..

해커스쿨의 문제입니다. 해결은 했습니다만...

우선 level5라는 프로그램이 있습니다.
이 프로그램은 /tmp 디렉터리에 level5.tmp를 생성시키고 지우는 것을 합니다.

그럼 제가 봐야될 것은 level5.tmp의 내용인데
사람들은 이를 심볼릭 링크를 활용해서

# pwd
/tmp
# ln -s level6 level5.tmp
# /usr/bin/level5
# cat level6
쏼라쏼라쏼라

그런데 level6를 심볼릭 링크로 level5.tmp를 가리키게 해놨는데
궁금점1. 어떻게 존재하지 않던 level5.tmp를 level6이 가리키나요?
궁금점2. 분명 심볼릭 링크였는데 그럼 level5.tmp가 사라지면 level6는 제 기능을 하지 못할텐데 어떻게 level5.tmp가 사라진 후에도 level6에 내용이 보존되나요?

eclecticzorba의 이미지

선배님들 도와주세요. 실리콘밸리. 메카트로닉스.

물론 이곳이 it전문 카페임을 알지만, 저같이 처량한 대학생은 아주희미하게 비치는 태양을 기다리는 심정으로
이곳에 글을 올리는 바이오니 양해 부탁드립니다.

현재 서울 소재의 4년재 대학의 기계공학과에 재학중인 복학생입니다.

향후에 제 일을 스스로 하기 위해서 메카트로닉스라는 분야가 많이 비전이 있다고 생각하였고,
그 분야로 진로를 정했습니다. 현재 기업운영하시는 분이나,
그 분야에 종사하시는 분은 메카트로닉스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는 지요?

기업에 입사시 다시 처음부터 공부해야 된다는 말씀, 메카트로닉스라는 학문이
실무와는 전혀 다르다는 말씀인가요?

메카트로닉스라는 분야와 맞물려 무작정 실리콘밸리라는 곳에 대해 동경과 관심이 시작되었는데
시중에 나와있는 책으로는 그곳의 정보가 너무 부족합니다.
제가 기계공학과 졸업후 향후에 실리콘밸리에서 취업하기 위한 과정을 알 수 있는 곳을 가르쳐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calpice의 이미지

혹시 석사 졸업하신분 계신가요?

저는 정보공학 전공하고 있는 대학원생 일년차 입니다. 구체적으로는 이미지 프로세싱, 패턴인식 이구요.
논문 쓰는게 너무 스트레스 받고 힘이들어서 조언 좀 듣고싶습니다...

대학원 생활에서는 뭐가 중요할까요 ? 어떻게 보내는게 좋을까요 ?
여러가지 학회를 참가해서 발표하는 경험이라든지, 저널에 논문을 싣는다던지,
아니면 유명 학회 발표나 저널에 논문 싣는것 까지는 아니더라도 나름 공부열심히 하면 되는것인지..
논문을 잘 쓰려면 어떻게 해야하는지.. 논문을 쓸때 뭐가 중요한지..

어쩌면 제가 답을 알고있는지도 모르겠지만,
논문을 쓰는게 그리 쉽지가 않아서요.. 자신도 없고요..

페이지

자유 게시판 구독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