설치 및 활용 QnA

kqqk1234의 이미지

HDMI 인식 장애..

현재 Lenovo U310 모델 사용중이고 모니터는 LG 플래트론 IPS236입니다.

며칠전까지 HDMI로 듀얼모니터 잘 사용하고 있었는데요.

얼마전부터 갑자기 듀얼 모니터 인식을 못하네요..

HDMI 선 끼우면, 모니터 쪽에서는 HDMI 표시가 뜨는데 화면은 안나오고(연결이 안되서)

노트북쪽에서는 아예 모니터 인식 자체를 못하네요.

감지 눌러봐도 사용할 수 있는 외부 장치가 없다그러고, 그래서 그래픽 드라이버 문제인가 해서

그래픽드라이버 다시 설치하고 업데이트 해봐도 그렇네요.

게임 같은것도 잘 되고, 다른건 다 되는데 모니터 인식만 안되는데, 모니터쪽에서 잘 인식되는걸로 봐서

케이블이나 모니터 문제도 아닌거 같고 ㅠㅠ

원인이 뭘까요..

최근에 게임을 하나 설치해서 했었는데, 컴퓨터 사양때문인지 IPS236 쪽에 게임 화면 띄워놓고 하면 해상도를 낮춰도 느리길래

게임 할때는 노트북 단일 디스플레이로 설정해 놓고 몇 번 하긴 했었는데

alexyoon의 이미지

error : no video mode activated

PC에서 vmware player에 ubuntu를 설치해서 사용하고 있습니다.
ubuntu version은 12.04를 설치했습니다.

12.04에서 kernel을 새로 추가하기 위해 시도하는 부팅시 메뉴가 뜨지 않고
'error : no video mode activated'란 error가 뜹니다.

apt-get을 이용해 grub2를 다시 설치해보기도 했습니다.
그래도 소용은 없네요.

grub file은 아래와 같이 editing했고, editing 후에 update-grub도 했습니다.

solsolman의 이미지

Gentoo Linux에서 dd command 로 부팅시 문제

프로그래밍 QnA에 잘못 올려서 다시 올립니다

gentoo linux에서 dd command를 이용 하여 booting을 하려고 하는대 문제가 발생했습니다.
고수님들의 깨알같은 도움 부탁드립니다.

환경 : 셋톱박스, cpu intel atom, disk: sata3 uSSD(16G)내장칩, OS: gentoo linux

jcgrinbee의 이미지

Windows 의 BusHound 와 같은 프로그램 Linux 용이나 Unix 용 프로그램 ... 도와주세요

혹시 있으거나 알고 있으시면 알려주세요,

OSX 에서 동작하는 Serial 통신 프로그램이 있는데 스트림 을 좀 잡아봐야 하는데 모니터링 하는 알맞은 프로그램이 뭐있는지 알수가 없네요.

검색으로 찾아보았지만. 전부 Port 하나 잡고 있으면 다른것이 동작을 못해버리고...

BusHound 처럼 스트림 모니터링 가능한 툴좀 알려주세요.

andysheep의 이미지

10인치 소형 모니터를 리눅스 셈틀에 연결하려면?


본체만 있는 보조 셈틀에 데비안 깔아서 자료 백업할 때만 쓰고 있습니다.

전에는 노트북으로 자료 백업을 했었는데, 주 셈틀이 먹통되었을 때는
복구용으로 보조 셈틀을 사용할 수가 없네요.

소형 모니터를 일반 셈틀에 접속하는 특별한 어댑터가 있는가요?

cleansugar의 이미지

KT 인터넷 전화기 아프로텍 AT202-906D가 있는데 해킹할 수 없을까요?

KT용 인터넷전화기 아프로텍 AT202-906D가 있습니다.
http://www.aprotech.co.kr/catalogue/detail.php?inoGood_no=85&ino_code=13&page=1

TCP 포트가 5060번 SIP만 열려있습니다.
UDP는 스캔 안해봤고요.

갖고 놀 수 있는 방법이 없을까요?

외부포트는 LAN 1개 WAN 1개 뿐 입니다.

케이스는 안 열어봐서 내부 단자는 모르겠습니다.

초보자인데 해킹할 수 있는 방법 없을까요?

sylphiel의 이미지

CentOS 6.3에서 yum -y update 했을때

python 2.6.6 다운로드 받는 부분에서 아래와 같은 에러가 발생합니다.

tkfkd82의 이미지

동일 장비에 DBMS추가 or DB추가 ??

안녕하세요

문득.. 서버장비에 DBMS설치를 하다가 궁금증이 왔습니다.

저희는 mysql을 사용하고 있는데요... 완전 기초적인 질문일지 모르겠으나... 저도 신입이라 궁금한게 많습니다.

1. 같은장비에 DBMS 두개 설치하고 서로 다른 포트를 사용하는 것과
2. 같은장비에 DBMS 하나 설치하고 DB명을 추가해서 사용하는 것

두개의 차이가 어떤게 있을까요??

보통 어떤방식으로 사용을 하시는지...
어떠한 환경에서 1번을 사용하고 어떠한 환경에서는 2번을 사용하는지 궁금합니다.

jcgrinbee의 이미지

BusHound 와 같은 스트림 모니터링 프로그램 Linux 용.

도와주십시요. 고수님들

이번에 Windows 쪽만 계속 프로그래밍 디버깅만 2년 하다가.

저희가 사용하는 툴을 Linux 용으로 만들어야할 판이 되었습니다.

근데 이 툴은 핸드폰(안드로이드) 에 연결하여 COM port 정보를 알아야 동작을 할수 있는 것입니다.

Windows 에서는 Modem 포트 말고도 WDM 포트가 잡히지만 Linux 에서는 달랑 Modem 포트 하나 잡히더군요.

그걸 UARTcom 프로그램으로 AT Command 를 날려보니 Response 가 오는것은 확인했습니다.

하지만 저희가 사용해야할 프로그램은 AT Command 가 아닌 DM(Diagnostic Monitoring) Command 를 날려보내야 하거든요.

그걸로 핸드폰내 Nvitem 이나 SPC 또는 CDMA 의 설정값들을 Read 하거나 Write 할수 있습니다.

그래서 프로그램 개발이전에 우선 Windows 에서 잡히던 COM 포트 와 같은 녀석이 Linux 에서도 가능하지 부터 알아봐야하는데요.

cybermeo의 이미지

Dropbear 접속 에러....


빌드해서 타겟 보드에 올리는데 까지는 성공했습니다.

dropbear_dss_host_key 키와 dropbear_rsa_host_key 도 정상적으로 생성 되었습니다.

dropbear -F -E 로 dropbear도 실행하고

접속 시도하면

ssh xxx@192.168.1.222

패스워드 물어보고 패스워드 입력하면
Permission denied, please try again.
나오다가 3회 초과해서
Permission denied (publickey,password).
나옵니다.

뭐가 잘못된건지....;;

타겟 서버쪽 작업은

페이지

설치 및 활용 QnA 구독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