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유 게시판

soc1의 이미지

커뮤니티의 연합? 인텔, NVIDIA, AMD는... 인류의 미래는...

커뮤니티의 연합이라는 얘기 자체와는 별 관련없는데

자본주의 사회에서 기업이 사업리스크를 벗어나기 위해 하청업체에 생산을 맡긴다는 것 이 부분에 대해서
인텔 AMD NVIDIA가 사업하는걸 보면 인텔은 메인보드 사업을 ASUS 같은 중국/대만계 하청업체를 이용함.
NVIDIA AMD도 크게 사정은 다르지 않아보임.

이것도 2020년쯤에는 우리가 알던 x86 업체 중 내부 부품 생산자가 모조리 전멸하고 HP, Dell, Samsung 같은 완제품 생산자와 ntel, AMD, NVIDIA, Samsung 같은 칩셋, 코어 생산자만 살아남을 듯하기도 하고. 일반소비자가 구매할 수 있는 CPU, 그래픽카드, 쿨러 같은게 다 없어질 듯.

마이크로소프트가 이때까지도 살아남는다면 그 때 세상은 윈도우즈와 안드로이드가 종합플랫폼의 자웅을 겨루고 있을 듯.

마이크로소프트 VS 구글
윈도우즈 VS 안드로이드

종합점유율도 48.0% : 51.6% 정도로 매우 치열한 싸움이 전개될 듯.

커뮤니티의 연합을 얘기했는데

백연구원의 이미지

인증서 질문 좀 하겠습니다.

손도장 알고리즘의 종류에 대해 알고 싶은데, 어디서 확인 가능할까요;
구글에는 "손도장 알고리즘"을 중점적으로 검색했는데, 다른 검색어가 있다면 부탁드립니다.

soc1의 이미지

오늘은 그래픽카드 UEFI GOP 바이오스 개조 성공했다.

몇 번 이메일을 보내도 답변 없길래

직접 개조했는데 그냥 작동함.

자세한 과정은 안알랴줌

proin의 이미지

Google App Engine 으로 만드는 나만의 마이크로 블로그

대전에서 코드랩 행사를 합니다~
많은 참여 부탁드려요!

<< Google App Engine 으로 만드는 나만의 마이크로 블로그 >>

참가 신청 : http://goo.gl/aXZplh
행사 날짜 : 11월 30일 (토요일) 오후 1시 ~ 오후 7시
행사 장소 : 카이스트 KI 빌딩 5층 Lecture Room B501호
(http://goo.gl/maps/nkccK)

안녕하세요 Google Developer Group Daejeon 입니다.
11월 30일 오후 1시에 카이스트 KI 빌딩 5층 Lecture Room(B501호)에서 Google App Engine 으로 만드는 나만의 마이크로 블로그 라는 주제로 직접 참여형 세미나(코드랩)을 진행합니다.

** 참여하신 분들께는 저녁식사와 티셔츠 그리고 기념품을 드립니다.

Joolme의 이미지

게임중독법?

게임 사전심의와 그 비용의 생산자분담 법안으로
아마추어 게임계와 인디게임계의 대학살을 단행해서 초토화 시킨뒤에
명백한 책임이 있는 대기업에 독점환경을 만들어준 다음
이제는 그것도 모자라서 게임중독법을 만든다고 하내요...

이제 게임 게발자를 가스실에 몰아 넣고 학살하는 법만 나오면 완벽하겠군요...

법은 인간을 위해 존제하는 것입니다.
인간이 법을 위해 존제하는 것이 아닙니다.

법이 인간과 사회에 명확히 해가 된다면
그것은 법률로서 의미를 상실한 것입니다.

그런 법률은 지켜서는 안되며
지켜야 한다고 누군가 강요하고 협박하고 괴롭힌다면
적어도 저는
싸울 준비가 이제는 되어 있습니다.

국민중에
살인자가 있고
도둑이 있고
강도가 있다고 해서
모든 국민이 집밖으로 나올때 알몸 검사를 해야 한다는 법과 다름 없는 법률을 만들어 놓고
법이니 지키라고 한다면
나는 못지키겠습니다.

dnjsgk의 이미지

현업 종사자분들께 진로 상담드립니다.

안녕하세요.
저는 현재 일본의 한 문과 대학교에서 3학년에 재학중인 학생입니다.
한국인이구요.

저번에도 프로그래밍을 하면서 몇 번 KLDP의 도움을 받은 적이 있습니다만,
본격적으로 진로를 결정해야 할 시기가 다가와서 현업 종사자분들께 조언을 듣고싶어서 글을 올리게 되었습니다.
조금 길지만 꼭 읽어주시고 조언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저는 현재 한국 나이 25살로, 프로그래머로 진로를 생각하고 있습니다..
군복학 후, 올해 초부터 프로그래밍에 흥미를 느껴, 독학으로 기본서 한권씩 읽은 수준이지만,
C언어와, 자료구조및알고리즘, 윈도우즈시스템프로그래밍, OpenGL등을 공부하였고,
혼자서 만들어본 프로그램으로는, OpenGL을 사용한 볼륨 렌더링 프로그램이 있습니다.
CT사진을 인터넷에서 여러장 다운로드받아, 그 여러장이 겹쳐서 보이게 하는 프로그램이에요.
학교에 컴퓨터관련 학과는 없지만 조그만 컴퓨터그래픽스 연구실이 있어서,
이 프로젝트를 할 때는 그곳에서 이론적인 부분에 도움을 받았습니다.

dlawoals890의 이미지

임베디드에 관심이 생겨 임베디드 시작하려고 합니다

컴퓨터공학과 3학년인데 임베디드에 관심이 생겨서 임베디드 시작을 하려고하는데
윤덕용 교수님 AVR atmega128 정복 같은 마이컴으로 시작해도 괜찮을까요?
아니면 아두이노나 라즈베리파이 같은걸로 해야하나요?

emptynote의 이미지

어떤 파일을 특정 크기의 파일 조각으로 나눌때 필요한 파일 조각 갯수를 구하는 공식의 증명 어떻게 해야죠?

어떤 파일을 특정 크기의 파일 조각으로 나눌때 필요한 파일 조각 갯수를 구하는 공식의 증명 어떻게 해야죠?

이렇때 공부 않하고 나이만 먹었구나 그런 생각이 듭니다.

(정수){(파일 크기 + "파일 조각 크기" - 1) / "파일 조각 크기"} = 필요한 파일 조각 갯수

공식처럼 외운거라 막상 증명해 보겠다고 노트에 끄졌였지만 자신이 없네요.

정리1) 파일 조각크기, 파일 크기, 필요한 파일 조각 갯수는 양의 정수이다.

정리2) 나머지 = 필요한 파일 조각 갯수 * 파일 조각 크기 - 파일 크기

정리3) 0<= 나머지 < 파일조각 크기

정리4) 나머지 = 파일 조각크기 - 1 일 경우 위의 정리들을 만족함

비겁한 변명을 하자면 저는 수학과가 아닙니다.

페이지

자유 게시판 구독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