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스템 엔지니어 고민상담실

아히로나의 이미지

Raid10 과 소프트 레이드 50 어느게 더 빠를까요?

안녕하세요?

매일 질문글만 올리니 뭔가 민망하네요;;

항상 답변 달리는것에 감사한 마음으로 또 질문글을 올리겠습니다.;

제 지식으로는 raid 10 이 raid 5보다 읽기는 쫌 빠르고 쓰기는 훨씬 빠른걸로 알고 있습니다.

그런데 디스크 20장을 컨트롤러 상에서 10으로 묶는것 VS 컨트롤러 상에서 레이드 5로 10개씩 잡고

LVM으로 소프트로 묶는것중 어느것이 더 빠른지 알 수 있을까요??

간단히 얘기하면 컨트롤러 상에서 묶는것과 소포트로 묶는것의 디스크 I/O 속도 차이를 알고 싶습니다.

작은 힌트나 정보 혹은 경험이라도 좋습니다. 도움좀 주세요.

항상 성실한 답변들 감사합니다.

아히로나의 이미지

본딩 옵션중 xmit_hash+policyh 대해서 아시는분 계신가요?

현재 회사에서 서버 납품 문제로 이것저것 성능 테스트를 하고 있습니다.

전에도 질문글을 올렸지만 테스트 중에 한개의 포트에서만 데이터를 집중적으로 쓰고 나머지 3개포트에서

30~40%정도의 데이터를 나누어서 씁니다. 이 문제가 본딩 모드 설정에서 뒤에 xmit_hash_policy=1 요놈을

안써서 그렇다는데 요놈 역할이 도대체 뭔가요? 구글링 해봐도 온통 영어라 미천한 영어실력으로는 명확하게

해석이 안되네요 xmit_hash_policy를 쓰고 안쓰고로 성능 차이가 날까요?

그리고 nmon을 파일로 만들어서 보면 메모리 사용량이 얼마나 되는지 어느시트 어느 부분을 봐야 알 수 있을까요??

도움좀 부탁드리겠습니다.

좋은하루 되세요~

ssunsori의 이미지

제가 실수를 했네요. 바탕화면이 빈공간으로 나옵니다.

제가 실수로

chowm -R 777 /home 를 했는데

재 부팅 후 오류 메시지 나오면서 바탕화면 아이콘들이 전부 사라졌습니다.

아침 부터 지금까지 이거 때문에 검색 하다가 ..

여기에 올립니다.

도와주세요 ..

맞다 퍼미션을 원상 복귀 해두 마찬가지 입니다.

아히로나의 이미지

본딩 관련해서 도움좀 요청합니다.

확장 NIC까지 껴서 총 8g본딩을 했습니다.

8g본딩을 했을시 8포트에서 골고루 이용이 됐습니다.

이후 한 개의 NIC를 죽이고 4g본딩으로 테스트를 진행 했는데 한 포트에서만 1g정도가 쓰이고

3개의 포트에서는 200mb로만 이용이 됐습니다. 고객사에서 왜 이러느냐 하는데 명확히 알 수 있는 사람이

없어서 NIC 장비가 잘못 된거 같다 이런식으로 좀 얼렁뚱땅 넘어 갔습니다.

본딩 모드는 라운드로빈으로 돌아가가 설정 했습니다.

이에 대해 예상되는 부분이 있거나 짐작이 가시는 점이 있으면 도움을 주세요

저희 쪽에서는 본딩을 잘못했거나 역시 NIC문제 아니겠냐는 식으로 생각을 하고 있습니다.

ssunsori의 이미지

검색 해 봐두 시원한 내용이 없어서 여기에 올립니다. 꼭! 부탁합니다.

미러서버를 구축 하려고 합니다.

기존 서버가 centos 4.8 버전 입니다.

미러 서버를 구축 하려면 os 부터 프로그램 까지 전부 동일하게 구성해야되나요?

centos 6.3 에 apm 전부 최신으로 설치 하려고 하는데요 ...

혹시 아시거나 보신다면 빠른 답변 부탁드립니다.

현제 6.3 설치 해두었는데 .. apm 설치 하기가 두려워 지네요

아히로나의 이미지

리눅스 클러스터링 좀 도와주세요

안녕하세요? 리눅스 공부 시작하는 직딩 입니다.

리눅스 클러스터링을 어김없이 회사에서 또 일단 해보라는 식으로 시키네요 ㅠ.ㅜ

구성부터 간단히 설명 드리면 서버 2대에 스토리지 하나를 물려서 둘이 액티브 되게도 하고

스탠바이 상태도 되게 하라는게 지시 사항 입니다.

구글링을 통한결과 일단 Heartbeat인 줄 알았는데 그건또 아니라고 하시네요;

회사에서 경력 오래된 경력을 가진 사람이 없어 이걸 구현할 줄 아는 분이 없습니다.

그래서 구글링하면서 헤딩하고 있는데 좀 답답하네요

도움좀 주실분 찾습니다.

아히로나의 이미지

리눅드 네트워크 관련 도저히 이해가 안가는 부분 질문좀 드립니다.

현재 리눅스 공부중인 직장인입니다.

도저히 이해 안가는 부분이 있어서 게시판에 맞는 주제인지는 모르겠지만 질문을 올립니다.

현재 ping으로 야후나 다른 사이트에 테스트 해보면 잘 됩니다.

하지만 yum이나 파이어폭스로 인터넷 접속시 전부 안됩니다.

도저히 이해가 가지 않습니다. ping을 게이트웨이 혹은 dns서버 모두 날려보면 잘 날라갑니다.

근데 실질적으로 인터넷을 쓰려고 하면 안된다는게 이해가 안가네요 wget으로 실행해봐도 역시나 안되더군요

Vmware 사용중인데 혹시 이런 상황에대해 아시는분 있으면 좋은 답변좀 부탁드리겠습니다.

PS:resolv.conf나 eth0 모두 제대로 설정 했습니다.

adaylily의 이미지

얼마전에 회사에서 서버셋팅을 해준 업체가 있었습니다.

제가 근무하는 회사는 서버 관련 호스팅을 하는 회사입니다.
한데 얼마전에 회사에서 서버를 셋팅해서 원래의 업체에 이전을 해준 회사가 있었습니다.

근데 꽤 오래전부터 서버 관련해서 셋팅 변경을 요구합니다.
물론 말로는 이런 저런 이야기를 합니다.
개발자가 처리를 못해줘서 그렇다고, 신기한건, 개발자는 구해서 돈을 내고 (즉 개발비를 지급하고) 개발을 시키는데, 서버관리는 이전후 어떠한 돈이나 관리비를 받고 있지 않는데, 요청을 합니다.

개발자라면 당연히 급여나 제공되는 개발비를 제공하는게 맞는데, 왜 엔지니어는 그냥 시켜도 된다거나, 그런 일련의 과정이 저로써는 납득이 안됩니다.

왜 그럴까요?

whdydxkr3546의 이미지

공부를 어떻게 해야될지 모르겠습니다 좀 도와주세요

전 개발공부만하다가 개발은 제생각이 아니란생각이 들어서 뜬금없이

서버호스팅 회사에 취업하게 되었습니다 현재 27살이고 서울4년제

컴공졸업했습니다 제가생각하기에 연봉이 괜찮은거같아서 들어왔는데

전 서버를 만져본적이 한번도 없습니다 개발쪽만했기때문에 여기회사

주업무는 idc호스팅 입니다 고객한테 의뢰가 들어오면 서버에 os설치

해서 idc에 설치해서 고객이 사용할수있게 환경 만들어주고 장애발생

하면 처리해주고 아직까지 제가 하는일은 이정도입니다 입사 2달됐구요

근데 하다보니까 좀재밌는것도 같고 잘하고싶은 생각이들었습니다 이방면으로 고수가 되려면 어떤것을 공부해야되나요? 아직 아무것도 모르기때문에 적응해나간다고 생각하지만 허송세월 보내고싶지 않습니다 고수님들이 어떤것을 공부해야될지 방향좀 잡아주세요 부탁드려요

glowpassion의 이미지

회사를 계속 다녀야 할까요?

안녕하세요~
이 사이트를 알게된지 몇일 안됐지만
3일전부터 제 고민과 관련된 글들을 구글링과 이 사이트에서 검색해서 읽어봤는데..
그래도 해결이 안되네요..
저는 작년부터 학원을 다니면서 네트워크 공부를 해왔고
ccie시험을 앞두고 있었는데..
갑자기 시스템엔지니어로 취업을 하게 됐습니다.
번갯불에 콩 꾸어먹듯 후다닥 취업을 했네요;;
기업sns, 인터넷신문을 제공하는 회사인데
제 업무는 리눅스서버 윈도우서버 설치 및 관리?, 쉘스크립트?(무슨 언어였는데 잘 모르겠네요), cubrid?
이런것들이었습니다.
네트워크 엔지니어랑 시스템 엔지니어는 경력이나 스킬이 다르게 쌓이잖아요.
네트웍인들이 서버를 잘 모르는 사람들이 많다는 얘기를 들었던지라..
서버쪽에서 일해보고 네트워크로 옮겨간다면 마이너스요인은 되지 않을 것 같아서
선택한 결정이지만.. 그래도 혼란스러운건 어쩔 수 없네요.
고민이네요. 회사를 관두고 원래 예정이었던 네트워크쪽으로 가야할지..

페이지

시스템 엔지니어 고민상담실 구독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