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새소식

kall의 이미지

MySQL과 SAP DB의 합병

database.sarang.net 의 sap쪽에서 글을 보고 관련해서 좀 찾아보니
MySQL쪽 뉴스가 좀더 자세하군요...

http://www.mysql.com/press/release_2003_16.html

MySQL쪽의 글로 봐서는 완전 흡수 합병인듯 합니다.

3가지로 나누어질 MySQL의 새 버전의 일부가 될듯 합니다.

MySQL Classic, Pro, 그리고 또 하나(아직 이름은 미정이라더군요)
아직 이름이 정해지지 않은 하나의 버전에 SAP DB가 사용될 예정이라더군요.

엔터프라이즈로 시장을 넓혀가겠다는 의도같은데...

서로 다르

see2002의 이미지

Vim 6.2 released!

조금 늦은 뉴스지만, Vim 6.2가 드디어 릴리즈 되었군요 :o

http://www.vim.org/

Quote:
Vim 6.2 - The Amiga memorial edition

[2003-06-01] A complete new release of Vim is waiting to be downloaded! This is mostly a bugfix release, only a few new features are available: Arabic support, exception handling, GTK 2 support, PostScript printing for 8-bit encodings and a number of smaller things. Several hundreds of bugs have been fixed. For the full list of changes do ":help version-6.2" in the new Vim. (Bram Moolenaar)

여담이지만...

alfalf의 이미지

Python 2.2.3(final)이 발표되었습니다.

지금 한참 토론방에서 이야기되고 있는 언어인 Python의 2.2.3버젼이 발표되었습니다. 2.2.2버젼에 비해서 특별히 다른점은 없다고 하는데 자세한 내용은 아래 홈페이지를 참조하세요.

http://www.python.org/2.2.3/

nohmad의 이미지

MS-AOL 브라우저 전쟁 종결..

미국 지방정부들이 제기한 것과는 다른, 주체가 AOL인 소송인데 조용하게 일단락됐다는군요.

합의금이 7억 5천불이면 1조원이 조금 못되는 돈인데, 이 정도 액수가 타당한 것인지는 잘 모르겠지만, 이번 합의로 AOL이 (형식적으로) 반-MS 진영으로부터 이탈하게 되는 것이 앞으로 어떤 의미를 가질지 궁금합니다.

브라우저, 미디어플레이어, 메신저 등의 분야에서 MS 독점률을 어느 정도 저지해주어왔던 역할에 변화가 생길 것 같군요.

[url]http://mobile.ine

RisaPapa의 이미지

TinyWin 98 - Windows 98을16MB로 극소화

참고URL: http://pcweb.mycom.co.jp/news/2003/05/28/10.html
번역:RisaPapa

Embedded-Ware는, 각종OS와 어플리케이션소프트 사이즈를 크게 압축 경량화하는 "TinyWin" 기술연구를 진행하고 있다. Windows 98을 16MB에 수록한 "TinyWin 98 Development Suite" 베타버전을 발표해 각 메이커로 출하가 시작되었다.

TinyWin 98 Development Suite는 용량이 16MB의 플래쉬 디스크(플래쉬 메모리)에 Windows 98를 수록할 수가 있어 고속으로 기동이 가능하다. 어플리케이션 소프트도 동시에 경량화할 수가 있고, 필요한 하드웨어 조건도, 초기의 Windows CE 디바이스와 동등해 지기 때문에 새로운 개념의 저가격 제품개발이 가능하다고 한다. OS 전체를 메인 메모리에 수용한다고 한다면, 더욱더 빠르게 작동할 것이고 Windows CE와 같은 인스턴트 ON/OFF기능도 장착되어 있다.

siabard의 이미지

Novell, UNIX System V 권리는 우리것.

원문 : http://slashdot.org/articles/03/05/28/1252229.shtml?tid=123&tid=130&tid=185&tid=190&tid=99

Novell이 보도자료을 통해 Unix System V의 지적 재산권과 특허를 소유하고 있는 것은 SCO가 아니라 자사라고 밝혔습니다. 현재 Linux Kernel과 GNU/Linux 배포본에 대해서 지적 재산권을 침해를 들고나온 SCO에게는 상당히 부담이 되는 사안이 아닐 수 없습니다.

Novell측은 지난 1995년, SCO와 채결했던 계약은 Unix 시스템을 개발, 판매, sub-license할 수 있는 License 계약이었지 실제 Unix에 대한 권리전부를 양도한 것은 아니라고 밝혔습니다.

pynoos의 이미지

시각 장애 딛고, 스타크래프트 즐긴다

아직도 관심 많죠? :)

http://www.ohmynews.com/article_view.asp?menu=c10600&no=114441&rel%5Fno=1&back%5Furl=

시각 장애 딛고, 스타크래프트 즐긴다
시각장애인 이민식 군 등, 프로게이머와 한판

소성렬 기자

지난 23일 서울 신림동에 있는 게임 개발사 한빛소프트 사무실에서는 이색 '스타크래프트' 대회 두 경기가 펼쳐졌다.

프로게이머 박정석 선수와 이민식(16 )군의 경기, 역시 박정석 선수와 박민수(18 )군의 경기가 그 것이었다. 이날 열린 경기에서 박정석 선수의 상대로 나선 이군과 박군의 실력은 얼핏보기에 프로게이머를 꿈꾸는 청소년들임이 분명했다.

cjh의 이미지

[일본] 일본제 오픈소스는 겨우 42개?

/.-J발 뉴스입니다.
http://slashdot.jp/articles/03/05/23/0638238.shtml?topic=104
http://www.zdnet.co.jp/enterprise/0305/22/epn07.html

일본에서 열린 LinuxWorld Expo/Tokyo 2003에서 경제생산성의 구메씨가 리눅스와 오픈 소스에 대해서 강연한 것이 /.-J에서 화제가 되고 있습니다. "프로세스로서 연속되는 것이 오픈 소스의 특징이다"라는 내용 이외에 일본 해커들을 의아하게 만든 것은 "일본에서 나온 오픈 소스는 겨우 42건"이라는 내용입니다. 이것은 일본의 오픈 소스 현황을 이야기하면서 나온 내용인데, 그 전에는 "더욱 심각한 것은 OS와 마찬가지로 오픈 소스 계에서 있어서도 외국에 의존한다는 점으로, 일본의 개발방침으로 리더쉽을 얻은 경우가 매우 적다는 것이다. 비교적 국내에서 활동이 많은 FreeBSD에서도 겨우 12%정도에 머무르고 있다. 일본에서의 방침이, 즉 직접 오픈 소스에 반영되는 결정권이 얻어지지 않고 있다"라는 더더욱 이상한 이야기를 하고 있습니다.

cjh의 이미지

OS/2는 살아있다; eComStation 1.1 영문판 발표

/. JP에서의 소식입니다. http://slashdot.jp/articles/03/05/24/1149242.shtml?topic=104

작년 11월 릴리즈 예정이었던 Serenity Systems의 eComStation 1.1 영문판이 정식 발표되었다 합니다. 내용상으로는 OS/2 Warp4 컨비니언스 패키지 2(CP2)의 Refresh판에 FixPak 3을 적용한 것을 기반으로 새로운 인스톨러와 100개의 가상 데스크탑을 지원하는 eWorkplace라 불리는 워크플레이스 쉘의 확장판과 최신의 USB지원 등이 포함되어 있다고 합니다.
또한 OpenWatcom 1.0(컴파일러겠죠)와 Innotek의 OS/2 Kit for Java도 포함되어 있다고 합니다.

siabard의 이미지

Microsoft의 새로운 언어 F#

ExtreamTechInside Microsoft's New F# Language 이라는 기사가 올라왔습니다.

Microsoft에서 새로운 언어를 연구하고 있군요. F#이라고 이름이 결정된 것 같군요. 여기서 F는 Functional을 뜻하는 것 같습니다. 제가 이쪽언어에 대해서는 문외한이기때문에 자세한 것을 말씀드리지는 못하고, 혹시 잘 아시는 분이 계시다면 F#은 Ocaml에 .Net지원을 결합한 것이라고 설명하면 되려나 모르겠습니다.

페이지

뉴스, 새소식 구독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