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유 게시판

jouonal의 이미지

리눅스의 구조적인 장점이 모놀리틱 커널이라는 건가요?

리눅스의 구조적인 장점이 무엇일까요? 학부생이라 깊이있게는 공부 못하겠는데, 구조적인 가장 큰 특징이 모놀리틱 커널이라는 것을 알게되었습니다.
모놀리틱 커널이라는 것이 유저 영역과 커널 영역을 나누고, 커널안에 프로세스 관리, 메모리 관리 등의 OS가 관리하는 모든 기능을 가지는것이라 하는데

이렇게 되면 유저영역과 커널영역이 나눠짐에 따라 시스템의 안정성이 높아지고, OS의 모든 기능이 제공되므로 구현함에 있어 노력과 시간이 절약된다고 생각하면 될까요??

soc1의 이미지

수익모델 없는 게임이 가장 훌륭한 게임이다.

오늘 트위터에 IMC게임즈 김학규 대표의 글이 올라왔다.
항상 이런 관점도 있구나 하는 면에서는 상당히 유익한 글이다.

그 중에서도 주목할 만한 글은 이런 글이다.

[유리나라의 똑똑한 인재들이 대다수 게임산업분야에서 일한다는 현실은 대한민국의 문화수준이 세계대중문화의 첨단에서 있기 때문이다. 게임산업은 게임을 만드는 산업이 아니라 인간행동과 감정을 연구해 대응하는 행위가 산업화된 것이다.]

[ 인간이 의식주의 기본적 문제를 해결하고 나면 아름다움과 존엄에 관심을 갖게 된다. 게임이라는 사회안에서 개인이 추구하는 궁극목적은 말초신경의 자극이 아니라 '존경받음'이다. 게임회사는 '존경'의 교환가능한 매개체와 플랫폼을 제공한다.]

한국의 대중문화가 세계대중문화의 첨단에 서 있다는 건 잘 모르겠고 게임산업이 인간행동과 감정을 연구해서 대응한다는 거야 머 넥슨이 하는 걸 보면 뻔하지만, 그건 게임의 발전에 도움되지 않는다고 본다.

현실과 관련없는 가상세계는 의미가 없다고 본다.

soc1의 이미지

오늘은 내 발가락이 다 나아서 기분이 좋았다.

오늘은 내 발가락이 다 나아서 기분이 정말로 좋았다.

게임중독법 같은 병신같은 법을 만드는 정부야 그렇다 치고

병신같은 국민들이 있으니까 병신같은 나라가 되는건 당연하지~

MyAbby의 이미지

불법 소프트웨어의 경계

안녕하세요.

갓 회사에 현장실습 나가고 있는 고딩입니다. 사회생활 간간히 시작하고 있어요.ㅎ

지도 받으면서 궁금한 점이 있습니다.

당연히 기관에서는 불법을 쓰면 안되죠. 하지만 집에서는 여전히 불법이 몇게 깔려 있는게 제 현실입니다.

만약 이 집에 깔려있는 소프트웨어를 회사에서 원격을 통해 사용한다면 여전히 불법인가요?

그럼 책임은 회사에게 있나요 저에게 있나요? 물론 단속 시점에서 입니다.

학교에서 원격으로 개발을 많이 했었는데, 그 기억에 갑자기 궁금해 그적여 봅니다.

goforit의 이미지

똑똑하게 질문하는 요령 (How To Ask Questions The Smart Way)

출처:http://www.catb.org/~esr/faqs/smart-questions.html

#목적에 맞는 포럼 선택하기(Choose your forum carefully)

#적절한 제목을 선택하기 (Use meaningful, specific subject headers)
바보: 세상에! 응급 비디오카드 동작한해 도와줘!
일반: 엑스윈도우가 Fooware Chip가 잘 안돼.
총명: 엑스 윈도우: 마우스 커서 Fooware Chip : 이상 징후

vani2의 이미지

2D게임에서의 보간법

베지어 곡선 보간법http://ko.m.wikipedia.org/wiki/%EB%B2%A0%EC%A7%80%EC%97%90_%EA%B3%A1%EC%84%A0

3D게임에선 애니메이션 오차를 보완하기위해 보간법을 사용하던데..

2D게임에서도 보간법이 사용되는 때가 있나요?

제 개인적인 생각이지만.. 2D게임에선 베지어곡선등에 자주 사용될 것 같네요.

혹시 2D게임에 보간법이 사용되는 사례가 곡선 그리는것 말고도 있나요?

bangzoo0447의 이미지

진로 상담좀 부탁드립니다.

저는 해외에서 유학중이고, 고등학교에서 CCNP까지 따는 교육과정을 마칠 학생입니다.

이제 저도 어떤 대학을 갈지 선택할 시간이 되었는데

어떤 대학에 가서 뭘 배워야 할지도 잘 모르겠습니다.

일단 저는 Cisco 에서 주관하는 IT Essential 1,2 그리고 IT Networking 1,2,3,4

총 6개의 대학교에서 인정이 되는 Credit들을 따 놓았습니다.

자격증도 CCNA, 그리고 곧 CCNP까지 나올 예정입니다.

가능하면 나중에 실제 직업을 가지게 될 떄까지, 가능한 많은 것을 배우고 싶습니다.

CCIE, 그리고 제 능력이 된다면 CCAr까지도 노려보고 싶습니다.

저는 이제 무엇을 하는게 가장 바람직할지 실제 현역 전문가 분들의 조언을 구하고 싶습니다.

제 counselor로부터 CA의 왠만한 대학은 다 지원 가능하다고 들었습니다.

하지만 대부분 대학들이 Networking 쪽으로는 지원하는 수업이 없더군요;;

getbest1의 이미지

리눅스,윈도우를 공부해라?

리눅스를 공부할 예정인데..

유닉스와 windows에 대해서 공부를 하세요. 유닉스는 리룩스를 사용해서 익히셔도 됩니다. 대표적인 OS에 대해서 익히는 것은 매우 중요합니다. 지금 사용하는 윈도우즈의 작동원리등을 익히는데, 서점에서 가보면 적당한책들이있을껍니다. (분산객체 시스템이나 네트워크 관련 OS책을 구입하시면 됩니다.)

인터넷 글에 찾아보다가 이렇게 공부를 하라는데 ?

서점에 너무 다양한 책들이 있어서 뭘 공부하라는건지 잘모르겠는데 .. 알려주실분~ 없나요?ㅠ

페이지

자유 게시판 구독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