블로그

la9527의 이미지

Mls 0.6.7 안정버전 릴리스.

0.6.5의 버그를 대부분 수정하였고, 안정버전으로 올렸습니다.

크게 바뀐 점이라면, gcc 2.9x 버전에서 컴파일 에러 문제가 해결되어, 레드햇 7.x 버전 및 수세 7.x 버전대에서 제대로 실행되게 된점입니다.

앞으로 mls2(예명) 로 프로그래밍 설계부터 새로 할 예정이며, 이버전은 안정버전으로 계속 올라갈 예정입니다.
불편한 내용이나 간단히 추가 할수 있는 내용은 계속적으로 이버전에 추가할 것입니다.

앞으로 약 3개월 기간동안 mls2 에 전념할 예정이며,

권순선의 이미지

KLDP.net 프로젝트 순위 계산을 주 단위에서 일 단위로 변경하였

http://kldp.net 초기화면 오른쪽 네비게이션 바에 나타나는 프로젝트 활동 지수 순위 계산을 기존에 주간 단위로 실시하던 것을 매일 실시하도록 설정을 변경하였습니다. 따라서 프로젝트의 활동 지수는 이제부터 매일 새벽 2시경에 업데이트됩니다.

이는 각 프로젝트 간의 건전한 경쟁을 유도하여 좀더 활기찬 분위기를 만들기 위함입니다. 프로젝트 활동 지수는 CVS/SVN commit 빈도수나 버그 트래커 활용, 게시판 글 수 등으로 측정됩니다.

자, 내일의 1위 프로젝트는 과연 어느 곳이 될까요? 현재 1위는 mls 프로젝트입니다.

권순선의 이미지

F/OSS 관련 blogger를 찾습니다.

우리나라에서 F/OSS에 관련된 내용의 blog가 있으면 좀 알려 주세요. 홈페이지 url과 rss feed의 url을 모두 알려 주시면 더 좋겠습니다.

행복한고니의 이미지

오픈 데이타 프로젝트(?)

오픈소스 관련 글들을 주욱 읽다가 보니 대게는 "프로그램" 이라는 결과물쪽으로 초점이 맞추어져있는 것 같습니다. 그래서 저처럼 프로그래밍 실력이 안된다고 생각하는 사람들은 참여하기가 꺼려지는 거구요.

이런저런 생각끝에 떠오른 생각인데, 데이타 자체를 오픈소스로 만들어가는 것은 어떨까 생각해봅니다. 간단한 예로는 "영한사전"의 경우 꽤 많은 프로그램들이 포털에서 서비스되고 있는 영한사전을 링크하는 정도인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만, 진짜 "사전데이타"가 있어서 그것을 누구든 자유롭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하면 어떨까...하는 생각입니다. 위키디피아처럼 자유로운 사전이 binary 형태로 제공된다고 생각하면 더 이해가 쉬울까요?

파도의 이미지

FC4 용 QEMU 0.7.1 패키지가 나왔네요..^^

QEMU 사용하시는 분 계신가요?

QEMU 0.7.1 버전이 배포된건 지난달 24일 같네요..

QEMU Accelerator 모듈 0.7.1도 함께 업되었네요.

http://fabrice.bellard.free.fr/qemu/index.html

페도라 코어 4용 RPM 패키지는 아래 페이지에서 구할 수 있습니다.

http://fedoranews.org/tchung/qemu/0.7.1/

RPM 패키지 정보:
http://fedoranews.org/wiki/Fedora_Weekly_News_Issue_7#QEMU_Version_0.7.1_Released

Win98se 이미지를 띄워 봤는에 잘 작동하는 것 같네요.
이번 버전에서는 Win98도 가속 모듈을 사용할 수 있는 것 같긴 한데, 속도가 향상됐는지는 잘 모르겠네요.

kicom95의 이미지

대학에서 꼭 배워야 할 과목은 ??

안녕하세요 좋은 토론 제목으로 명예의 전당에 가려고 합니다 :twisted:

정말 대학에서 꼭 배워야 할 전산 관련 과목이 뭘까요 ?

요즘 자유 게시판에도 학과에서 뭘 배우는 지 이야기도...크게

회자 되고 있구요.

댓글로 한번 커리 큘럼을 만들어 보지요 ^^;;

이 토론이 필요하다는 생각은...

비 전공하신 분들은 이걸 보시고 공부하시면 좋구....

또 학교마다 커리 큘럼이...또 부족한 과목은 서로...

요즘들어 기본기가 많이 필요하다는 생각이 듭니다.

세벌의 이미지

왜 Asianux에는 한글페이지가 없을까?

http://www.asianux.com/about_us.php 를 보면

Asianux is a Linux server operating system which is co-developed by Chinese Leading Linux vendor Red Flag Software Co., Ltd. and Japanese Linux vendor Miracle Linux Corporation and Korean Linux software vendor Haansoft, INC, aiming at the common-standard enterprise Linux platform for Enterprise systems in Asia. It provides enterprise customers with high reliability, scalability, manageability and better hardware & software compatibility.

이렇게 나오는데 아시아눅스 홈페이지엔 영문, 중문, 일문 페이지는 있고 왜

권순선의 이미지

F/OSS에 덴 적이 있다면?

저는 bdb에 대해서 상당히 안좋은 기억이 많습니다. 그래서 웬만하면 bdb는 믿지 않지요. 예전에 한번 kldp.net에서 slapd가 bdb 인터페이스를 사용하도록 설정되어 있을 때 서버가 폭주 현상을 일으켜서 해결하는데 한참 고생을 했고, 바로 어제까지는 KLDP Wiki가 갑자기 접속이 잘 안되는 현상 때문에 아파치를 1.3.x로 다운그레이드하고 며칠동안 로그를 뒤지는 등의 삽질(?)을 하다가 결국 KLDP Wiki에서 bdb 인터페이스를 사용해서 페이지 조회수를 기록하는 부분 때문에 문제가 생겼다는 것을 알게 되어 허탈해한 적도 있고, 그외에도 정확히 기억은 나지 않지만 bdb 때문에 애를 먹은 적이 몇 번 있습니다.

BarracuTa의 이미지

KLDP.net ??

상상과 다르게 약간은 머랄까.....조용하다고 할까요?

글을 읽어도 눈에 들어오지않았습니다...그래서 조용하게 빠져나왔지요...

la9527의 이미지

같이 Mls 개발하실 분을 모집합니다.

먼저 Mls 를 많이 이용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원래 프로젝트 메니져인 승중님이 개인적인 사정으로 인해서,
제가 프로젝트 메니져로 이어 받았습니다.

앞으로 ncurses를 포함해 QT, GTK+ 쪽으로 Mls를 개발할려고 하는데, 개발 인원이 저 하나만 있어 부족한 면이 많을 것 같아 Mls를 같이 개발해 나갈 동료를 모집합니다.
많은 스킬까지는 필요로 하지 않고, c++을 어느정도 이용할 줄 아시고, qt나 gtk를 배워 뭘좀 해보겠다 라는 생각을 가진 분들이라면 누구든지 대환영입니다.

페이지

RSS - 블로그 구독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