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스템 엔지니어 고민상담실

glayneon의 이미지

openldap 을 운영중인데요


openldap 으로 사내 메일 주소록을 만들어서 쓰고 있고,

향후 통합 인증으로 확장하려 하고 있습니다.

다름아니고, 리눅스에서 커맨드 기반으로 관리하기가 불편해서 쓸만한 ldap 웹관리 툴을 찾고 있습니다.

경험이 없어서 뭐가 괜찮을지 모르겠네요.

현재로썬 phpldapadmin 을 사용할까 생각중인데요..

openldap 을 웹으로 관리하기에 어떤 툴이 편하고 좋을까 고민되어 문의 드립니다.

여러 경험많으신 SE 분들의 답변 기다리겠습니다.^^

감사합니다.

후빈효1의 이미지

신입사원의 고민

현재 Voip 솔루션을 개발하는 벤처기업에 신입사원 SE 로 취업을 했습니다.

솔직히 말이 좋아 SE 지 하는 업무는 아직 쌩 초보이구요..

다름이 아니라 저의 고민은..

저는 네트워크 공부를 해왔구요.. 또한 저의 목표도.. 다방면의 최고인 SE 가 되는것입니다.

어떤 장애에 대한 트러블슈팅을 처리할 수 있는 경험을 가진 SE 요..

근데 그런 SE 가 되기 위해서 지금 회사에서의 경험이.. 고민입니다.

현재 저희 회사는 VoIP 전화 발명하는 회사로서..거의 개발을 주로 하시는 업무인데..

솔직히 저는 여기서 관리하면서 일을 배우고싶은 서버도 없습니다..

아직 벤처기업이라 구동하는 서버도 없습니다..

그래서 지금은 그냥 IP 전화기 Test 업무만 하고 있는데여...

물론 배우는 자세로 임하면.. 열심히 할수는 있겠지만...

그냥 단순히 이런 테스트 업무만 할바엔 정말 다른 회사가서 죽도록 배우는게 낫지 않을까 라는 생각도 들구요..

yjs8237의 이미지

고민 SE

SE 평생직장으로 어떠세요?

괜찮은 비전있는 직업이라고 생각하세용??

ounknown927의 이미지

미래가 걱정됩니다.....

에휴.. 안녕하세요? 저는, 현재 C,C++을 다 뗀 예비 중2 한 학생입니다.
솔직히, 프로그래밍 공부를 할 수록 걱정되는 일이 하나 있습니다.

만약, 저는 현재 윈도우즈프로그래밍을 중점적으로 공부하고 있는데, 제가 취업할 때 쯤이면, 막, 리눅스가 보편화 되어 있거나 다른 운영체제가 보편화 되어 있다면, 저는 그 때 어떡해야 할까요? 그렇게, 된다면 제가 그 때 까지 공부한 것이 사실상 모두 물거품이 되는 일인데....

요즘은, PC도 나오고 있지만, 안드로이드를 기반으로 하는 Galaxy Tab등, 태블릿 PC등이 나오고 있다는데;;

그리고, 최근에는 웹쪽이 추세인 것 같기도 합니다. 클라우드 기술 하면서, Google은 클라우드 기반의 Chrome OS를 개발하고 있고, 마이크로소프트 측에서도 점점, Azure, 미도우(클라우드 기반의 운영체제의 코드네임)을 준비하는 것 같기도 하고....

제가 20대 중반이 되었을 떄, 과연 그 때 IT 시장은 어떤 추세 일까요? (제가 20대 중반이면, 2022년 쯤이겠네요....)

digirave의 이미지

저가형 1U나 2U rack 서버 조립/판매하는 곳 혹시 추천할만한 곳 있나요?

저가형 1U나 2U rack 서버 조립/판매하는 곳 혹시 추천할만한 곳 있나요?

통큰아이 같은데 보면 http://server.tongkni.co.kr/web/z303-intel_qisa.asp 같이 정말 저렴하긴 하던데,
서버 호스팅 업체들에서 구매하면 대부분 12개월 약정이 필요해서,
서버만 필요할 경우, 단순하게 서버 조립/판매하는 곳 혹시 추천할 만한 곳 있나요?

감사합니다.
좋은 하루 되시길 바랍니다.

ego80v의 이미지

date +%s

date 명령어의 %s 포맷은 1970년 1월 1일 0시 부터 초를 count 한거죠..

그럼 임의의 값 1292373000 이걸 사람이 읽기 쉬운 일반적인 날짜 표기가 되려면 어떻게 해야하나요? ㅠㅠ

뭐 예를 들면

command 1292373000 -> 2010-12-01 00:00:00

이런식으로 말이죠..

goodnux의 이미지

개발 프로젝트를 하고 느낀점

이번에 2달 짜리 개발 프로잭트에 들어가서 거의 막바지에 와있습니다
워낙 짧은 기간의 막장 개발을 참여했습니다
기존 업무를 파악하고 신규추가 기능을 개발하는일을 했습니다
jsp 책을 사서 며칠 들여다 보고 근데 코딩은 java로 하네요
java책은 안샀습니다
그냥 jsp책에 조금 있는 자바문법보고 인터넷보고 스크립트 언어 jsp만을 봤을때는 그냥 편하게 들어왔는데요
java 소스코드를 보니까 며칠동안 이해가 안되고 멍해있었습니다
지금은 소스를 보면 이해가 가고 코딩도 가능합니다
처음 프로잭트에 들어가서 과연 할수 있을까
java를 모르는데 할수 있을까 생각을 했습니다
업무파악을 하고 프로그램을 설계를 하기 시작했죠
이때는 정말 SE의 강점이 드러난다고 생각합니다
초급 프로그래머들이나 그냥 저냥 하시는분들은 어떻게 만들어야 할까 고민을 할때 제머리속에서는 지금 만들고 있는 아키가 그대로 머리속에 그려졌습니다
그리고 왜 jsp java를 써야 하나에 대해서도 알것같습니다

monovision의 이미지

httpwatch 에서 ERROR_INTERNET_CANNOT_CONNECT 가 발생합니다.

httpwatch 로 사이트 디버깅 중 status_code 가 ERROR_INTERNET_CANNOT_CONNECT 로 찍히는 경우가 종종 발생합니다.
httpwatch 의 에러로그는 아닌 것으로 보이고,
검색을 해보면 winInet 쪽의 에러 메세지로 확인이 되는데요...

httpwatch 에서 status code 가 ERROR_INTERNET_CANNOT_CONNECT 일 경우 클라이언트 문제로 보아야 할까요 ? 아님 서버단 문제로 보아야 할까요 ?

판단을 내리기가 너무 애매해서 도움을 구합니다. (__)

yongjel의 이미지

SUSE 11.1 리눅스에서 랜카드 2가 사용시 장애 문의

SUSE 11.1 버젼이고,
하나는 내부통신만 그리고 하나는 외부 통신만 하기 위해 eth0, eth1 2개의 랜카드를 장착했습니다.

1. 서로 동일한 subnet 에서 각기 IP를 할당 하니, gatewqy가 틀리 지역에서 통신이 불가 합니다.
2. 서로 다른 subnet에 범위가 틀린 IP (예 eth0 = 10.10.10.x, eth1 192.168.1.)을 부여 하였지만 역시난 동시에 통신은 불가 합니다.

위의 문제 처럼 하나의 장비에 2개의 네트워을 장착하여 DMZ 개념으로 사용하고 싶은데 어떤방법이 있을까요? OS routing 문제 인것 같은데 해결이 안됩니다.
윈도우즈에서는 잘 되는 부분인데 리눅스는 취약하다 보니 아시는 분 댓글 부탁드립니다.

jhk00의 이미지

CPU 사용율의 의미는 뭘까요?

항상 시스템을 사용하면서 CPU의 사용율을 보며 지금 몇% 쓰는구나.. 라고 생각만 했지
실제 그 의미를 깊게 생각해본적이 없네요..

CPU 사용율의 의미는 뭘까요?
100%와 50%의 차이점은 뭘까요?
단순히 많이 쓰고 적게 쓰고의 차이인가요?

그리고..
CPU 사용율이 100%일때 IO가 일어나거나 cache miss가 일어나면
커널레벨의 sy_cpu의 %가 높아지니까 전체 CPU의 100%는 유지 되어야하는것 아닌가요?

원리를 잘모르니 단순한것 같지만 확실히 이해는 안되네요..

페이지

시스템 엔지니어 고민상담실 구독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