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유 게시판

맨발의 이미지

안드로이드에서도 세벌식 한글 키보드를 사용할수 있도록 구글에 요청해주세요.

https://play.google.com/store/apps/details?id=com.google.android.inputmethod.korean&feature=nav_result#?t=W251bGwsMSwxLDMsImNvbS5nb29nbGUuYW5kcm.....

위 주소로 가시면 google play의 구글한글 키보드 앱으로 연결 됩니다.
리뷰에 한글 키보드에서 세벌식을 지원 할 수 있도록 요청글을 달아주세요.

핸드폰 등에서 엄지로만 타이핑 할 때는 두벌식이든 세벌식이든 그닥 중요성을 느낄수 없습니다.
하지만 테블릿 제품도 많이 나와 있는 요즘, 블루투스로 연결되는 외장 키보드를 사용하면 얘기가 틀려지죠.

morecream의 이미지

정말 미국의 CS대학원들이 돈만 내면 가기 쉽나요??


http://kldp.org/node/119381

이 글타래를 보고 질문드립니다.

보면 석사과정은 돈장사라서 돈만 내면 미국의 CS대학원들도 가기 쉽다고 하는데요.

상위 TOP 5 안에 드는 스탠퍼드,MIT, UC버클리, 카네기멜론공대 같은 대학들도 돈만 내면 얼추 가기 쉽나요??

그리고 또 한가지 질문은,

위 글타래를 보면 "차라리 박사과정을 하라" 는데,

한국에서 학부과정 마치고 바로 미국에 대학원 박사과정을 들을수 있나요??

학부-석사-박사 이렇게 순서대로 해야 하는거 아닌가요.....??;;;

제가 무식한 건가요??ㅠ 누가 답좀 해주세요~

fhdaos10의 이미지

vhdl 사용하는 초보입니다 에러가 왜생기는지 모르겠습니다

library ieee;
use ieee.std_logic_1164.all;

entity mux81_system is
port(a,b : in std_logic;
sel : in sed_logic_vector(2 downto 0);
y : out std_logic);
end mux81_system;

architecture block1 of mux81_system is
component mux81
port(i1,i2,i3,i4,i5,i6,i7,i8 : in std_logic;
sel1 : in std_logic_vector(2 downto 0);
out_8 : out std_logic);
end component

signal or_sig,and_sig,xor_sig,nand_sig,nor_sig,nota_sig,notb_sig : std_logic;

riso9978의 이미지

전산 화면 단가는 어떻게 책정해야 할까요 ㅋ

중견기업 사내 전산시스템 개발업무를 하고 있습니다.

회사가 폐쇄적이고, 영업지향적이기 때문에 개발/수정이 많은편인데

요즘은 정도가 싶하네요 ㅋ

하반기에만 약 20개 정도의 화면이 신설되고 앞으로 관리되어야 하는 상황인데요.

사업 다각화라던가 그런게 아니고 상위영업부서의 편의를 위해 만들어지는 화면이지요.

요즘 불경기고 사내정치에 이리치이는 상황이라 협조를 하고 있는 상황이긴 한데

이게 회사 운영상으로도 좋은 방향은 아닌것 같다는 생각이 자꾸 드네요.

중구난방으로 관리되고 있는 전산시스템이라 프로세스를 무시하는 예외가 난무하거든요 ㅋ

영업관리의 꼼수가 눈에 들어오는와중에도 뭐 회사 특성상 개발/운영을 할수밖에 없는거죠.

현업담당자의 협조가 부족해 프로세스 정규화는 어려운 상황이라 계속 관리하는 프로세스만 늘어나는 상황이지요.

그러던 와중에 의문이 드네요.

현업 담당자들은 얼마로 생각하길래 이렇게 무분별하게 화면을 만들어 대는지?

실제 단가를 얼마로 책정해야 좋을지를 말이죠 ㅋ

battlexnwl의 이미지

프로그램에 할당된 커널쓰레드 수와 프로세서에 대해서 질문 할게요

운영체제개념 공부를 하고 있습니다.

근데 예제문제가 오타인건지는 모르겠지만 답을 어떻게 해야 할 지 잘 몰라서 이렇게 질문 올려봅니다.

제가 아는 건요

커널쓰레드 수가 프로세스 수와 같으면.. 일대일 대응이 가능하고 따라서 커널쓰레드가 멈춘다거나 하면 프로세스도 놀겠죠.

커널쓰레드 수도 많고 프로세스 수도 많은 다대다대응 방식의 경우(프로세스 수가 더 많을 때)가 이상적이라고나 할까요.
그럴 땐 커널 쓰레드가 죽어도 프로세스가 idle상태가 되지 않을 수 있어요(병행 수행 하니까)

그런데 a.번 문제는..

커널 쓰레드 수가 프로세스 수보다 많은 경우는 어떻게 될것인가 ? 하는 건데

글쎄요.. 그냥 제 생각에는 프로세스는 제대로 진행되고 남는 커널쓰레드는 운영체제에서 삭제(?)할 것 같다는 생각이 드네요.

isson16127의 이미지

emacs 키 배치가 왜 pinky 한지에 대한 좋은 글이 있네요.


이맥스 사용시 , capslock 위치에 control 키가 있는 선타입 키보드처럼 사용해보기도 했는데,

전 그다지 쉽게 적응되지 않았습니다.

그래서 전 대문자 타이핑시 shift키 사용하는것처럼 양쪽 ctrl , alt 키를 모두 씁니다.

그런데, 아래 글을 읽고 보니, 본래 lisp 머신용 키보드처럼 ctrl 키와 alt 키 위치가 바뀌면 훨씬 더 편할듯합니다.

보통 한글/한자 키가 없는 104키는 스페이스 바로 옆에 alt키가 있는데, 그곳에 ctrl 키가 있으면, 더 좋을 듯 합니다.

그런데 그런 키보드는 아직 못본것 같고, auto hotkey 같은 프로그램을 사용해서 ,

소프트웨어적으로 에뮬레이션해서 쓰면 어떨까 합니다.

혹시 이렇게 쓰시는분 계시나요?

ergoemacs.org/emacs/emacs_kb_shortcuts_pain.html

k1d0bus3의 이미지

죄송하지만...어리버리한 질문 2가지

1. 본인이 쓴글은 어떻게 편집합니까?

2. 제가 쓴글을 목록에서 보면, 메일아이콘에 불이 꺼져있던데,
그거 어떻게 킵니까?
키면 어떻게 되는거죠?

k1d0bus3의 이미지

cpu추천 부탁드립니다.(리눅스/개발/서버용)

다른 하드웨어 사양은 동일하다는 가정하에, 데스크탑용 cpu를 추천해주셨으면 합니다.
64bit 우분투계열의 리눅스를 2-3개 깔아놓고 쓸겁니다.
용도와 고려사항은 다음과 같습니다.

0. 최신버젼의 os(리눅스)를 사용해보는데 문제가 없어야함.
1. 대용량의 소스를 가져와 빌드하는 과정을 무한반복 (google chromium os 개발)
2. ssh/http 및 기타서버 (주4일정도 24시간 켜둠)
3. 가상머신 사용
4. 게임/멀티미디어 잘안씀
5. 가성비 고려

가성비를 생각해 amd계열의 3-4코어를 가진 제품을 생각중입니다만,
컴파일러지원이나, 안정성(메인보드,발열)에 문제가 있다는 얘길 들어서 망설이고있습니다.
또한 정수연산과 부동소수점 연산능력은 무엇과 관련이 있는건가요?
조언 부탁드려요~

페이지

자유 게시판 구독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