웹개발시 IDE..

망치의 이미지


제가 주로 다루는게 PHP 인데, ultraedit 를 쓰다가 SVN 연동이 편하다는 이유로 드림위버를 사용하고 있었습니다.

이클립스가 아닌 드림위버라니 좀 아이러니 하긴 한데, 딱히 웹쪽 디자이너가 없는곳에서 일하다보니 디자이너로 부터
직접 PSD 파일을 받아다가 직접 HTML 화 하다보니 포토샵이랑 연동이 편한 드림위버가 좋더군요.

그러다가 슬슬 이클립스를 사용해보려고 구글링중 NetBeans 라는 녀석을 알게 됐습니다. (http://ahxpolar.blogspot.com/2009/07/php-sftp-netbenas.html)
일단 인텔리센스부터가 없던 기능을 사용하게 되는거라 나름 많이 편해질것같아 기대중입니다.

그러다 여기서 궁금해진게, 이클립스와 netbeans 모두 웹서버 및 php 바이너리랑 연동하면서 디버깅을 편하게 해주는 기능이 있는데,
로컬에 설치된 웹서버 및 php 바이너리가 있어야 하는것같더라구요. 제가 잘못알고 있는건가요..?

실제 구동중인 원격지에 있는 서버와 환경이 다를 수 있는 로컬에 설치돼있는 프로그램의 사용은 불편한점이 많을것같은데요..
위 두 IDE 에서 웹개발시의 디버깅 지원이 구체적으로 어떤식으로 되어있는건가요...?

m의 이미지

제가 아는바로도 로컬에 있는것입니다. 다른 편하고 좋은 방법이 있는지 모르겠지만요.

http://docs.joomla.org/Setting_up_your_workstation_for_Joomla!_development

http://docs.joomla.org/Setting_up_your_workstation_for_Joomla!_development_--_Part_2

그냥 rse로 에코 에코 찍다가 막혔을때 한번씩 로컬로 해봅니다.

망치의 이미지


자료를 찾아보다 보니 좋은걸 알아냈습니다.
PHP 에서 Xdebug 라는 모듈을 이용해서 원격에서 쉽게 디버그 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해주고 있습니다.

http://www.xdebug.org/docs/remote

NetBeans 에서 이걸 지원하다보니 서버쪽 환경 설정 조금만 해주니 왠만한 어플리케이션 디버깅 못지않게 편한 디버깅이 가능해지는군요 으흐흐
이제 에러 로그 보면서 디버깅하던 시절은 안녕입니다 ㅠㅠ

---------------------------------------
http://www.waitfor.com/
http://www.textmud.com/

allinux의 이미지

라이센스가 free는 아니지만
저렴한 가격에 상당히 완성도가 높습니다.

웹개발 특성상 html, css, javascript, template(스크립트 언어포함) 를 함께 사용해야 하는데 모두 풍족하게 지원합니다.
물론 xdebug, zend debugger 에 의한 원격 디버깅도 지원합니다.

http://www.jetbrain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