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벌식 자판의 많은 장점 중 모아치기라는 것이 있다. 이름이 기능을 잘 설명한다. 초성, 중성, 종성을 한 번에 눌러서 한글 한 글자를 입력하는 것이다. 한글은 초, 중, 종성을 구분할 수 있으면 입력 순서에 상관 없이 글자를 완성할 수 있다. 이 특성을 이용한 입력 방식이다.
예를 들어 '한'이라는 글자를 입력할 때, 우리는 당연히 "ㅎ ㅏ ㄴ" 순서로 입력해서 '한'을 조합해야 한다고 생각한다. 당연하다. 손으로 글씨 쓸 때 순서니까. 그런데 초, 중, 종성을 입력기가 알면 굳이 순서대로 입력할 필요가 없다. "ㅏ ㄴ ㅎ" 이렇게 입력해도 입력기는 초, 중, 종성 순서로 입력을 재정렬해서 '한'을 만들 수 있다.
저번에 구인 관련 글을 한 번 올렸었는데, 이번에 다시 올립니다.
(몇몇 분들에게는 따로 연락을 드리지 못한 점, 사과드립니다.)
저희 회사 Joyent는 미국 San Francisco에 위치하고 있으며, 매우 큰 고객사와 함께
Cloud Infra/Platform을 구축하고 있으며, 분야는 Networking (virtualization), VM hypervisor, Networked Block Storage Service, Managed Kubernetes 등 여러 분야의 service를 개발하고 있습니다.
이번에 미국 및 한국에서 engineer들을 고용하고 있으며, 분야는 다음과 같습니다. (한국/미국 제외한 지역은 안타깝지만 현재 고려 대상이 아닙니다.)
키보드 펌웨어 개발을 완료했다. 개인적으로는 재미있게 작업한 프로젝트였다. 도메인에 대한 이해가 어렵지 않고 펌웨어의 구성 또한 누구나 예측할 수 있는 요소로 디자인 할 수 있어서 부담이 없었다. 그리고 학습용 RTOS로 만든 나빌로스를 실전에 적용했고 잘 되는 것을 검증한 것으로 내게는 재미로 만든것 이상의 가치가 있는 프로젝트였다.
15편으로 글을 나눠 썼다. 키보드 펌웨어를 만드는 과정을 절차적으로 나눴더니 15개 정도가 되길래 그렇게 썼다. 개별 글은 애초에 내가 계획했던 것보다 더 대충 썼다. 계획한 대로 정말 따라하기 강좌 수준으로 쓰려니까 너무 길어지고 내가 지치더라. 그래서 일반적인 부분이나 구글 검색등으로 쉽게 찾을 수 있는 내용을 쳐내고 썼더니 내용이 완결성이 부족한 것처럼 보인다. 나 개인의 역량 부족 탓이니 이 시리즈의 글을 읽고 이해가 안된다고 본인 탓을 하지 말아 주시기 바란다. 내가 글을 잘 못 써서 그런거다.
부트 로더를 분리하기로 마음 먹었기에, 키보드 펌웨어는 두 개가 나와야 한다. 부트 로더와 메인 펌웨어. 그래서 makefile등 빌드에 관계된 파일을 수정해서 바이너리를 분리해야 하고 소스 코드에서도 condition flag로 부트 로더 전용 코드와 메인 펌웨어 전용 코드, 그리고 공통 코드를 식별해야 한다.
KLDP 블로그는 그다지 화려하지도, 많은 기능을 제공하지도 않지만 F/OSS, IT에 관련된 충실한 내용을 담고자 노력하는 분들이 함께 만들어 나가고 있습니다. 혹시라도 이곳에서 블로그를 운영하시고자 하는 분은 이곳으로 어떤 내용으로 운영하실지를 알려 주십시오. 확인 후 개설 여부를 결정하여 알려 드리도록 하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