블로그

warpdory의 이미지

리눅스 배포판 주도권「우분투로 넘어가나」

Quote:
세상에는 이용 가능한 리눅스가 적어도 386개나 있다는 사실은 자체 배포판을 만들고자 하는 데가 얼마나 많은지 잘 보여준다. 따라서 새로운 리눅스 배포판을 만들어 엄청난 지지자를 확보한다는 것을 결코 쉬운 일이 아니다. 하지만 우분투(Ubuntu) 프로젝트를 진행하는 프로그래머들이 이를 잘 해나가고 있다.

리눅스 배포판이란 리눅스 커널과 오픈소스 소프트웨어를 한데 합쳐 완벽한 기능을 가진 운영체제 제품으로 만들어 놓은 것을 뜻한다.

jeongkyu의 이미지

NASA의 World Wind

Miguel de Icaza 블로그를 보다가 NASA의 World Wind 라는 프로그램을 알게 되어 스크린 샷 몇 장 만들어서 제 블로그에 올려 봤습니다.
http://oooko.net/gomme/?p=121

Miguel 의 블로그: http://tirania.org/blog/archive/2005/Sep-30-1.html
World Wind 웹 페이지: http://worldwind.arc.nasa.gov/

NASA의 원 프로그램은 .NET 과 DirectX 를 이용한 윈도우용 프로그램이지만 리눅스에서는 mono를 이용하여 WW2D 를 돌려볼 수 있다고 합니다.

snoman의 이미지

이런 경우 GPL은 어떻게 적용되나요?

어떤 프로젝트에 참여해서 소프트웨어를 개발하고 있습니다. 공공기관에서 발주한 사업입니다.

만약 저희가 GPL을 따르는 소프트웨어를 가공해서 제공할 경우 저희나 기관이 준수해야 할 사항은 무엇인지요? 물론 당연히 소스 코드를 기관에 제출하니까 소스 공개의 의무는 따르는 것인데, 기관 역시 코드 공개의 의무를 지게 되는 것인가요? 공공기관이긴 합니다만, 외부에 공개되는 소프트웨어는 아니고 기관 내부에서만 사용합니다.

항상 느끼는 거지만 GPL은 너무 어려워요.

달려라반니의 이미지

윈도즈用 Mplayer의 한글 폰트 사용?

mplayer HQ에 있는 굴림과 돋음 12, 20pt 는 사용이
가능한데 리눅스에서처럼 TTF를 쓰려고 하니 도통
폰트를 읽어오지 못하더군요. 반드시 .dsec 이 존재
해야 하는데 윈도즈에서는 어떻게 해야 할 지 방법을
모르겠습니다.

흠.. 그리고 바이너리로 배포되고 있는 건 cpu detection
인가 하는 옵션을 활성화시킨거라 최적화가 된 게 아니라고
하더군요. 뭐 이거야 뒤져보면 최적화 버전을 구하거나
정 안되면 컴팔해서 쓰면 되긴 하지만... ㅡㅡㅋ

윈도즈에서 ttf나 ttc 사용에 대해선 메뉴얼에도 잘 나와 있지

jachin의 이미지

서울 서북부 지역 리눅스 유저 모임 (2006년3월 5일 공지)

서북부 지역 리눅스 모임을 갖습니다.

이번주에도 신촌 민들레 영토 신관에서 오후 2시부터 5시까지 모임을 진행하겠습니다. 새로 오실 분들은 연락해주세요. :)

019-408-8305 조성재

참, 신촌에서 모일 때에는 '문화비용' 5천원을 지참해 주세용.

이번주는 뽈살을 먹으러 갈 예정이기 때문에 가능하시다면 6천원을 더 준비해주세요. ^^ (돈이 없으시다면 상관없습니다만...)

ktd2004의 이미지

trac-0.9b2 버전이 릴리즈되었습니다.

Subversion과 통합되어 동작하는 프로젝트 관리툴(버그추적시스템 포함) trac-0.9b2 버전이 릴리즈되었습니다.

영문 trac-0.9b2 다운로드 링크입니다.
http://projects.edgewall.com/trac/wiki/TracDownload

trac-0.9b2 릴리즈에 대한 ChangeLog 파일입니다.
http://projects.edgewall.com/trac/wiki/ChangeLog

trac 한글번역 프로젝트의 trac-0.9b2-ko 다운로드 링크입니다.
http://kldp.net/frs/?group_id=724&release_id=1486

지금 한글 번역중인 trac의 위키페이지로 인해서 영문위키버전과 한글위키버전으로 두개의 파일을 kldp.net에 올렸습니다.

kenny007one의 이미지

OSS 진영의 GUI 라이브러리들의 우월성?

MFC로 대변되는 Win32 진영의 마이크로소프트사의 GUI 라이브러리들은 과연 OSS 진영의 GTK+나 Qt보다 우월할까 아니면 저급한것일까?

물론 볼랜드사와 같이 독자적인 CLX와 같은 라이브러리도 있겠지만요. 예외로 칩시다.

여러가지 면에서 Win32 와 OSS, 대표적으로 X-window 시스템의 GUI 라이브러리들은 비교될수 있겠습니다.

기술적 측면, 마케팅 측면, 유용성 측면, 접근성 측면, 등등..

하지만 중요한건 직접 쓰는 유저, 즉 개발자가 느끼는 것은 어떠냐는 것이겠지요.

ffnhj의 이미지

내가 찾던 그 계산기 Qalculate!

정말 이럴때 빙고를 외쳐야 한다는 느낌이 듭니다.

정말 내가 찾던 딱 그 계산기네요. 커맨드 프롬프트 타입 입력도 되고, 키패드 입력도 되고, 각종 함수, 상수, 변수, 히스토리, 심지어 원소 기호표까지!

이걸 몰라서 가끔은 숫자 계산 좀 한다고 터미널 열어, 파이선 띄워 그 안에서 계산하곤 했는데, 이제 이놈 쿠엘쿨레이트를 애용하기로 했습니다.

쓸만한 계산기를 찾는 분들께 적극 추천합니다.

윈도우에 보이는 함수를 아시는 분들이라면 아마도 필요하리라 짐작합니다.

뿌레리의 이미지

firefox 1.0.7 이 나왔답니다.

근데 왜 한글판은 아직 1.0.6 인거야 ....

http//www.getfirefox.com

chabrothers의 이미지

프비세미나 - Hello FreeBSD 준비중

프비세미나를 준비중입니다.

메인홈페이지는 http://freebsdcity.org 이며
세미나홈페이지는 http://semina.freebsdcity.org 입니다.

많은 관심을 부탁드립니다.

페이지

RSS - 블로그 구독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