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유 게시판

dodamn의 이미지

'오픈소스' 와 '자유소프트웨어'에 대해서 이해하기 쉽게 설명해주실 수 있으신가요?

Open source와 Free software.

저는 대충 둘은 Equal의 개념으로 알고 있었습니다만
문득 둘은 다르다는 걸 알게되었네요.

그냥 둘은 완전 별개의 개념인것이 맞죠?
다시 말해, 소프트웨어가 오픈소스라고 해서 굳이 자유소프트웨어일 필요는 없고, 소프트웨어가 자유소프트웨어라고 해서 굳이 오픈소스일 필요는 없죠?

이응준의 이미지

Tex으로 프리젠테이션 슬라이드 만드시는 분?

openoffice를 써서 wysiwyg로 슬라이드 만들기가 너무나도 불편해서 Tex을 한번 써보려고 합니다.

제 Tex 경험은 학부때 몇 페이지짜리 짧은 졸업논문을 작성하기 위해 한번 써본 것이 전부입니다.

인터넷을 좀 찾아보니 beamer를 사용하라는 조언을 얻긴 했는데: http://faq.ktug.or.kr/faq/Beamer

써보신 분 경험을 좀 들어보고 싶네요. 쓸만한지, 어려움은 없는지, 혹시 한번 써보고 그만두게 되었다면 어떤 이유 때문인지...

cleansugar의 이미지

닷컴시대에 살면서 점에 관해 자세히 찾아봤습니다

점, 우리는 점과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다.
수학에서는 모든 도형의 기본 요소이면서 크기는 없고 위치만 있는 것을 뜻한다.
일상에서는 보통 몸에 난 반점을 뜻하기도 한다.

점을 조사해 보았다.

국어사전
http://krdic.naver.com/detail.nhn?docid=33389500&re=y

[명사]
1. 작고 둥글게 직은 표.
2. 문장 부호로 쓰는 표. 온점, 반점, 가운뎃점 따위를 이른다.
3. 사람의 살갗이나 짐승의 털 따위에 나타난, 다른 색깔의 작은 얼룩.
4. 소수의 소수점을 이르는 말.
5. (관형사형 다음에 쓰여) 여러 속성 가운데 어느 부분이나 요소.
6. 모든 도형의 궁극적 구성 요소인 가장 단순한 도형으로서 위치만 있고 크기가 없는 것.

익명 사용자의 이미지

급질문입니다

헬리콥터로 대기권에 진입할수있나요
없다면 외그런지 설명좀 부탁합니다
감사합니다

soc의 이미지

왜 멀티코어 정렬 제대로 성능이 안나죠?

OpenMP 라이브러리를 gcc에서 for문에 적용한 방식을 그대로 이용할 수 있도록 머지정렬 알고리즘을 for 반복문 하나만으로 다 되게 바꿔서 멀티코어 적용을 해보려 하는데, 성능이 20%밖에 개선되지 않아서 문제입니다. 쓰레드가 코어에 모두 골고루 배분되지 않아서 생기는 문제 같은데. 제 데스크톱이 쿼드코어 cpu를 사용하므로, 쿼드코어 네 개 모두에 쓰레드가 골고루 분배된다면, 성능이 75% 개선되어야 합니다.

5000만 개의 데이터를 쓰레드 하나만 사용해서 정렬했을 때에나, 쓰레드 방식을 적용하지 않고 그냥 처음 작성한 for 반복문만으로 구성된 함수 하나 실행했을 때에는 실행시간이 35초대로 동일합니다.
쓰레드 4개를 적용하면, 실행시간이 8.75초대로 개선되어야 하는데, 그렇지 않고 고작 28초대로 성능이 향상되었습니다. 뭐가 문제일까요? 혹시 제가 빼먹은 것이 있을런지.

emptynote의 이미지

네이버에서 개인프로젝트 신놀이프로젝트로 검색한 결과 보니 에휴 소리가 나는군요.

네이버에서 개인프로젝트 "신놀이프로젝트"로 검색한 결과 보니 에휴 소리가 나는군요.

개인 host 파일이나 내부망에나 쓰일법한 도메인이 검색되는구요.

도대체 test.dev.naver.com 은 무엇을 하는 서버일까요?

rocksea의 이미지

사실일까??

아마 본사람도 있겠고 많이들 알려진 내용이긴하지만

시리즈가 6편까지인가 있는데 다보시길~

익명 사용자의 이미지

알바하고 임금 못 받아보신분 있나요 ...

임금 못 받아보신분 있나요 ...

노동청에 신고한지 어연 1년 반...

무료법률구조공단에도 계속 의뢰해서 할 수 있는거 다 했지만...

그 사장놈이 지 이름으로 해 놓은게 없어서 아무것도할 수가 없는 사태...

재산명시라는 거는 사장이 직접 자기 재산이 "이런거 이런거 있습니다"라고 써 내는 아주 우스운 제도..

나같아도 안 써 낼꺼 같네요 ㅋㅋㅋㅋㅋ

감치기일이라는 것은 재산명시를 거부해서 구치소에 들어가는 건데 감치기일전날 재산명시에 나는 아무것도

없습니다 라고 하면 되는 우스운 제도....

참으로 신기한 법인 것 같아....뭐....임금 못 받아도 솔직히 사장들이 맘 먹으면

할 수 있는게 없네요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아 더러워 ㅋㅋㅋ

망치의 이미지

구글+ 에서도 OAuth 같은 API 를 제공하나요?


페이스북 계정 이용해서 페이스북이 아닌 웹사이트에 리플을 게시하는것처럼 구글 gmail 계정을 이용해서 글을작성하는것을 얼핏 본것같은데요. 혹시 구글에서도 이런걸 제공하고 있나요?

cleansugar의 이미지

어휘의 유창성을 측정하는 라이브러리 있을까요?

예전에 미국 유력 신문이 미대통령 연설에 사용된 어휘를 분석한 기사가 있었고 여기 게시판에서도 인용된 적 있습니다.

검색하지는 못 하겠네요.

혹시 아시는 분 알려주시면 고맙겠습니다.

한국말로도 사용된 어휘 갯수 등을 분석하는 연구를 하는 사람도 있을텐데 제품이나 라이브러리가 있을까요?

형태소 분석기로 토큰을 추출해서 갯수를 세보면 되겠지요.

이게 있으면 재밌을 겁니다.

사람별로 어휘의 유창성 혹은 수월성을 측정할 수 있으니까요.

주요 커뮤니티나 카페별, 직업별 차이도 알 수 있고, 책별, 신문사별, 지정학적, 인구통계학적 차이도 알 수 있을 겁니다.

이걸 대행해주는 사이트를 만들어도 재밌고 어느정도 상업성도 있을 것 갈습니다.

어휘 뿐 아니라 전화와 문자 통계, 소셜서비스, 이동 경로 등으로 행동의 유창성을 측정할 수도 있겠죠.

이분야 꾼들은 이미 하고 있을테지만 저변이 확대되면 좋겠습니다.

페이지

자유 게시판 구독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