설치 및 활용 QnA

chunj의 이미지

rhel6 설치 시 selinux 비활성화 시키는 방법이 있나요?

rhel6 설치 시 selinux 설정하는 항목을 못 본것 같은데
설치 & 설치 후 설정 과정에서 selinux 비활성화 시키는 방법이 있으면 알려주시면 감사할게요~

ngh1262의 이미지

FreeBSD에 대한 자료를 구하고 싶습니다...

제목이랑 그대로 FreeBSD에 대한 기본적인 자료들을 찾고있는데 조금 힘드네요...ㅎ;;;

우선 어찌저찌하여 iso파일은 다운받고 있는데 설치법은 블로그로 찾기야 찾았다만은

유닉스와 리눅스 bsd계열 명령어 정리되어있는것을 보아도 시안성이 안좋아 제대로 비교가 안되고있네요...ㅠ

BSD에 대한 기초적인 자료정리가 되어있는 곳을 아시는분 좌표 부탁드리겠습니다 ㅠ

ansk28의 이미지

미디어위키 한글깨짐 왜이런가요??

검색해도 나오질 않고..미치겠내요
랭기지를 영어로하면 대문클릭시 http://xxxx.com/main_page 라고 나오던대
한글로 랭기지 변경후에 http://xxxx.com/%B4%EB%B9%AE 이런식으로 깨져서 나옵니다..
이거 해결방법 없을까요?? 지금 개인 호스트가 아닌 가비아.넷 에서 구매한 호스트로 설치했습니다
도움좀 주세요 ㅠㅠ

woung717의 이미지

쉘에서 ps의 결과값이랑 cron에서의 리디렉션했을때랑 결과가 다르게 나오네요?

root로 로그인 해서 터미널에서 ps > ps.log 했을때 결과값이랑

crontab 에서 * * * * * ps > ps.log 로 설정 했을때 남아있는 결과값이 다르게 나옵니다

crontab에서 더 자세하게 나옵니다. 무엇때문에 이렇게 나오는지요?

man을 찾아봐도 관련내용을 찾기가 어렵네요.

jkm0114의 이미지

혹시 이런 유틸 있나요?

예를 들어

어떤 서버에 terminal로 접속한후 해당 서버의 특정파일을 선택해서 제 로컬로 다운로드 받는...

뻘소리 같기도 하네요 ㅡㅜ

animekorea의 이미지

Fedora Core 17 하드디스크 합치기

제가 Fedora Core 17 을 설치했습니다.
그런데 하드디스크 가 분활 된 체로 설치했습니다.
그런데 백업을 하고 나서 파티션을 파티션 삭제 를 눌렀는데 용량 문제 인지 패키지(나 업데이트)가 설치되질 않습니다.
그레서 질문해봅니다.
어떻게 하면 하드디스크 를 합칠수 있나요??

dnyou의 이미지

freebsd 포츠에서 설치가 되지 않습니다

시스템이 6.1버전인데 포츠를 최신것으로 업데이트 후 설치가 되지 않습니다.

Unknown modifier 'u'

Variable ALL_OPTIONS is recursive.

구글에서 찾아보니 mk.tar 파일을 새로 설치하면 된다고 해서 그렇게 하면

bej2001의 이미지

리눅스 2.6.27.4버전 GPIO /sys/class/gpio 폴더가 없는 것에 대해..

안녕하세요.

이번에 gpio를 사용 할 일이 있어서 해당 타겟보드의 /sys/class/gpio내부 디바이스 파일들을 사용해 코딩을 하려고 했습니다.
그런데 ... 없네요... gpio폴더가 없어요!! 'ㅁ'!

일단 메모리 참조를 통한 값 확인, 변경은 가능해요.
하지만 제가 디바이스 드라이버관련 지식이 없어서,
인터럽트로 받을 수 있는 방식이 위에 언급한 /sys/class/gpio/export 등을 이용한 방식 밖에 없어요..

혹시 /sys/class/gpio를 만드려면 커널 컴파일시 설정을 바꿔줘야 하나요..?
아니면 모듈이 따로 있나요..?

df.Karuna의 이미지

~/.cache/sessions에 대해 여쭈어 봅니다..

날이 많이 춥습니다. 선배님들 ㅎㅎ

저사양 노트북에서 돌릴만한 OS를 찾다가 Fedora XFce를 선택했습니다.

사실 데스크탑이라면 우분투를 쓰는게 더 바람직하다 보지만, 제가 웹개발쪽으로 갓 시작한 탓에
리눅스는 좀 익혀야겠고 레드햇과 그나마 닮은 걸 고른답시고 고른게 이게 되었네요.

한영키 등등을 세팅하고 막 하느라 2주넘는 시간을 허비하고
다 했다 싶었는데

갑자기 타이틀바가 사라지고 터미널을 비롯한 여기저기서 입력도 안되고
워크스페이스 갯수조절도 안되는 문제가 발생해서 찾아보니

~/.cache/sessions를 지우라는 해결책을 찾아서 해결했습니다만...

제 짧은 리눅스지식과, 영어실력으로 이게 뭔지 잘 이해를 못했습니다. ㅜㅜ
(컴퓨터 공부를 하면서 수학과 영어의 필요성을 점점 느끼면서 후회가 됩니다...하하)

간단한 설명이라도 부탁드리고 싶습니다!

그럼, 좋은 밤 되시길 바랍니다.

academic의 이미지

TCP 135번 포트가 막혔을 때, 이를 우회할 수 있는 방법이 없나요?


회사가 이사를 했는데, 그 후부터 IDC에 있는 서버에 도메인 로그인이 안되더군요.

기존과 달라진 점이 뭔지 살펴보다보니, TCP 135번 포트가 막혀있길래...

IDC랑 회사 인터넷 회선 업체랑 두군데 문의해봤는데, 둘다 그 포트를 막지 않았다고 하네요.

그렇다면, 그 중간에 거쳐오는 곳 중에서 어느 한 곳이 이 포트를 막고 있다는건데,

정확히 어디에서 막고 있는지 파악하기도 힘들 뿐더러,

제가 풀어달라고 얘기해도 걔네들이 귓등으로도 안 들을게 뻔한데...

참 갑갑한 노릇입니다.

MS SQL Server 접속, 홈페이지 접속 등등을 모두 윈도우 인증으로 하고 있는데,

이를 다 바꿔야 한다면 작업이 만만치 않을 것 같네요.

어떻게 이를 우회할 수 있는 방법이 없을까요?

페이지

설치 및 활용 QnA 구독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