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inux Kernel에 관련된 지식을 가지고 실제로 현업에 나간다면 그 지식은 어떻게 쓰이고 어떤 분야가 유망할까요? 아래는 제가 느낀 분야별 Kernel 관련 지식 활용 추세입니다. Linux Kernel의 소스 디렉토리별로 대략 나누어서 생각해 보았습니다.
지난주에 있었던 Ottawa Linux Symposium 2007에서 발표된 논문들이 모두 인터넷에 올라왔네요. https://ols2006.108.redhat.com/2007/Reprints/ 에서 전체 목록을 보실 수 있고 pdf로 다운로드도 가능합니다.
심심할때마다 한개씩 프린트해서 읽으면 재미있겠네요. :-)
드디어... GPL v3가 릴리즈되었습니다. LGPL v3도 함께 릴리즈되었네요. http://www.gnu.org/licenses/gpl-3.0.html 과 http://www.gnu.org/licenses/lgpl.html 에서 보실 수 있습니다. 라이센스의 자세한 변동사항은 별도로 다루어야 할 것 같고요.
지금 인터넷 상에는 6월 29일에 나올 iPhone에 대한 이야기가 가득합니다만 6월 29일은 apple 마니아들 뿐만 아니라 자유 소프트웨어/오픈소스 소프트웨어 개발자와 사용자들에게도 매우 중요한 날입니다.
http://www.inews24.com 에서 오픈소스에 대한 기획 기사를 내보낼 예정이라고 하는데 오늘 그 첫번째 기사가 나왔습니다. 제목은 '공개SW, 뿌리부터 바꾸자.'입니다.
http://kldp.org/node/83487 에 썼듯이, 오늘 저희 회사에서 Andrew Morton(이하 akpm)씨의 강연이 있었습니다. 지금은 오늘 일정을 모두 마무리한 후 호텔에 모셔다 드리고 저도 집에 왔지요.
Andrew Morton... akpm으로 주로 알려져 있는 이 아저씨는 리누스 토발즈에 이은 리눅스 커널의 2인자라고 할 수 있는 리눅스 커널의 핵심 개발자입니다.
OSI(Open Source Initiative) 홈페이지인 http://www.opensource.org 에 오랜만에 들러 보았는데 리뉴얼되어 있네요.
MS의 고위 임원이 리눅스와 오픈소스가 자사의 특허 235개를 침해하고 있다는 주장을 했다는 소식은 그다지 새롭지 않지요.
블로그를 읽다가 꽤나 흥미있는 프리젠테이션을 발견하였습니다. 아래는 인터넷 사진 공유 사이트인 flickr가 어떻게 구성되어 있는가에 대한 프리젠테이션입니다. 전형적인(?) PHP, MySQL 레퍼런스 사이트라고도 할 수 있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