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딩 관련해서 도움좀 요청합니다.

아히로나의 이미지

확장 NIC까지 껴서 총 8g본딩을 했습니다.

8g본딩을 했을시 8포트에서 골고루 이용이 됐습니다.

이후 한 개의 NIC를 죽이고 4g본딩으로 테스트를 진행 했는데 한 포트에서만 1g정도가 쓰이고

3개의 포트에서는 200mb로만 이용이 됐습니다. 고객사에서 왜 이러느냐 하는데 명확히 알 수 있는 사람이

없어서 NIC 장비가 잘못 된거 같다 이런식으로 좀 얼렁뚱땅 넘어 갔습니다.

본딩 모드는 라운드로빈으로 돌아가가 설정 했습니다.

이에 대해 예상되는 부분이 있거나 짐작이 가시는 점이 있으면 도움을 주세요

저희 쪽에서는 본딩을 잘못했거나 역시 NIC문제 아니겠냐는 식으로 생각을 하고 있습니다.

sanctuaryofreo의 이미지

서버쪽 말고 스위치쪽 셋팅을 확인해 보시죠. LACP인지 아닌지부터...

ver2336의 이미지

라운드 로빈은 데이터가 정확히 고루 분산이 되지 않습니다.

대개 시스템은 TX/RX 패킷중 한 개로 치우쳐저 있어서 그래요.

네트워크 대역폭을 위해 사용하시는 거라면, LACP(bonding level) 를 사용하셔야 됩니다.

LACP 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서버도 LACP / 스위치쪽에서도 LACP 세팅을 해주셔야 합니다.

구글에서 LACP 를 검색 해보세요.

elflord의 이미지

-


===== ===== ===== ===== =====
그럼 이만 총총...[竹]
http://elflord.egloos.com

potatogim의 이미지

클라이언트가 최대 대역폭을 점유할 수 있을 만큼 많지 않다면 원하시는 바와 같이 균등하게 분배되지는 않습니다.

스위치를 거치는 과정에서 분배에 대한 정책을 통과하게 되는데, 일반적으로 송수신지의 MAC 주소나 IP 주소에 기반하여 채널된 스위치 포트 중 하나를 택하여 해당 포트로만 통신하게 됩니다.

본딩 모듈을 올리는 과정에서 xmit_hash_policy를 조정하여 송신에 대한 부분을 조율 가능하나, 현재 상황이 server to server로 대역폭 전체의 활용을 원하시는 것이라면 다른 방안이 필요하다고 보여집니다.

Talk is cheap. Show me the code.

https://www.potatogim.ne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