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새소식

fairly의 이미지

다국적기업, SW 스트리밍 기술도 국적 차별?

윤대원기자@전자신문, yun1972@etnews.co.kr wrote:

미국의 대표적인 SW스트리밍 업체가 국내 시장에 상륙, 본격적인 사업에 나섰지만 정작 같은 사업을 벌이고 있는 국내 업체는 저작권사인 다국적 기업들의 반발로 경영난에 봉착, 해외 매각이 추진되는 어이없는 상황이 벌어지고 있다.

http://www.etnews.co.kr/news/detail.html?id=200508250215&keyword=z%BD%BA%C6%AE%B8%B2
저희 회사도 Thin client 도입을 계획하고 있어서 소프트웨어 라이센스
문제에 관심이 많습니다. 그래서인지 8.26일자 전자신문에 게재된 기사가 눈에 띄더군요.
bluedog9의 이미지

install DVD사용법 나온곳좀 알려 주세여

대부분 글들이 vmware img를 사용 하는방법 이네요. DVD에 patch 적용하는 방법 나와 있는곳좀 알려주세요 ^^

서지훈의 이미지

한글 구글 블로그

http://googlekoreablog.blogspot.com/
구글 본사 탐방기와 구글에 좀더 가까워 질수 있는 정보등 여러가지 정보가 있군요.

[ 주의 ] 이 글을 읽다 보면 살살 아랫배가 아파옵니다.

<어떠한 역경에도 굴하지 않는 '하양 지훈'>

jeongkyu의 이미지

구글이 IM 서비스를 시작하나 봅니다. :-)

Slashdot에 올라온 글을 읽고 시도해 보았는데 접속이 잘 되는 것으로 보아 서비스가 이미 가동 중 인 것 같습니다.
http://www.smashsworld.com/2005/08/im-on-google-talk-right-now.php
(참고로, 윈도우에서 Gaim Jabber 모듈으로는 에러가 뜨는데, Exodus 를 이용하니 접속이 잘 됩니다.)

글에 의하면 내일 정식으로 서비스를 발표한다고 합니다. 서비스는 Jabber 서버인데 구글이 클라이언트를 직접 작성하여 배포하는 지가 무척 궁금하네요. :-)

(방화벽에서 나가는 5222 번 포트가 열려있어야 접속이 됩니다.)

aNsITAte의 이미지

RSS moving to third release

http://www.theregister.co.uk/2005/08/18/third_rss/

http://www.rss3.org/main.html

With a debate unfolding over what Microsoft plans to call its first implementation of RSS, the industry has moved a step closer to a third, full XML version of the popular web publishing technology.

The first public draft of the Really Simple Syndication (RSS) 3 Lite specification was released for review and comment on Thursday. RSS 3 Lite is designed as an "efficient" and "succinct" form of RSS that is meant for aggregators who need just a small amount of metadata to describe a link.

RSS Lite 3 works by removing features that are considered "irrelevant" to low-end clients. These features have either been removed entirely or made a part of the RSS 3.0 Full specification, which has yet to be released as a first public draft.

송효진의 이미지

토발즈, 리눅스 상표권 주장으로 '집중포화'

http://www.inews24.com/php/news_view.php?g_serial=166493&g_menu=020600

Quote:
리눅스 창시자인 리누스 토발즈가 리눅스 상표권을 주장해 오픈소스 공동체로부터 집중 포화를 받고 있다고 C넷이 22일(현지 시간) 보도했다.

지난 달 토발즈 측의 변호사는 오스트레일리아 지역 90개 회사에 앞으로 리눅스 상표를 사용할 때는 리눅스 마크 연구소(Linux Mark Institute)로부터 라이선스를 구입하라고 통보했다. 리눅스 마크 연구소는 리눅스 상표권 라이선스를 보유하고 있는 비영리 조직이다.

다크슈테펜의 이미지

일본 네이버 폐쇄

네이버 제펜은 포털 사이트 네이버를 8월31일에 폐쇠한다 메인 서비스 였던 네이버 블러그가 소셜네트워킹사이트 쿠루루로 이동하여 그 역활이 종료됐다고 판단 함에 따른 결과 이다.

네이버는 2000년에 시작 검색 서비스 네이버 검색과 Q&A사이트 지식 플러스 네이버 블러그등을 이용할수 있었지만 검색은 올해 1월에 종료 지식 플러스는 네이버 게임 포털 한게임으로 이동하였고 블러그도 갱신불능에 봉착 쿠루루로의 이행을 촉진했다.

쿠루루로 이동하지 않은 네이버 블러그 유저의 8월31일 이후 이행방법은 쿠루루 사이트상에서 안내한다.

페이지

뉴스, 새소식 구독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