블로그

권순선의 이미지

OpenOffice.org 의 라이센스가 LGPL로 변경되었네요.

그동안 듀얼 라이센스로 개발되던 OOo가 2.0 베타 2 이후부터 LGPL(GPL이 아닙니다!)로 라이센스 정책이 바뀌었군요. Sun이 워낙에 FOSS에 대해서 제 개인적으로는 상당히 애매한 정책을 취해 왔다고 생각했는데 웬일인지 화끈하게 LGPL로 전환했네요. GPL도 아니고 LGPL이니 소스코드 공개를 꺼리는 3rd Party 소프트웨어의 제작/배포도 용이해지겠지요. (OOo importer/exporter 등...)

아마 어느 시점이 되면 OpenSolaris도 결국엔 SISSL(Sun Industry Standard Source License)을 버리지 않을까 하는 생각도 드는군요.

ganadist의 이미지

그놈 2.12 릴리즈 노트 번역하고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그놈 한국 번역팀(?)에서 작업하고 있는 ganadist입니다.

그놈 2.12 출시를 눈앞에 맞이해서 릴리즈노트를 번역하고 있는데요. 생각보다 상당히 난해한 말들이 난무하는군요. (그래서 번역하면 더 못알아 먹는 것들도 많습니다.)

초벌번역은 http://ganadist.mizi.com/~ganadist/rn212 에서 보실 수 있고요. 원문은 http://www.gnome.org/start/2.12/notes/C/ 에서 볼 수 있습니다.

이상한 점이 있거나 바뀌면 좋을것 같다는 의견이 있으면 http://www.gnome.or.kr/wiki/ReleaseNotes 에 남겨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sangheon의 이미지

오프라인에서 오픈 소스에 기여할 수 없을까요?

온라인에서 기여하는 방법은 많이 알려져있습니다만, 저는
온라인 보다 오프라인에서, 특히 육체적인 봉사가 따르는
기여를 하고 싶습니다.

어떤 방법이 있을까요?

권순선의 이미지

Linux Kernel의 Embedded 관련 요구사항?

혹시 embedded 환경에서 Linux를 적용하여 개발하시다가 '아 커널에 이런 기능이 있으면 참 좋을텐데...'라고 생각하신 것이 있으시면 좀 알려 주세요.

가능하다면 http://www.gnome.org/bounties/ 에 있는 형식으로 최대한 구체적으로 적을 수 있으면 더 좋겠습니다.

Linux가 어떠한 부분에서 embedded 환경을 위해 더 향상될 필요가 있는지도 알 수 있을 테고... 커널 쪽으로 오픈소스 프로젝트를 해보고 싶어하시는 분이 계신다면 이러한 요구사항들을 반영하는 프로젝트를 진행하실 수도 있을 것입니다.

zelon의 이미지

오픈소스에 기여하는 방법 나열해보기

간만에 포스팅을 해봅니다. ^^

오픈소스에 기여하는 방법에 대해서 사소한것까지 나열해보고자 합니다. 보통 크게는 '직접 소스에 대한 패치를 보낸다', '번역에 참여한다' 가 있겠지만, '버그를 리포팅한다', '많이 사용해서 주위 사람들에게 알린다' 등도 있을 것 같습니다. 이런 것들을 모아서 위키에 정리해보고자 합니다.(혹시 이미 있나요? ;; )

제 생각으로는 bit torrento 클라이언트로 오픈 소스 프로젝트등을 받았을 때 계속 공유하는 것도 일조하지 않을까 하는 생각을 해봅니다. 제 대역폭을 약간 기증하는 생각도 드네요.

la9527의 이미지

아시아눅스 2.0 배포중이네요.

http://www.asianux.com/download.php

아직 다운로드 해보진 못했지만, 기대했는데 괜찮은지 해봐야겠습니다.

사용해보신 분들 사용기좀 올려주세요. ^^

atie의 이미지

오픈소스 Eclipse RCP, MS의 Smart Client에 승리한다.

제 마음에 들게 제목을 뽑았습니다.

Eclipse Project가 몇 개의 주요 프로젝트 별로 분할이 될 것이라는 소식과 함께 RCP를 가지고, MS의 Smart Client에 대응할 것이라고 Eclipse 프로젝트의 "치어리더" Mike Milinkovich가 밝혔습니다.
Eclipse Grows, Thanks to Users

Why Eclipse RCP is going to rule the world

[url=http://blogs.nuxeo.com/sections/blogs/eric_barroca/2005_08_24_coming-soon-cps-rich]CPS Rich Client based on

하하의 이미지

터미널 상에서 영어사전 프로그램 있나요?

man 처럼.

dic tought

하면 teach 의 과거형으로. 어쩌구 저쩌구

하게 나오는거요..

ㅎㅎ 있으면 정말 좋겠다~

ed.netdiver의 이미지

리눅스 불평을 한다면?(부제:리눅스! 이것도 OS냐?)

안녕하세요? 날도 꾸리꾸리하고 기분도 날씨따라가는듯 오늘은 이상한 posting함 해봅니다.

보통 리눅스에 대해 칭찬일색이잖습니까?
그럼 정말 불평이나 욕나올만한 일은 없는것인가? 하는게 이번 주제입니다.

뭐 당연하게도, 고맙게 빚지고 살면서 욕하는건 인지상정에 안맞다거나, 이건 개발자용도의 OS이므로 잘못되도 사불이라거나, 정말 최고의 OS라 흠잡을데가 없다던가 하는 식으로 흐르면, 얼굴붉어질정도의 험담이란건 불가능하지 않겠냐 싶어서, 리눅스를 M$제품이다라는 식으로 간주하고서의 혹평을 함 해보는것도 재밌을것 같다는 정신나간 생각을 함 해봤습니다.

권순선의 이미지

관심있게 살펴보고 있는 F/OSS 프로젝트는?

개인적인 흥미에서건, 혹은 업무상 필요에 의해서건 간에 특별히 관심있게 지켜보고 있는 F/OSS 프로젝트는 어떤 것이 있나요?

저는 http://kldp.net 운영 관련해서 http://gforge.org 의 개발자/사용자 게시판에 올라오는 내용들을 모니터링 하고 있고 http://bbs.kldp.org 운영 관련해서 phpbb의 릴리즈 현황을 바로 보내주는 메일링 리스트에 가입해서 그때그때 최신 릴리즈 현황을 확인하고 있습니다.

여러분이 관심있게 지켜보고 있는 F/OSS 프로젝트는 무엇인가요? 가능하다면 왜 해당 프로젝트에 관심이 있는지도 같이 이야기해 보면 좋겠습니다.

페이지

RSS - 블로그 구독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