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어떤 서버A가 있는데 IP가 예를 들어 192.168.70.100 입니다. 그리고 서비스를 위해서는 이 IP가 중요한 역할을 하여, 바뀌면 안 됩니다.
이 서버가 장애가 났을 때를 대비해 이중화를 하려는데, 이런 저런 검토 결과
- A와 B서버에 각각 IP를 할당하고 서비스에 쓰이는 192.168.70.100은 A와 B 중 액티브 서버에 IP alias 로 부여한 후
- 평소에는 다른 서버B에 A의 내용을 rsync 로 동기화하다가
- A가 죽으면 B에 저 IP를 부여하고 서비스를 띄움 (평소에 띄울 수 없는 사정이 있음)
하는 식으로 구성을 해보고 있습니다.
그래서 지금 테스트 중인데, A가 죽고 B에 IP를 부여하여 원하는 시나리오대로 서비스는 띄울 수 있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