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새소식

cjh의 이미지

INetU most reliable hosting company site during H2 2003

Netcraft에서 발표한 호스팅 업체 순위입니다. 다운타임이나 기타 등등을 따진것 같네요.

최상위 9업체중 7개가 FreeBSD, 1개가 윈도2003, 1개가 리눅스랍니다.

http://news.netcraft.com/archives/2004/01/11/inetu_most_reliable_hosting_company_site_during_h2_2003.html

국내에서는 호스팅 서버면 리눅스 아니면 윈도2000이라고 생각되는데... 실제 어떤지 궁금하네요.

pynoos의 이미지

야후가 MyYahoo에 대해 Syndication 하기위한 테스트를 하는군요

Yahoo plans to test RSS technology for its personalization tools, giving people the ability to automatically receive news and information feeds from third parties onto MyYahoo pages.

http://news.com.com/2100-1032_3-5139636.html?part=rss&tag=feed&subj=news

서지훈의 이미지

FreeBSD 5.2-RELEASE is Out

Quote:
By Eugenia Loli-Queru - Posted on 2004-01-12 05:59:55
FreeBSD 5.2 is now available and the two ISOs are already up on some servers and more to come.

참조: http://osnews.com/story.php?news_id=5631

<어떠한 역경에도 굴하지 않는 '하양 지훈'>

지리즈의 이미지

통신회사가 고객에 소송…사상 초유의 사태 벌어져

Quote:
통신위원회가 '1.25 인터넷 대란에 대해 사업자들에 일부 책임이 있다'고 결정한데 불복, KT·온세·두루넷 등 초고속인터넷 업체들이 문제를 제기한 가입자들을 상대로 민사소송을 제기한 사상 초유의 사태가 벌어졌다.

이에 따라 녹색소비자연대를 통해 재정 신청에 나선 초고속인터넷 가입자들은 서비스 중단으로 고통받은데 이어, 통신회사들로부터 역소송을 당해 법정에 불려다니게 됐다.

11일 녹색소비자연대에 따르면 KT 등 통신회사들이 통신위원회의 재정 결정에 불복, 녹색소비자연대에 재정신청을 위임한 고객들을 상대로 지난해 12월 채무 부존재 확인을 위한 민사소송을 제기한 것으로 뒤늦게 밝혀졌다.

sugarlessgirl의 이미지

KDE 와 GNOME 의 통합

slashdot 에서 본 글 입니다.

GTK와 Qt 의 테마를 하나로 통합시키는 테마엔진이 나왔다고 하구요,

그리고 QtGTK 라이브러리라는 것이 있군요.

Quote:
In related news, the recently released QtGTK library allows to merge the Qt event loop with that of GTK. In other words, this means you can now easily use KDE's DCOP, IOslaves, and, last but not least, file dialogs, from inside your GTK apps.

스크린 샷을 보니 GTK2 로 만들어진 Beep(XMMS2) 에서 KDE 의 파일다이얼로그를 띠우네요.

그 밖에도 오픈 오피스에 관련된 프로젝트가 하나 있으나.. 뭔지는 잘 모르겠습니다.

jedi의 이미지

2.6.1 이다..

키보드 문제가 패치 되었군요.

Quote:

<vojtech@suse.cz>
[PATCH] Fixes for keyboard 2.4 compatibility

I have two patches I'd like to get tested by a wider audience before sending them to Linus for the 2.6 tree.

The first one fixes an issue in current 2.6-test with AT keyboard repeat rate setting, the second one makes setkeycodes/getkeycodes work the same as 2.4, so that people can keep their setups. It also fixes japanese and korean key handling.

권순선의 이미지

Red Hat borrows $500 million

레드햇이 $500 million을 조달했다고 합니다. 5억 달러면 우리돈으로 6천억 정도 되는 것 같습니다. 이 돈을 누가 투자했는지는 알 수 없고(투자자는 이름 공개를 꺼린다고 합니다.), 다만 조건이 상당히 요상합니다.

Quote:
These debentures will earn %0.5 in interest for up to twenty years, but they can also be converted to stock at $25/share.

20년간 연리 0.5%를 지불한다는 뜻인지는 잘 모르지만....어쨌든 주식을 주당 25불에 살 수 있는 권리가 옵션으로 따라 붙었네요. 금융쪽에 잘 아시는 분들의 해설 부탁드립니다.

pynoos의 이미지

Intel의 하이퍼쓰레딩 기술에 대한 벤치마크

슬래시닷에 올라온 기사안의 링크입니다.

http://slashdot.org/article.pl?sid=04/01/07/058251

http://www.2cpu.com/articles/ht_explored/index.html
http://www.intel.com/products/ht/hyperthreading_more.htm

하이퍼 쓰레딩이 작동할때, Bus의 속도와 캐시의 크기에 따른 해석을 볼 수가 있습니다. 이전 자료에서 오히려 하이퍼 쓰레딩 효율이 Divx encoding에서 너 안좋은 결과에 대해 설명하고 있습니다. 그리고 이번 테스트에서 800MHz FSB(Front Side Bus ?)를 채용한 Pentium 4를 사용했답니다..
결론부분은 자세히 읽을 필요가 있군요...

Together의 이미지

Database-like filesystem, 자료정리 문제가 드디어 해결 되려나

자료정리 문제가 드디어 해결 되려나 봅니다.

파일이 많아지면 관리가 어려워지는 문제점을 근본적으로 해결할수 있는 Database-like filesystem이 머지 않아 실용화 될것 같습니다.

현재 100GB 용량의 하드디스크가 보편화된 시대에 몇년간 쌓아둔 자료더미 속에서 파일의 이름이나 날자 만으로 검색하는 것은 한계가 있습니다. 그 해결책으로 GNOME Storage Project가 현재 진행중이며 마이크로 소프트의 차기 버전인 롱혼에서는 WinFS라는 파일시스탬이 지원 될것 이라고 합니다. BeOS가 BeFS라는 Database-like filesystem을 선도적으로 실용화 함으로서 여러 차세대 파일 시스탬들이 영향을 받았다는 말이 있습니다. BeOS의 BeFs가 상당히 훌륭했었나 봅니다.

권순선의 이미지

GNU 20주년에 대한 RMS의 회고(?)

리차드 스톨만이 GNU 설립 20주년을 회고하면서 쓴 글입니다.

The Free Software Community After 20 Years: With great but incomplete success, what now?

It was twenty years ago today that I quit my job at MIT to begin developing a free software operating system, GNU. While we have never released a complete GNU system suitable for production use, a variant of the GNU system is now used by tens of millions of people who mostly are not aware it is such. Free software does not mean "gratis"; it means that users are free to run the program, study the source code, change it, and redistribute it either with or without changes, either gratis or for a fee.

페이지

뉴스, 새소식 구독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