설치 및 활용 QnA

shiningstarz의 이미지

리눅스 설치중 라이브러리 링크 관련 궁금사항있어요.

안녕하세요

CentOS6.3(64비트) 환경에서
nco라는 프로그램을 설치하고 있습니다.

제가 configure 옵션을 아래와 같이 주었는데요.

./configure --prefix=$NCO_PATH CC=pgcc --disable-shared --enable-netcdf-4 CFLAGS="-I$HDF5_INC_DIR -I$ANTLR2_INC“ LDFLAGS=“-L$HDF5_LIB_DIR -L$NETCDF_LIB -L$ANTLR2_LIB” LIBS=“-lnetcdf“

-l$ANTLR2_INC 의 경우 라이브러리가 바로 링크 걸려있는 것이 아니라, antlr 디렉토리 안에 라이브러리가 있었습니다.

이런 경우, 설치를 진행하면서 라이브러리를 읽어들이는데 오류가 나지 않을까요?
(다른 변수들은 모두 라이브러리 디렉토리에 링크가 잘 걸려있었습니다)

답변 부탁드립니다.

cosgun의 이미지

리눅스 호환성 모드

안녕하세요 , 좀 어이없는 질문일수도 있다고 생각되는데

일단 윈도우에서 호환성 모드 체크를 해야하는 프로그램이 있습니다

물론 그것을 체크안하면 정상작동을 안하구요,

체크를 하면 정상작동을 하게되구요

리눅스 프로그램도있기는한데 그 모듈이 호환성모드를 체크를 안해서 그런지 제대로 작동을 안하더라구요

그래서 윈도우에도 있듯이 호환성모드 리눅스에도 체크해서 실행할수있는 방법이 없을까요?

nohup 로 참고로 데몬 올려서 쓰고있습니다.

pogusm의 이미지

libpng 를 mingw32 용으로 리눅스에서 빌드할때, dll 파일이 생성되게 하는 방법은 없나요?

윈도우7에서 QT(C++) 프로그래밍에 사용하기 위해 libpng를 MSYS 에서 빌드하면
"libpng15-15.dll" 파일이 생성이 됩니다.

그런데, 리눅스에서 mingw32 용으로 빌드 하면 원래 dll 파일은 생성되지 않는건가요?
[root@localhost libpng-1.5.13]# ./configure --build=i686-mingw32
[root@localhost libpng-1.5.13]# make
(빌드는 되지만, dll 파일은 생성되지 않습니다 ㅠㅠ)

s0ulhacker의 이미지

MRTG 평균값 주기를 변경 하고 싶습니다.

MRTG로 네트워크 트래픽을 체크하면 아래와 같은 형식으로 출력이 됩니다.

일간 그래프 (5 분 단위 평균)

주간 그래프 (30 분 단위 평균)

월간 그래프 (2시간 단위 평균)

연간 그래프 (1 일 단위 평균)

여기서 그래프 마다 체크하는 주기가 되는 단위를 변경하고 싶습니다.

나름 검색해서 알아본 것들을 해봤지만 안되더군요.

cfg 파일에 Step 옵션 넣는걸 해봤는데 (ex: Step[_]:60) 일간 그래프에만 적용되는것 같습니다.

Step 뿐만 아니라 그래프 크기 변경이라던지 (ex: XSize[_]: 300) 하는 옵션들을 cfg에 넣으면 전부 일간 그래프에만 적용 되더군요.

월간 그래프를 5분단위 평균으로 표시되도록 할순 없는건가요?

아시는 분의 조언을 부탁드립니다.

pogusm의 이미지

GPL 라이브러리를 이용한 프로그램의 "배포"의 경계?는 어디까지 인가요?

GPL 라이브러리를 이용하여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고 가정

1. 혼자만 사용
2. 가족,친척,친구와 사용
3. 회사 내부에서만 사용
4. 회사와 협력사 에서만 사용
5. 특정 대회의 출품작으로만 제출
6. 특정 기업에 사업제안용(아이디어 구현)으로 제출

위 경우, 소스코드를 공개해야 하는 경우가 있나요?

pogusm의 이미지

GPL 또는 LGPL 라이브러리를 이용한 프로그램에 대해 특허등록이 가능한가요?

곰플레이어는 "FFmpeg(라이센스는 LGPL)" 을 사용하는데 특허등록이 되어 있더라구요..

그러니까.. LGPL 라이센스 라이브러리를 이용한 프로그램에 대해(프로그램의 일부 기술에 대해) 특허등록이 가능해 보이는데..

GPL 라이브러리를 이용할 경우엔 안되는건가요?

GPL / LGPL / 특허권 / 저작권 등을 잘 몰라서 질문에 오류가 있을 수 있습니다.

오리주둥이의 이미지

DB서버를 웹서버, 메일서버와 함께 돌리는것이 나쁠까요?

오늘 웹호스팅 업체에 다니시던 아는 분과 이야기를 나누다가 호스팅 업체들이 db서버는 따로 돌리는 경우가 대부분이라고 말씀하셔서 궁금해졌습니다.
보통 자기계정 용량내에서 무제한 db와 메일용량을 허용하는 업체들이 많은데 이런 업체들은 한 서버에 각각 웹, db, 메일 서버를 설치하고 사용자를 받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물론 유명한 큰 곳들은 각각 용량을 정하고 배분하니 각 서버별로 따로 돌리긴 하겠습니다만..

이유를 물어보니 보안 이야기가 가장 먼저 나왔는데 여러분들의 생각은 어떠신가요?
같이 돌리는 경우도 많은 것으로 아는데 그렇지 않은가요?
퍼포먼스의 문제라면 요즘 서버에서는 큰 의미가 없다는 생각이 들어서요.

japanox의 이미지

gentoo 리눅스에서 USE flag란 무엇입니까?

USE flag라는것에 대한 정의와 역할이 궁금합니다.

인터넷에 찾아봐도 별로없고.
답변 부탁드리겠씁니다.

livey의 이미지

ARM lubuntu 에서 nabi 사용 문의.

MK802ii 라는 웹TV용 장치(?)에 루분투 12.04(ARM용)를 설치했습니다

nabi를 설치했는데 터미널에서는 한영 변환이 잘됩니다
근데 웹브라우저에서 입력할때, 문서프로그램에서는 작동이 안되네요.

nabi arm 배포판에 버그가 있는건지 아니면 뭔가 설정해줘야하는게 있는건지 좀 알고싶습니다

ohty87의 이미지

리눅스에서 asp 올려서 웹서버를 구축할수 잇나요?

asp는 iis에서 windows 기반으로 돌아가는걸로 알고 잇는데,
갑자기 궁금해서 올려봅니다.

페이지

설치 및 활용 QnA 구독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