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스템 엔지니어 고민상담실

heybuddy의 이미지

mknod에 대해서

안냐세요!!
리눅스 초보입니다.
다름이 아니라 mknod 명령어에 대해서 공부하고 있는데요
장치파일을 생성해 주는 명령어 잖아요!!
근데 생성해주는 장치파일들이 무슨 용도인지 잘 모르겠어서 질문합니다.

FIFO file, Block 특수파일, Character 특수파일 등 뭐 하는 파일인지 잘 모르겠습니다.

글구 장치

hellokdw의 이미지

HA(high Availability) 에 관한 질문입니다.

지금 NAT+HA 를 구성하려고 하는중입니다.
먼저 HA 를 테스트 서버 두대에 설치 하였는데요.

질문 몇가지를 드리겠습니다.

1.master로 가동되고 있는 서버에서 물리적으로 선을 제거하면 정상적으로 동작을 합니다.
그런데 ifconfig eth0 down을 하면 원하는 데로 동작을 하지 않네요.

2.그리고 eth1 을 다운

heybuddy의 이미지

block 개념 좀 설명해 주세용!!

안냐세요!! 리눅스 초보입니다.
다름이 아니라 리눅스 하드디스크 관리 공부하고 있는데요~~
block & bedblock 개념 좀 설명 해 주세요
자세히 부탁드리겠습니다.

diniell의 이미지

리눅스 초보입니다. .... 하드 용량 문제...

Cent 5.0인가 설치를 했는데..
특정한 프로그램(오래된 프로그램)에서 1TB 하드 디스크의 용량이 130GB로 보입니다.
df등으로 보면 용량이 제대로 나오는 것 같은데..

프로그램의 문제인가요? 아니면 시스템에서 고쳐주면 될까요?

heybuddy의 이미지

awk 명령어 설명 좀 부탁드립니다.(자세히용)

안냐세요!! 리눅스 초보입니다.
다름이 아니라 공부 중에
ls -l /home | grep "^d" | awk "{print "tar cvfpz "$9"\.tar\.gz" "\/home\/"$9}'
라는 것이 나왔는데요...
grep "^d"까지는 알거든여?!

kirknodeng의 이미지

[질문] Linux에서 Multi-ICE를 사용해서 Target board에 다운로드 혹은 디버깅 할 수 있는 방법이 있나요?

안녕하세요
열심히 공부하는 학생입니다.

연구실에 Multi-ICE가 있는데, 이것으로 작업을 하려고 합니다. 근데 이놈이 parallel포트 더군요.
요즘 컴퓨터는 parallel 포트가 없어서 작업이 불가 함을 느꼈습니다.
휴인스의 SoC Master3를 사용하고 있는데 USB를 사용해 볼까도 생각해 보고 Serial 포트도 생각 해 봤지만
가능하다면 Multi-ICE를 꼭 쓰는게 개발에도 좋을 것이라고 생각해서 Linux에서 깔아서 작업을 하면
되겠거니 하고 생각 해서 프로그램을 설치하려고 했더니
ADS/ADU 가 깔려 있지 않으면 깔 수가 없나 보더군요...

하여, 질문입니다.
linux에서 Multi-ICE를 사용하여 디버깅과 다운로드 할 수 있는 방법이 없을까요?

좀 찾아 보니깐 multi-ice-gdb-server 라는 놈도 있고 kgdb 라는 놈도 있고 한데, 혹시
이러한 개발환경 사용해 보신 분 있으시면 참고할만 자료를 좀 추천해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jw8704의 이미지

쉘스크립트,seq 에 관한 질문입니다.

/etc/cron.daily/cyrus-imapd
ROTATE=6
seq $[ $ROTATE -1 ] 1 | while read i; do "Sentence"

라는것의 1 이게 뭐하는건지 이해가 안되어서 다음과 같은 작업을 해봤습니다.

seq $ [ $ROTATE -1 ] | while read i; do
echo $i
done

이렇게 하면 5,4,3,2,1 이 출력이 되지만

seq $ [ $ROTATE -1 ] 1 | while read i; do
echo $i
done

하면 아무것도 출

brown의 이미지

서버 스토리지 증설 고민

1U짜리 supermicro서버가 한대 있습니다(ss5016t-tb)
300G SAS를 두개 달아서 미러링 걸어 놓고 사용중인데, 용량증설에 대한걸 염두해두지 않고 구축해서 앞으로 스토리지 증설시 어떻게 해야될지 고민입니다.
반드시 미러링을 해야되는데, 1+0, 0+1을 할려해도 HDD 4개를 장착할 bay도 없고, 외장 USB HDD로 연결하는

jeon1226의 이미지

점보 프레임 세팅 관련 의문

안녕하세요. 저는 대학원에서 수치연산 시뮬레이션을 하고 있는 대학원생입니다.

노드가 26개인 클러스터 서버를 관리하고 있습니다.

큰 수치연산을 mpi를 이용하여 자잘하게 쪼개서 돌리는 일을 해야 합니다.
별 다른 문제 없이 잘 돌아갑니다.

페이지

시스템 엔지니어 고민상담실 구독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