버추얼박스 네트워크 설정 잘 아시는 분 도움 부탁드립니다.
제 맥미니에 버추얼박스를 설치해서 우분투와 CentOS 등을 올려놓고 서버 연습을 하려고 합니다.
호스트 컴퓨터(맥미니)에서 터미널로 게스트 컴퓨터(우분투 등 리눅스)에 접속하려고 하는데요.
도무지 버추얼박스 네트워크 설정을 해결할 수가 없네요.
현제 저희 집에는 일반 인터넷 회선이 들어와 있고, 여기에 무선공유기를 설치해서 쓰고 있습니다.
그리고 제 맥미니에는 케이블이 아닌 wifi로 연결되어 있습니다.
버추얼박스에는 일단 CentOS 6.3을 설치했는데요,
보통 네트워크에서 NAT으로 두면 게스트에서 인터넷은 가능하지만 외부에서 접속이 안되는 걸로 알고,
브리지 어댑터로 두면 게스트 컴퓨터가 외부의 공유기를 통해 직접 외부와 통신이 가능한 걸로 알거든요.
그러데 네트워크를 브리지 어댑터로 두고 설치를 해보니까 전혀 인터넷을 사용할 수가 없습니다.
제 짐작으로는 아무래도 맥미니르 wifi로 연결해서 그런거 같은데요 이 문제 해결 방법이 없을까요?
매번 그렇지만 가상OS의 네트워크 문제는 난해하네요.
또 네트워크 어댑터를 두개 두는 방법도 찾아보았는데요.
1번은 NAT으로 두고, 2번을 버추얼박스에서 제공하는 호스트 전용 어댑터로 연결하는 방법입니다.
그런데 이렇게 두고 호스트 전용 어댑터의 네트워크를 고정ip로 만들어야 하는데 제가 centOS는 젬병이라 잘 모르겠네요.
/etc/sysconfig/network-scripts/ifcfg-lo 파일은 보이는데,
구글에서 검색해본 것처럼 ifcfg-eth0이나 ifcfg-eth1파일은 보이지 않아서요.
그냥 ifcfg-eth1파일을 직접 만들어서 설정해도 고정 ip가 설정되는 건가요?
버추얼박스 네트워크 설정 잡는데만 몇일을 고생하니 숨이 차올라서 이곳에 질문 올려봅니다.
부디 도와주세요.
저는 오히려 Bridge로 구성했을때의 상황이 더
저는 오히려 Bridge로 구성했을때의 상황이 더 복잡한 것 같아서
보통 NAT로 설정하고 Port Forwarding 으로 해결합니다...
NAT로 설정해주고 내가 원하는 Port만 직접 지정해서 오픈하는게 더 명확하고 간편한 느낌이 들어서요
...질문인데요..
반드시 Bridge를 사용하셔야만 하는 이유가 있으신지요?
guest system 에 네트워크 카드 2개 잡아 host-guest간 연결 구성하는 법
vmware와 달리 virtual box에서는 이 방법으로 하지 않으면 몇몇 귀찮은 작업이 들어가더라구요.
1. host PC의 vitual box 의 설정창에서 (guest machine 설정이 아닙니다.) 호스트 전용 네트워크 추가 (VirtualBox Host-Only Ethernet Adapter)
2. 가상 guest machine 설정에 들어가셔서 네트워크 1번 NAT 2번 호스트 전용 어댑터 선택
3. centos 설치 후 eth1번 ip ifconfig 명령어로 확인하셔서
4. host PC에서 centos eth1 ip로 putty 접속
하시면 될 것 같습니다.
물론 centos 에서 sshd 시작 해 주시고 iptables로 port 뚫어 주셔야 하는 건 기본이구요 :-)
이건 공유기를 안 썼을 경우 이고
질문 하시는 분은 핵심은 공유기를 썼을때인듯 하네요 저도 지금 고생중이라^^
댓글 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