설치 및 활용 QnA

ngh1262의 이미지

리눅스 메모리 튜닝 및 삼바서버에 대한 조언 부탁드립니다.

안녕하세요 요번에 리눅스에서 메모리에 대한 튜닝을 하려고 합니다

우선 지금 free -m 명령어를 넣어보면

total used free shared buffers cached
Mem: 1758 1749 8 0 62 1492
-/+ buffers/cache: 195 1563
Swap: 2046 0 2046

요렇게 나옵니다...

근데 nmon(시스템 상태체킹데몬)을 돌려보면 여유메모리양이 10%정도밖에 안되고있습니다.

free명령어의 나오는 값을 보면 위의 1563이라는 값이 현재 여유메모리인데 nmon에서는 10%밖에 안나오는 이유가 제가 생각했을 때 스왑메모리가 작동을 안하는것으로 보입니다.

이에대해 스왑메모리를 쓰고 싶은데 어떻게 쓰는지에 대해서 알고싶습니다.

prankenmk2의 이미지

아마존 ELB서비스로 로드밸런싱을 하는데 크롬 브라우저만 이상합니다.

현재 아마존서비스로 서버를 구축 중입니다

ELB서비스로 로드밸런싱을 구현하는데 라운드로빈으로 구성했지만 이상하게 크롬 브라우저에서는 라운드 로빈이 제대로 먹질 않네요.

테스트로 2대 EC2 서버에 아파치 올려서 묶어봤는데 익스플로러나 파이어폭스는 정상적으로 라운드 로빈으로 서버가 분산되지만

크롬은 분산이 조금 띄엄띄엄 됩니다. (새로고침할때 바뀌지 않고 랜덤하다고 해야할듯 합니다)

아마존 서비스라 커뮤니티와는 연관이 없을 수 잇지만 항상 큰 도움을 받기에 조언을 구합니다.

감사합니다.

peacebaro의 이미지

버추얼박스 네트워크 설정 잘 아시는 분 도움 부탁드립니다.

제 맥미니에 버추얼박스를 설치해서 우분투와 CentOS 등을 올려놓고 서버 연습을 하려고 합니다.
호스트 컴퓨터(맥미니)에서 터미널로 게스트 컴퓨터(우분투 등 리눅스)에 접속하려고 하는데요.
도무지 버추얼박스 네트워크 설정을 해결할 수가 없네요.
현제 저희 집에는 일반 인터넷 회선이 들어와 있고, 여기에 무선공유기를 설치해서 쓰고 있습니다.
그리고 제 맥미니에는 케이블이 아닌 wifi로 연결되어 있습니다.

버추얼박스에는 일단 CentOS 6.3을 설치했는데요,
보통 네트워크에서 NAT으로 두면 게스트에서 인터넷은 가능하지만 외부에서 접속이 안되는 걸로 알고,
브리지 어댑터로 두면 게스트 컴퓨터가 외부의 공유기를 통해 직접 외부와 통신이 가능한 걸로 알거든요.
그러데 네트워크를 브리지 어댑터로 두고 설치를 해보니까 전혀 인터넷을 사용할 수가 없습니다.
제 짐작으로는 아무래도 맥미니르 wifi로 연결해서 그런거 같은데요 이 문제 해결 방법이 없을까요?

peacebaro의 이미지

버추얼박스 네트워크 설정 잘 아시는 분 도움 부탁드립니다.

제 맥미니에 버추얼박스를 설치해서 우분투와 CentOS 등을 올려놓고 서버 연습을 하려고 합니다.
호스트 컴퓨터(맥미니)에서 터미널로 게스트 컴퓨터(우분투 등 리눅스)에 접속하려고 하는데요.
도무지 버추얼박스 네트워크 설정을 해결할 수가 없네요.
현제 저희 집에는 일반 인터넷 회선이 들어와 있고, 여기에 무선공유기를 설치해서 쓰고 있습니다.
그리고 제 맥미니에는 케이블이 아닌 wifi로 연결되어 있습니다.

버추얼박스에는 일단 CentOS 6.3을 설치했는데요,
보통 네트워크에서 NAT으로 두면 게스트에서 인터넷은 가능하지만 외부에서 접속이 안되는 걸로 알고,
브리지 어댑터로 두면 게스트 컴퓨터가 외부의 공유기를 통해 직접 외부와 통신이 가능한 걸로 알거든요.
그러데 네트워크를 브리지 어댑터로 두고 설치를 해보니까 전혀 인터넷을 사용할 수가 없습니다.
제 짐작으로는 아무래도 맥미니르 wifi로 연결해서 그런거 같은데요 이 문제 해결 방법이 없을까요?

sysmoon의 이미지

이클립스 RSE 와 SVN 연동 가능한가요?

이클립스 RSE 플러그인 설치 후, remote project 생성해서 Team->Share Project->SVN 선택했는데 엑세스 불가능하다고 에러 뜨네요.
지금은 어쩔 수 없이 버전 관리를 위해 직접 ubuntu 서버로 가서 커밋을 해주는데 저 같은 경우 이클립스에서 SVN 관리하는게 더 편합니다.
혹시 방법이 있나요?

purenous의 이미지

mysql character set 설정 문제

안녕하세요.
mantis 한글지원때문에 mysql 문자셋을 euckr로 설정하려고 하는데요.

my.cnf에 아래 항목을 추가 후 restart한 후 status를 보면
Server와 Db characterset이 latin1으로 유지되는 게 문제입니다.

[client]
default-character-set = euckr

[mysqld]
default-character-set = euckr
character-set-server = euckr
character-set-database = euckr
character-set-client-handshake = FALSE
language = /usr/share/mysql/korean

[mysql-dump]
default-character-set = euckr

shiningstarz의 이미지

3TB 하드디스크 인식문제

안녕하세요~
제가 기존의 2TB하드를 사용하다가
용량이 꽉차서 3TB 하드로 교체하려고 했습니다.

원래 3TB가 2TB로 인식되는 경우가 흔히 있다고는 들었습니다만
저같은 경우는 이상하게도 760GB 가량만 시스템에서 인식이 되었습니다.

parted 나 fdisk 를 이용해서
파티션을 재구성하려고 했습니다만, 결과는 마찬가지였구요

다른 3TB하드디스크를 연결해보아도
마찬가지로 760GB 가량만 인식되었습니다.
사용중인 OS는 CENTOS5.3 에 아키텍쳐는 i686 입니다.

머가 문제가 된걸까요ㅜㅜ
고수님들 도와주세요

upersbird의 이미지

hp-ux에서 -lcrypto 컴파일이 안되네요..

+ openssl 설치를 확인

[root@hp /]# swlist | grep -i OPENSSL
OpenSSL A.00.09.07m.033 Secure Network Communications Protocol
openssl 0.9.8k openssl

+ openssl 버전 확인

[root@hp5 mVT_Client]# openssl
OpenSSL> version
OpenSSL 0.9.7m 23 Feb 2007

+ 설치를 확인 뒤, 기존에 작성되어있는 코드를 동작

[root@hp /]# swlist | grep -i OPENSSL
Make: Don't know how to make -lcrypto. Stop.

--------------------------------------------------------------------------

lmkfox의 이미지

centos fsck

centos 부팅시 문제가 있을 경우 파일시스템 체크를 수행 하도록 하는 옵션
어떻게 주는지좀 알려 주세요..ㅠㅠ

lmkfox의 이미지

centos fsck

centos 부팅시 문제가 있을 경우 파일시스템 체크를 수행 하도록 하는 옵션
어떻게 주는지좀 알려 주세요..ㅠㅠ

페이지

설치 및 활용 QnA 구독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