설치 및 활용 QnA

익명 사용자의 이미지

AWS httpd CPU점유율 100%

안녕하세요
조그만한 커뮤니티를 운영중에 있습니다
동접자수는 50~60명 사이구요

AWS에서 4core 램16gb VPS를 사용중인데
50명만 되도 그냥 cpu가 100% 차버리면서 사이트 접속이 안되버립니다

램 usage 는 20~30%정도로 안정적이고
디스크 I/O 도 정상
네트워크도 정상
MySQL도 정상으로 보입니다

어떤것을 점검해봐야할까요?

prefork 를 worker로 변경해야할까요

Largo의 이미지

vim 설정 관련 질문입니다.

vim 에서 특정 단어를 찾을 때 /단어 형식으로 찾은 후

n이나 N을 이용해 다음으로 넘겨서 사용하고 있습니다.

그런데 마지막 단어에서 멈추게 하는 설정을 어떻게 할까요...?

현재는 n 을 누르면 다음으로 계속 넘어가고 결국엔 파일 맨 위로 돌아와 반복되도록 되어있습니다.

단어를 파일 맨 밑줄에서 멈추게 하고 싶습니다.

익명 사용자의 이미지

리눅스 APM 보다 윈도우 오토셋이 훨씬 빠른이유가 뭘까요?

안녕하세요?
현재 문제가 있습니다 개발된 사이트를 서버에서 올려놓고 운영중인데
어떤 작업을 한 이후로 문제가 발생됬는지는 알 수 없습니다

현재 문제점은

리눅스 httpd + PHP7.2~PHP8.0 + mariadb10.5 환경일때 페이지마다 지연이 3초 이상입니다
일부 페이지는 지연이 안먹는거보면 어떤 소스문제인거같은데 해당 소스 디버깅은 어려우므로 서버를 바꿔봤는데요

윈도우 오토셋(httpd + php7.0 + mariadb) 일 경우 지연 1도 없고 굉장히 빠릅니다
윈도우 xampp(apm 최신) 일 경우 지연 3초 이상 굉장히 느립니다

리눅스에서 php 버전 여러개 설치도 해보고 테스트 해봤으나 지연은 동일
유일한 해결법은 윈도우에서 오토셋을 쓰는건데 도대체 어떤식으로 확인을 해야할지 감이 안잡힙니다

테스트 해본거라곤 php 확장모듈 일치 시켜봤는데도 동일하고 어떻게 테스트 해야할까요

gksody의 이미지

phpmyadmin 웹서버와 db서버 분리에 관해서

virtualbox를 이용하여 centos VM 2개를 만들고 하나는 Web서버 하나는 DB서버로 설정하였습니다.

제가 하려고한건 DB서버는 mysql(mariadb)만 깔려있고 Web서버에서 phpmyadmin와 php,apache를 설치하여 db서버에있는 db만 이용하고 싶은데요

구조적으로 불가능한지 여쭈어보고싶습니다.

Web서버 ip가 10.0.2.7이고 db서버 ip가 10.0.2.8이라면

web서버에서 10.0.2.8/phpmyadmin을 할시에 접속이 되지않습니다.

web서버에서 10.0.2.7/phpmyadmin(로컬)로 접속할 시에 이상없이 페이지가 뜨구요

/etc/httd/conf.d/phpmyadmin.conf에서 접속허용을 all granted로 허용해주었구요

db서버 web서버 둘다 포트 열어주었습니다(80,443,3306,22)

web서버와 db서버 둘다 핑테스트 이상없구 ssh접속도 원활히 됩니다.

db서버에서도 APM을 다설치하면 웹서버에서 이상없이 접속되는데

ehddms10의 이미지

우분투 서버용 설치 후 git 사용 질문

서버용으로 설치를 해서 cli환경인데 git을 사용하려면 토큰 인증을 해야 하잖아요 복사 붙여넣기를 어떻게 하는지 궁금합니다. 기존에 gui환경에서는 우클릭으로 paste하면 되는데 cli는 그게 안되니 좀 당황스럽습니다

dooggy의 이미지

release후 실행시 debug flag 설정하기

안녕하세요
C 언어에서 code내에 DEBUG macro을 삽입한 후 compile시 -DEBUG을 사용하여 debug code를 On/Off 할 수 있습니다

뉴로맨서의 이미지

AWS에서 리눅스 패치 자동 적용

AWS에서 개인용도로 리눅스 서버를 운영 중인데 OS의 보안 업데이트가 자동으로 설치되더군요. 패치 관리자에서 별도로 설정을 하지 않아도 배포판의 기본 패치 기준이 적용되는 것인가요?

익명 사용자의 이미지

리눅스 설치 시 디스크가 /dev/sdb로 인식됩니다.

레드햇 리눅스 설치 진행 중에 디스크 파티션을 나누는 부분에서 raid 1로 잡은 가상 디스크가 /dev/sda가 아닌 /dev/sdb로 인식됩니다.
다른 가상 디스크가 있나 싶어 레이드 컨트롤러에서 확인 해보아도 구성된 가상 디스크는 하나입니다.
혹시 디스크가 아니라 hba나 nic가 /dev/sda를 먼저 차지하는 경우도 있나요.
해결 방법 아시는 분 계시다면 조언 부탁드립니다.

익명 사용자의 이미지

ssh server key 관련 문의

안녕하세요~

관리 부실로 서버에 문제가 생겨 도움 요청드립니다.

클라이언트에서 서버로 ssh 접속하는 스크립트에서 비밀번호 입력없이 접속하게 하려고
클라이언트 .ssh/known_hosts 파일에 서버 정보를 미리 설정해 두었었습니다.

현재 서버에 문제가 생겨 새로 설치했구요. 원래 데이터는 복구하지 못했습니다.

클라이언트에서 접속 시도시 아래와 같이 출력됩니다.

익명 사용자의 이미지

리눅스 해킹당한거 같은데 이게 뭘까요?

저거 점유율 99 뜨면서 cou 쿨러 최대치로 돕니다. 강제로 프로세스 종료해도 다시 살아납니다.

네트워크를 끊고 프로세스 종료하면 다시 안살아나구요.

실제로 저 경로에 자바 설치 안되어 있습니다.

저게 뭘가요..

페이지

설치 및 활용 QnA 구독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