설치 및 활용 QnA

df.Karuna의 이미지

~/.cache/sessions에 대해 여쭈어 봅니다..

날이 많이 춥습니다. 선배님들 ㅎㅎ

저사양 노트북에서 돌릴만한 OS를 찾다가 Fedora XFce를 선택했습니다.

사실 데스크탑이라면 우분투를 쓰는게 더 바람직하다 보지만, 제가 웹개발쪽으로 갓 시작한 탓에
리눅스는 좀 익혀야겠고 레드햇과 그나마 닮은 걸 고른답시고 고른게 이게 되었네요.

한영키 등등을 세팅하고 막 하느라 2주넘는 시간을 허비하고
다 했다 싶었는데

갑자기 타이틀바가 사라지고 터미널을 비롯한 여기저기서 입력도 안되고
워크스페이스 갯수조절도 안되는 문제가 발생해서 찾아보니

~/.cache/sessions를 지우라는 해결책을 찾아서 해결했습니다만...

제 짧은 리눅스지식과, 영어실력으로 이게 뭔지 잘 이해를 못했습니다. ㅜㅜ
(컴퓨터 공부를 하면서 수학과 영어의 필요성을 점점 느끼면서 후회가 됩니다...하하)

간단한 설명이라도 부탁드리고 싶습니다!

그럼, 좋은 밤 되시길 바랍니다.

academic의 이미지

TCP 135번 포트가 막혔을 때, 이를 우회할 수 있는 방법이 없나요?


회사가 이사를 했는데, 그 후부터 IDC에 있는 서버에 도메인 로그인이 안되더군요.

기존과 달라진 점이 뭔지 살펴보다보니, TCP 135번 포트가 막혀있길래...

IDC랑 회사 인터넷 회선 업체랑 두군데 문의해봤는데, 둘다 그 포트를 막지 않았다고 하네요.

그렇다면, 그 중간에 거쳐오는 곳 중에서 어느 한 곳이 이 포트를 막고 있다는건데,

정확히 어디에서 막고 있는지 파악하기도 힘들 뿐더러,

제가 풀어달라고 얘기해도 걔네들이 귓등으로도 안 들을게 뻔한데...

참 갑갑한 노릇입니다.

MS SQL Server 접속, 홈페이지 접속 등등을 모두 윈도우 인증으로 하고 있는데,

이를 다 바꿔야 한다면 작업이 만만치 않을 것 같네요.

어떻게 이를 우회할 수 있는 방법이 없을까요?

kmsong의 이미지

리눅스 설치시 설정파일 자동수행 질문

안녕하세요

리눅스 설치시 킥스타트를 이용해서 리눅스 대량설치시 이용하는 경우가 종종 있잖아요?

근대 실제 필드에서는 킥스타트용 서버 한대를 마련하지 못하는 고객사도 많고, 킥스타트 설정하느니 그냥 cd로 설치하는 경우가 더 많았는데요.

그래서 usb로 설치를 하는분들 종종 보았습니다.

궁금한것은 usb로 os설치 이미지 부팅까지는 되는데 킥스타트처럼 설정값을 미리 잡아놓고 자동설치가 되는 그런형태로 os설치용usb를 만드려면 다들 어떤 방법을 이용하고 계신지요.?

도움좀 주시면 고맙겠습니다

jenifan2k의 이미지

도와 주세요... 우분투 설치가 안되어요...

usb 를 사용하여 넷북에 우분투를 설치하려고 합니다.

넷북은 쌤보의 에버라텍 HS-105

우분투 LTS 이미지와 우분투 사이트에서 권장하는 인스톨러를 사용했는데

부팅화면에서 부팅하겠다는 메시지만 나온채로 묵묵부답이네요..

어떻게 설치를 할까요?

rhdwnek74의 이미지

iptables NAT 문의 드립니다.


혹시 말도 안되는 소리라도 이해 부탁 드립니다.

아뢰 처럼 터널링이 된 상태입니다.

--A linux
인터넷 --- eth0 172.16.100.1
ip tunnel add tunB mode gre remote 192.168.100.1 local 172.16.100.1 ttl 255
ip link set tunB up
ip addr add 10.0.1.1 dev tunB
ip route add 10.0.2.0/24 dev tunB

--B linux

인터넷 --- eth0 192.168.100.1

ip tunnel add tunA mode gre remote 172.16.100.1 local 192.168.100.1 ttl 255
ip link set tunA up
ip addr add 10.0.2.1 dev tunA
ip route add 10.0.1.0/24 dev tunA

jmonaco88의 이미지

솔라리스10에서 vim을 설치하기위해서 이것저것 패키지를 깔던 도중에요...

필요한 모든 패키지를 다 깔고 환경변수와 라이브러리 경로 설정을 모두 해줬습니다.

그리고나서도 이런 메세지가 뜨네요...

ld.so.1: vim: fatal: relocation error: file /usr/local/lib/libgtk-x11-2.0.so.0: symbol g_hash_table_unref: referenced symbol not found
Killed

/usr/local/lib 라이브러리 경로 설정 해줬구요 gtk+ 받아서 설치했습니다.... 참조를 못한다는 뜻같은데 왜그런지 모르겠네요;;;
심지어 /usr/local/lib/libgtk-x11-2.0.so.0 이 없는것도 아니고 있습니다 ㅠㅠ

argonz의 이미지

도메인 네임과 호스트 네임 의 정확한 차이가 무엇인지 알고싶습니다

지금 dns공부를 하는데 아파치를 설치 하다가 호스트명이라는걸 알게 되었습니다
근데 도메인 네임과 호스트 네임 이라는게 개념이 겹쳐서 지금 혼란이 온 상태입니다
이 둘을 구분 할수 있는 기준이 무엇인가여?

www.juny.co.kr 이런 주소와 같이 설명 해주세요 고수님들 부탁드립니다

jeemin1의 이미지

win7 + cygwin + sshd 사용시 권한문제...


제 목표는 ssh클라이언트 정도만 있어도, 원격에 있는 윈7을 제어하려고 하는 것입니다.

윈도우 자체 텔넷 서버 기능으로는 성공했지만, 암호화가 필요해서요.

일단 cygwin으로 sshd설치에 성공했습니다. 외부에서도 접속이 잘 되더군요.

그래서 테스트로 윈도우 익스프롤러를 실행해보려고 했는데, 그대로 멈춰버리네요.

이번엔 외부접속이 아니라 cygwin콘솔창에서 같은것을 시도해 보니까 역시 그대로 멈춥니다.

그런데 cygwin콘솔창을 실행시킬 때 "관리자권한으로 실행"을 하니까 잘 됩니다,

이것으로 미루어 보아 권한부족으로 윈도우 명령이 실행되지 않는것이라고 보고 있습니다.

cygwin으로 설치된 sshd서비스를 관리자 권한으로 실행시키는 방법이 있따면 해결되지 않을까 싶네요.

현재는 cyg_server 라는 이름의 윈도우즈 유저로 sshd서비스가 실행중입니다.

혹시나 싶어서 윈도우 서비스 매니저에서 실행 유저를 cyg_server에서 "로컬 시스템 계정" 으로 바꿔 보았더니

ant01의 이미지

간단하게 웹 서버를 구축하는 법

http://antonio.pyy.kr/index.php?mid=fedora&document_srl=3768
위 링크에 간단히 아파치 웹서버를 설정하는 방법에 대하여 정리하였습니다.

페이지

설치 및 활용 QnA 구독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