블로그

불량도ㅐㅈㅣ의 이미지

[질문] 포트란 기초적인 Syntax 갈켜주는 사이트 없나요?

포트란 가르치는 교수님이 화공과 소속입니다.

프로그래밍 개념이 많이 부족 하신 듯해요.

그래서 강의 내용 너무나 쉽습니다.

문제는 내용이 너무 부실하다는 생각이 들 정도로...ㅡㅡ;;

하긴 대상이 프로그래밍을 전혀 모르는 학생이니까 이해는 되지 만은...ㅎ

c = sqrt(c)

이거 하나 말했는데 교수님 어찌나 칭찬을 하시던지 ㅡㅡ

그 때 박수도 받고 그랬는데, 솔직히 민망했습니다. ㅡㅡ a

Array를 우리말로 어떻게 번역하면 좋겠냐니까?

lacovnk의 이미지

리눅스 등 오픈소스의 개발과정에 관한 궁금증입니다.

오늘 MS가 대학교와서 하는 세미나(Jump to blabla..) 에서 이런 말을 들었습니다.

Quote:
제품의 마지막 10%를 위해서 50%이상의 노력이 들어가는데, 리눅스쪽에는 그것이 부족하다 blabla..

기타 악의적이랄까, 제가 아는 한에서도 이해가 안가는 비방이 있긴 했지만 ㅎㅎ 어쨌든 이 주제에 국한해서 질문을 던져보면,

리눅스를 포함한, 오픈소스 개발과정에서, 마무리 단계가 얼마나 고려되는지 궁금합니다. 개발자가 아닌 사용자의 편이성을 가장 큰예로 들 수 있겠고, 다른 것으로 무엇이 있을까요?

달려라반니의 이미지

윈도에서 쓸 자유 소프트웨어 추천 부탁드립니다.

리눅스를 쓰다가... 그만 등을 돌리고 말았습니다. 파티션을 죄다 싹
갈아엎고... 왜냐구요? 바로 foobar 때문이었죠... OTL

제작사가 제공해준 드라이버 업데이트하고 foobar에서 커널 스트리밍
으로 mp3를 돌리니 리눅스와는 전혀 다른 음악이 흘러나오네요.ㅠ_ㅠ

아 정말 파이어폭스도 이제 1.5가 등장을 해서 메모리 점유 문제도
더 개선되고 렌더링을 한층 더 빨라질 것이 기대가 되는 시점에서
음악 좀 좋게 들어보자고, foobar 하나만 보고 윈도즈로 다시 등을

feanor의 이미지

엘림넷의 주장

http://korea.gnu.org/gv/cpdp2.html 에 보면,

가사 위 재단이 주장하는 것처럼 위 프로그램이 오픈소스라고 하더라도 과연 어느 특정한 개인이나 회사가 최초 공개된 소스를 바탕으로 보다 업그레이드된 프로그램을 개발한 경우 반드시 이를 공개하여야 한다면 그 프로그램을의 공개와 관련하여 가하는 제한은 사실상 또는 법률상 무효인 것입니다. 왜냐하면 어차피 누군가는 위 프로그램을 바탕으로 업그레이드 할 것임이 분명하고 또 이를 영업상 사용할 수도 있는 것인데 이를 항상 공개하여야 한다면 이는 바로 "누구도 자신의 비용과 노력을 들여 영원히 업그레이드를 하지말고 원시 소스 그냥 사용하라는 것과 동일합니다." 즉 개인의 창의성, 경제성 및 이윤추구동기를 무한히 제한하는 것으로서 효력이 없다고 하여야 할 것입니다.

1day1의 이미지

Rails 제작자와의 인터뷰 - Ruby on Rails

http://wiki.rubykr.org/show/KoreanDoc_RubyOnRails_AnInterviewWithDavidHeinemeierHansson
를 보니 재미있네요. Rails 에 대한내용.

Rails 를 php 의 생산성과 Java 의 좋은 유지보수성 등의 장점들을 수용한 프레임웍

Quote:

PHP로 대변되는 문화는 빠르지만 좋은 코드는 아닙니다. 반면 Java로 대변되는 문화는 느리지만 좋은 코드를 만듭니다. 이 두개의 문화를 합치면 빠르고 좋은 코드를 만들게 되고 이것은 양쪽 진영에 환영을 받을 겁니다.

또한 중간에 프레임웍에 대한 생각도 나오네요.

jeongkyu의 이미지

윈도우용 오픈오피스 2.0 빌드 설명서

가끔 윈도우에서 오픈오피스를 빌드하는 방법을 묻는 분이 계셔서 윈도우용 오픈오피스 2.0 빌드 설명서를 직접 작성해서 블로그에 올려놓았습니다. 관심있는 분들에게 도움이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http://oooko.net/gomme/?p=109

참고로, 오픈오피스 프로젝트의 공식 빌드 설명서는 http://tools.openoffice.org/ 에서 찾을 수 있습니다.

SoftOn의 이미지

LGPL에 대한 질문이 있습니다.

OpenOffice가 LGPL로 바뀌다고 들었습니다.

이때 A library를 OpenOffce에 link했다고 가정했을때 다음과 같은 사항은 어떻게 해야되는 것입니까?

A library의 header 파일(*.h)을 배포해야된다???
A library의 license는 무효이다??

사실 *.so는 제가 만든 내용을 패치할때 제공되는 것이니 공개가 될 것이 분명한 반면 *.h도 제공해야되는지 모르겠습니다.

ps. A란 임의의 library명입니다.

ps2. 제발 license 보라고 하지 마세요.. 읽어봤는데 이해가 안되더군요.. --;;

ktd2004의 이미지

Trac 0.9beta1 버전이 릴리즈되었습니다.

kldp.net에서 Trac의 한글번역 프로젝트를 진행중인 KTD입니다.

이번에 trac-0.9beta1 버전이 릴리즈되었습니다.

Original Trac의 다운로드 링크입니다.
http://projects.edgewall.com/trac/wiki/TracDownload

0.9b1 버전에서의 변경사항입니다.
http://projects.edgewall.com/trac/wiki/ChangeLog

그리고 제가 이제까지 한글번역한 trac-0.9b1-ko의 다운로드링크입니다.
http://kldp.net/frs/?group_id=724&release_id=1469

계획은 wiki 페이지까지 모두 번역하는 거였는데 좀처럼 시간이 나질 않네요.. ㅠㅠ; (시간이 나는대로 조금씩 계속 진행할 예정입니다.)

channy의 이미지

Slashdot, Korea Post Office Supports XPCOM Based E-Banking

우체국의 XPCOM 기반 인터넷 뱅킹 서비스 개발 소식이 slashdotted됐습니다^^ 외국 사람들은 한국이 정부 기관도 ActiveX만을 쓰는 곳이라고 알고 있는데 인식이 조금 바뀌길 바랍니다.

http://it.slashdot.org/article.pl?sid=05/09/05/1821236&tid=154&tid=218

관련 Thread
http://bbs.kldp.org/viewtopic.php?t=59450

페이지

RSS - 블로그 구독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