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동안 듀얼 라이센스로 개발되던 OOo가 2.0 베타 2 이후부터 LGPL(GPL이 아닙니다!)로 라이센스 정책이 바뀌었군요. Sun이 워낙에 FOSS에 대해서 제 개인적으로는 상당히 애매한 정책을 취해 왔다고 생각했는데 웬일인지 화끈하게 LGPL로 전환했네요. GPL도 아니고 LGPL이니 소스코드 공개를 꺼리는 3rd Party 소프트웨어의 제작/배포도 용이해지겠지요. (OOo importer/exporter 등...)
아마 어느 시점이 되면 OpenSolaris도 결국엔 SISSL(Sun Industry Standard Source License)을 버리지 않을까 하는 생각도 드는군요.
오픈소스에 기여하는 방법에 대해서 사소한것까지 나열해보고자 합니다. 보통 크게는 '직접 소스에 대한 패치를 보낸다', '번역에 참여한다' 가 있겠지만, '버그를 리포팅한다', '많이 사용해서 주위 사람들에게 알린다' 등도 있을 것 같습니다. 이런 것들을 모아서 위키에 정리해보고자 합니다.(혹시 이미 있나요? ;; )
제 생각으로는 bit torrento 클라이언트로 오픈 소스 프로젝트등을 받았을 때 계속 공유하는 것도 일조하지 않을까 하는 생각을 해봅니다. 제 대역폭을 약간 기증하는 생각도 드네요.
Eclipse Project가 몇 개의 주요 프로젝트 별로 분할이 될 것이라는 소식과 함께 RCP를 가지고, MS의 Smart Client에 대응할 것이라고 Eclipse 프로젝트의 "치어리더" Mike Milinkovich가 밝혔습니다. Eclipse Grows, Thanks to Users
KLDP 블로그는 그다지 화려하지도, 많은 기능을 제공하지도 않지만 F/OSS, IT에 관련된 충실한 내용을 담고자 노력하는 분들이 함께 만들어 나가고 있습니다. 혹시라도 이곳에서 블로그를 운영하시고자 하는 분은 이곳으로 어떤 내용으로 운영하실지를 알려 주십시오. 확인 후 개설 여부를 결정하여 알려 드리도록 하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