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유 게시판

shint의 이미지

학교 이지매와 현실

학교 다닐때면
수업중에 조용하라고 난리치면.
뭘 꼬라보냐며 되려 괴롭히는 녀석들이 있었죠.

더럽게 괴롭히는 녀석들에게.
야 이 새끼들아. 조용해.라고 하면.
저새끼가 미쳤나. 도발한다고 하는걸. 참 많이 봐왔습니다.

어떤 녀석들은 똘아이다. 왕따다. 갖가지 말을 만들며 괴롭히는데요.
저는 그런 녀석들에게 많은 불만이 있었지만. 그냥 그렇게 살아가는 거였죠.

근데. 사회 나와서도. 그렇게 사는걸 보니.
정말 싫더군요.
군대나 학교나. 사회나. 그런 자식들 참 죽여버리고 싶은 마음뿐입니다.

여러분은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ksl6424의 이미지

C++ 공부하려구요.

속도감 있게 슥 훑어보려고 하는데
좋은 예제집 추천 부탁드려요.

wjdgh1107의 이미지

2011년 이공계 전문기술 연수사업

좋은 사업이 있어서 공지합니다.

이공계 미취업 졸업자를 대상으로 교육비는 전액 무료이며, 매월 30만원에서 50만원까지 훈련수당을 받으면서...

아시죠??? 요즘 안드로이드라고....ㅋ.

여타 과정과는 차별화된 채용 연계 전문 연수사업이라서.....필요한신 분들이 많을 거 같아서 올려 놔요...

(물론 취업까지 보장된다고 하네요...단 열심히 하시는 분들만. ㅋ)

~~~~~~~~~~~~~~~~~~~~~~~~~~~~~~~~~~~~~~~~~~~~~~~~~~~~~~~~~~~~~~~




[지원자격]
- 이공계대졸(전문대, 대학원포함) 미취업자로 1978년 1월 1일 이후 출생자

shint의 이미지

일본 센다이 지진 정보를 얻고 싶습니다.

Google map으로 Sendai 지역을 봤을때는
지형지물이 별로 달라진게 없어 보이는데요.
Google map의 갱신 주기가 얼마나 되는지 몰라서요.

알고 싶은것은.
1. Google map 갱신주기
2. Sendai 지역 or 근처 지역의 다양한 정보. (사진 포함)

사진이나 동영상등에 많은 자료를 보았는데
의문가는 점이 많습니다.
근방에 거주하시는분의 정보라면 더욱 좋겠네요.

puresupe의 이미지

윈도우 7도 workspace 개념이 있었으면 좋겠군요.

한 화면에 여러가지 띄어놓는게 엄청 불편하네요 :(

gnome이나 kde 처럼. workspace 같은 개념이 존재하면 좋을텐데 말이에요 :)

daybreak의 이미지

Angry Birds 의 압박

30" 모니터에서 풀 스크린으로 뜨면 좀 뜨악합니다. ;;;;

그래픽은 이만한 크기에서도 디테일 훌륭하네요.

daybreak의 이미지

중복으로 내용 날립니다.

삭제는 어떻게 하나요? ㅎ

망치의 이미지

웹개발시 IDE..


제가 주로 다루는게 PHP 인데, ultraedit 를 쓰다가 SVN 연동이 편하다는 이유로 드림위버를 사용하고 있었습니다.

이클립스가 아닌 드림위버라니 좀 아이러니 하긴 한데, 딱히 웹쪽 디자이너가 없는곳에서 일하다보니 디자이너로 부터
직접 PSD 파일을 받아다가 직접 HTML 화 하다보니 포토샵이랑 연동이 편한 드림위버가 좋더군요.

그러다가 슬슬 이클립스를 사용해보려고 구글링중 NetBeans 라는 녀석을 알게 됐습니다. (http://ahxpolar.blogspot.com/2009/07/php-sftp-netbenas.html)
일단 인텔리센스부터가 없던 기능을 사용하게 되는거라 나름 많이 편해질것같아 기대중입니다.

iamt의 이미지

안녕하세요 혹시 파이썬마을에 관해 아시는분 있으신가요

kldp에 오랫만에 글쓰게 돼네요.

제가 파이썬을 좋아하는지라 습관적으로 파이썬마을 (한국 파이썬커뮤티니티 http://python.or.kr/)에 글을 읽곤합니다.

그런데 요근래 아예들어가지지가 않아요.

혹시 어떻게 된건지 아시는분 있으신가요?

운영비 사정이 어려워 내리신건 아닌지..

혹시 kldp에서 운영자분 이글보시면 연락 부탁드려요 ^^ 소식 알고싶네요. 그나마 거의 유일무이한 한국파이썬커뮤니티였는데..

지리즈의 이미지

아 갈등이...

거의 5~6년째 gentoo/kde4만 사용하다가
새로운 PC를 장만한 김에 다른 배포본으로 갈아 탈까 고민하는데 쉽지가 않네요.

gentoo
장점.
1. 구PC의 설정을 그대로 가져다 쓸 수 있다.
2. 판올림이라는 개념이 없어서 kde 5가 나올 때까지는 새로운 인터페이스 적응이 필요없는 것.
3. 커스터마이즈의 극대화로 나에게 최적화된 시스템을 구성할 수 있는 것. (인터페이스나 시스템 양면으로)
4. 바이너리 배포가 아니라 몇몇 어플리케이션이나 라이브러리에서 특허나 라이센스에서 자유로운 점.
단점.
1. 초기 설치가 맹렬하게 귀찮다는 것.
2. 점점 업데이트가 귀찮게 느껴짐... 까다롭게 라이브러리를 제거하고 revdep-rebuild를 해야 하는게 점점 늘어남.
특히 브라우저들의 업데이트는 빈번한데 bin쓰기는 싫고, 매번 컴파일해야 하는 것도 악몽.
(웹브라우저들이 gcc나 데스크탑 환경 등을 제외하고는 가장 컴파일 시간이 김)

페이지

자유 게시판 구독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