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day1의 이미지

액티브엑스(ActiveX)를 써야할지도 모를상황, 당신의 대처는?

그냥 자유게시판에 쓰는 것이 좋을지, F/OSS 게시판이 좋을지 모르지만, 우선 씁니다.
적절한 곳에 넣어주세요.

active-x 가 주로 웹개발에 사용되니, 그에 맞는 상황에서 어떻게 대처할 것인지 이야기를 나누면 좋겠습니다.

상황 : 당신의 고용주는 어떤 기능을 원합니다. 그 기능은 웹에서 파일을 올릴때 여러개를 선택해서 같이 올리고 싶어합니다. 그리고, 비슷한 사이트를 보여줍니다.

분석 : 그 사이트는 active-x 를 사용한 파일업로드 기능을 포함한 사이트 입니다. 여러개의 파일을 선택할 수 있고, 업로드 할 수 있습니다. 업로드시에 진행바를 보여줍니다.

atie의 이미지

Eclipse Web Tools Platform Project(WTP)

8월초에 wpt 0.7 버전이 발표가 되었습니다. 백문이 불여일견인지라 테스트 작업을 해보고 스샷 첨부합니다. 이 tutorial을 보고 따라 해 보았습니다.

사용 소감,
제 경우는 Java로 웹 쪽 작업을 하는 일이 거의 없기에 MyEclipse는 가지고 있지 않고, 간간히 테스트 겸해서 Tomcat에 SysdeoLomboz를 붙여서 사용하는 정도입니다만, 두 개 대신에 0.7 버전이라도 wpt를 쓸 작정입니다. Tomcat 뿐만 아니라 Geronimo (ActiveMQ 테스트 할 일이 있어서) 등의 서버도 지원을 해주므로 소스는 한 곳에서 관리하고 타겟 서버를 바꿔가면 테스트 해 볼 수 있는 장점과 소스를 서버로 publish하는 것이 web.xml 편집만 해 놓으면 알아서 되는지라 편리합니다. 그리고, 얼마나 가속을 해서 발표를 할지는 몰라도 "0.7 버전에 이 정도면" 향후 버전은 기대할만 하겠다 싶어서 입니다. (예전에 포르테를 쓰지 왜? 하면서 처음 eclipse를 설치했었던 기분입니다.)

rhizome의 이미지

Quake 3: Arena가 GPL로 풀렸답니다.

이거 뒷 북치는 것 아닌지 모르겠군요.

20일자로 스래쉬닷에 올라온 기사를 보니 퀘이크 3: Arena가 GPL 라이선스 하에 공개되었다는 소식이...

링크를 따라가 보니 정말 소스코드를 받을 수 있는 곧이 있네요. 그런데 내려받을 수 있다는 그 사이트 가입을 해야 되는 사이트라서 내려받기가 좀 그렇군요. :(

기사링크:
http://games.slashdot.org/games/05/08/20/1329236.shtml?tid=112&tid=156&tid=10

Quote:
Posted by CowboyNeal on Saturday August 20, @10:35AM
from the flawless-victory dept.
houyhn의 이미지

아이리버 PMP-1xx 소스코드 공개

GPL 소프트웨어를 사용하면서도 소스를 공개하지 않던 아이리버가 Harald Welte의 요청에 응하여 소스를 공개했습니다.

소스를 CD에 담아서 Harald Welte에게 발송했다는군요.

Harald Welte는 그것을 ftp.gpl-devices.org 사이트에 올려놓았습니다.

ftp://ftp.gpl-devices.org/pub/vendors/iRiver/PMP-1xx/

원문은 http://gnumonks.org/~laforge/weblog/2005/08/10#20050810-iriver-sourcecode 에 있습니다.

1day1의 이미지

브라질, '공개 소프트웨어 NGO' 창설

Quote:

브라질이 공개 소프트웨어 개발 및 사용을 활성화하기 위해 전세계 관련 기업과 단체를 한데 모으는 비영리기구(NGO)를 창설하기로 했다고 현지 언론이 17일 보도했다.
..
..

출처 : http://news.media.daum.net/edition/it_sci/200508/18/yonhap/v9931776.html

atie의 이미지

KDE-Eclipse

24 KDE Summer of Code 프로젝트 중의 하나인 KDE-Eclipse가 첫 선을 보였습니다. http://kde-eclipse.pwsp.net

기반이 되는 Eclipse CDT는 8월 12일자 빌드로 3.0 GA 테스트 중이니 발표 예정일이었던 8월 15일을 넘기기는 했지만 조만간 정식 버전을 볼 수 있을 듯 합니다.

IBM이 내부 관리중인 SWT/QT가 공개된다면 금상첨화일텐데... 언제가 될런지.

notpig의 이미지

MS 에서 개발하고 있는 오픈 소스

여기다가 올리는게 맞을런지 모르겠네요.

예전에 MS 에서 오픈소스를 내놨다고 봤었는데요
지금 다시 찾을려니까~
기억이~안나네요~~^^;;;;

어떤 거였는지 알려주시면 고맙겠습니다.

la9527의 이미지

왜? KDE 보다 Gnome 을 이용하는 가요???

제가 KDE 위주로 써서 그런지.. 궁금하기도 하기도 하고,
앞으로 Mls 프로그램의 발전 방향을 정하기 위해서이기도 이 주제를 올립니다.

Gnome 이용자들이 많은데, 왜 주로 gnome을 이용하는지 모르겠네요. 한글이 이유인가요? 아님, 그에 따른 어플리케이션 때문에 그런가요? KDE가 활성화 않된 이유가 라이센스 관련된 것이기 때문에 예전엔 그랬지만 현재는 라이센스도 관련이 없는 듯 싶고..

KDE의 QT 로 프로그램을 짜면 프로그램이 쉬워지는 것도 이유일 텐데.. gtk+ 쪽이 제 생각이긴 하지만 복잡하기도 하고..

advanced의 이미지

DevHelpOnNet 0.1 릴리즈

제 5회 코드 페스트를 기점으로 시작했던 DevHelpOnNet 프로젝트가
알파, 베타 릴리즈에 이어 드디어 0.1 을 릴리즈 했습니다.

프로젝트 페이지

우선 DevHelpOnNet 프로젝트는 오픈 문서 네트워크를 만드는
것을 궁극적인 목표로 하며 아래의 스레드 가 동기가 되어 시작되었습니다.

http://bbs.kldp.org/viewtopic.php?t=56477
http://bbs.kldp.org/viewtopic.php?t=60728

일단 현재 가능한것은 모니위키를 문서 저작 및 출판 도구로 사용하며
기존 devhelp 를 fork 한 dhon-gtk 로 문서 열람 및 키워드 검색이 가능합니다. (dhon-gtk 라고 이름 붙인것은 이후에 여러 클라이언트로도 작성할 계획이 있기 때문입니다. 물론 아직까지 계획뿐 입니다 :D )

권순선의 이미지

gtk 2.8 released

gtk 2.8이 릴리즈되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http://lwn.net/Articles/147467/
http://www.gtk.org/gtk-2.8.0-notes.html

를 참고하세요.

contributor 목록에 'Park Ji-In'이라는 이름이 보이는군요. translator 목록에는 'Changwoo Ryu (Korean)'라는 이름이 있고요. (누군지 알듯....:-)) 앞으로 이런 목록에 좀더 많은 한국 이름들이 보이면 참 좋겠습니다. :-)

페이지

KLDP RSS 구독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