블로그

권순선의 이미지

세계최초로 공개하는 NetBSD 최신 버전 CD 디자인 :-)

오늘은 Usenix ATC의 NetBSD BoF에 대해서 간략하게 적습니다. BoF는 Birds of a Feather의 약자로서 특정 주제에 대해서 관심있는 사람들이 모여 자유롭게 이야기하는 것입니다.

Usenix의 정규 행사가 끝난 저녁 시간에 비어 있는 강의장을 BoF를 위한 장소로 활용하고 있는데 그 중에서 NetBSD BoF에 참석했다가 아직 릴리즈되지 않은 NetBSD 시디롬의 자켓과 시디롬의 사진을 찍었기에 공개해도 좋다는 확인을 받고 올립니다.

la9527의 이미지

Mdir 리눅스 클론 - LinM 0.7.10 릴리스이 되었습니다.

위의 로고는 아직 확정된건 아니지만, 차후 버전이 QT로 만들어지는데, 그때 이용할 로고입니다. ^^
로고를 만들어주신 김기태님께 감사드립니다. ^^

현재 QT는 작업중이고, 짬짬히 기존의 버전을 버그 수정하고 추가하여 다시 릴리스 하였습니다.

권순선의 이미지

FSF Office 방문기

5월 30일 어제 보스턴에 있는 FSF 사무실을 방문하였습니다. 저는 지금 Usenix 06 Annual Tech Conference에 참가중인데 올해 행사가 마침 보스턴에서 열리게 되어 FSF쪽과 미리 약속을 해서 방문을 하게 된 것입니다.

제가 방문한 시기가 우리나라로 치면 현충일 바로 다음날이라 휴가를 낸 사람이 많아서 FSF 사무실에 근무중인 사람은 그다지 많지 않았습니다.

netkit의 이미지

프로그래머 언어

프로그래밍 언어가 아니라 프로그래머 언어.

역시 상당히 오래 된 우스개입니다. '과학 논문 언어'와 비슷한 우스개인데, 어느 쪽이 원형인지 판가름하기 힘들군요. 이 쪽이 원형일지도 모릅니다.

-----

프로그래머 언어

1. 다각도에서 접근하고 있으며
- 여태 삽질만 했어.

2. 새로운 접근 방식을 토대로 보고서가 추가 작성되고 있습니다

inureyes의 이미지

구글 피카사 리눅스 버전 출시

구글에서 예전에 발표했던 Picasa 리눅스 버전을 내놓았습니다.

Picasa가 윈도우 네이티브 인터페이스를 거의 사용하지 않았기 때문에 포팅이 어렵지는 않았다고 합니다. 소스코드의 대부분은 그대로이고, 일부 윈도우 네이티브 의존 부분만 독립적으로 작동하도록 재작성 하였다고 하는군요.

하부구조는 wine으모, 인터페이스는 mozilla의 gecko 엔진으로 작성되었다고 밝히고 있습니다.

1day1의 이미지

전세계의 무선랜을 공유한다.

http://hypercortex.net/ver2/155

FON 이라는 재미있는 서비스 입니다. - http://www.fon.com/
http://jp.maps.fon.com/ 처럼 서비스 지역을 알 수 있습니다.

국내에도 서비스되면 좋겠습니다.

1day1의 이미지

새로나온 소니의 UMPC , 블랙베리

삼성-소니, 초소형 PC 시장 `격돌` 아직은 UMPC 의 가격이 만만치 않군요. (가격아 떨어져라!!)

오히려 블랙베리가 더 끌립니다 - http://news.empas.com/show.tsp/cp_ed/20060529n02647/
그렇지만, 이놈도 그렇게 만만한 가격은 아니군요.

feanor의 이미지

DTrace for FreeBSD

DTrace for FreeBSD는 OpenSolaris의 DTrace를 FreeBSD 커널로 포팅하는 프로젝트입니다. 포트가 많이 진행된 것 같네요. 데모를 보면 자기 시스템에서 make buildworld를 했을 때 어떤 파일들을 몇 번씩 여는지 세는 예제 등이 있습니다.

Sun에서 DTrace를 개발하고 있는 Bryan Cantrill이 이 주제로 블로그를 썼습니다.

feanor의 이미지

Six Feet Up

Six Feet Up은 Plone으로 웹사이트를 개발하는 회사입니다. 첫 화면에 샘플들이 있는데 구경해 보면 재밌습니다.

moonhyunjin의 이미지

Ubuntu 6.06 LTS (Dapper Drake) Beta 2 사용 소감

W132S에 Desktop 버전을 설치를 했다. 설치하고 간단히 몇 가지만 해봤다.

Fantastic
liveCD로 부팅하고 그놈에서 별도의 설치 프로그램이 우분투를 설치한다. CD로 부팅하면 바탕화면에 install이라는 아이콘이 있다. 그걸 클릭하면 진행한다.

Good
i810_drv 이상없이 잘 돌아간다.

페이지

RSS - 블로그 구독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