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새소식

Together의 이미지

Database-like filesystem, 자료정리 문제가 드디어 해결 되려나

자료정리 문제가 드디어 해결 되려나 봅니다.

파일이 많아지면 관리가 어려워지는 문제점을 근본적으로 해결할수 있는 Database-like filesystem이 머지 않아 실용화 될것 같습니다.

현재 100GB 용량의 하드디스크가 보편화된 시대에 몇년간 쌓아둔 자료더미 속에서 파일의 이름이나 날자 만으로 검색하는 것은 한계가 있습니다. 그 해결책으로 GNOME Storage Project가 현재 진행중이며 마이크로 소프트의 차기 버전인 롱혼에서는 WinFS라는 파일시스탬이 지원 될것 이라고 합니다. BeOS가 BeFS라는 Database-like filesystem을 선도적으로 실용화 함으로서 여러 차세대 파일 시스탬들이 영향을 받았다는 말이 있습니다. BeOS의 BeFs가 상당히 훌륭했었나 봅니다.

권순선의 이미지

GNU 20주년에 대한 RMS의 회고(?)

리차드 스톨만이 GNU 설립 20주년을 회고하면서 쓴 글입니다.

The Free Software Community After 20 Years: With great but incomplete success, what now?

It was twenty years ago today that I quit my job at MIT to begin developing a free software operating system, GNU. While we have never released a complete GNU system suitable for production use, a variant of the GNU system is now used by tens of millions of people who mostly are not aware it is such. Free software does not mean "gratis"; it means that users are free to run the program, study the source code, change it, and redistribute it either with or without changes, either gratis or for a fee.

jj의 이미지

또다른 커널버그. 보안관련...

http://slashdot.org/articles/04/01/05/176252.shtml?tid=106&tid=126&tid=172&tid=185

2.4.24가 나왔네요. 또다른 시스템콜버그가 있는것 같군요. 어여들 패치하시길...

andysheep의 이미지

[퍼옴:한겨레] 국내 ‘슈퍼컴’ 떴다

국내 ‘슈퍼컴’ 떴다


1초에 3조번 사칙연산 수행
나노·생명공학 연구 청신호

‘1초에 3,000,000,000,000번.’

눈 깜짝할 새 3조번의 사칙연산을 하는 테라급 슈퍼컴퓨터가 국내 과학기술계에 잇따라 도입돼, 갈수록 대용량의 계산이 필요한 나노기술·생명공학 등 분야의 연구가 ‘업그레이드’할 전망이다.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은 최근 실측속도로 1초에 3조700억번의 사칙연산(3.07테라플롭스)을 수행하는 슈퍼컴퓨터를 구축해 24일 본격 가동에 들어갔다. 이 속도는 전세계 슈퍼컴들 가운데 19위 수준으로 평가된다. 인텔 시피유(CPU) 1026개를 병렬로 이은 리눅스 클러스터 방식으로, 속도에서 국내 최상급이다.

aero의 이미지

중국의 sourceforge

중국의 sourceforge 싸이트입니다.
다음의 링크에서 알타비스타 babelfish 번역을 통해서
볼 수 있습니다.
http://babelfish.altavista.com/babelfish/urltrurl?lp=zh_en&url=http%3A%2F%2Fsf.linuxforum.net%2F

어렴풋하게 나마 중국의 오픈소스 프로젝트 활성화정도 및
관심사를 알 수 있을것같네요.

GunSmoke의 이미지

재앙입니다.

말 그대로...

KT, 초고속인터넷 '부분정액제' 추진

Quote:

백재현기자 brian@inews24.com

2003년 12월 26일

KT(대표 이용경)가 초고속인터넷(매가패스)의 요금을 '부분 정액제'로 하는 방안을 추진하고 있다.
부분 정액제란 기본료를 내고 일정한 시간까지를 무료로 사용하되 초과분에 대해서는 이용량 만큼 요금을 부과하는 변형 정액제를 말한다.
26일 KT 관계자는 "그동안 외국의 초고속인터넷 요금제도를 검토해보니 대부분 완전 정액제보다는 정액제와 종량제를 혼합하는 형태로 운영하고 있다"면서 "KT는 부분 정액제라는 이름으로 요금제도를 변경하는 방안을 추진 하고 있다"고 밝혔다.

e-trust의 이미지

데비안 리눅스 최초 국내 배포판

http://www.zestlinux.org
입니다...
아직 설치해보지는 않았지만... 감이 좋네요...

PSI의 이미지

`입는 마우스'개발

서울=연합뉴스) 김남권기자 = `장갑낀 손이 허공에서 움직이면 커서가 손 동작을 따라 컴퓨터 화면에서 움직인다'
이같은 영화같은 일이 앞으로 우리 생활에서 선보일 날이 멀지 않았다.

삼성전기[009150]는 최근 삼성종합기술원과 함께 `입는 마우스'인 스커리(Scurry) 개발에 성공했다고 24일 밝혔다.

원래 총총걸음을 의미하는 영어 단어지만 차세대 PC 업계에는 착용형 마우스(wearable mouse)란 의미로 쓰이는 `스커리'는 바닥에 대고 쓰는 기존 마우스와 달리 허공에서 손가락을 움직여도 입력이 되는 미래의 마우스.

페이지

뉴스, 새소식 구독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