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유 게시판

gitae71의 이미지

티스토리 초대장을 받고싶습니다..

여기저기 찾아다니다가 결국 못구하고 이곳까지..ㅠ
티스토리를 이용하고 싶은데 초대장 남으시는 분 혹시 계시다면 좀 부탁드립니다.
gitae71@hotmail.com

bckddn의 이미지

IAMROOT.ORG에서 2012년도 스터디 멤버를 모집합니다.

IAMROOT.ORG에서 2012년도 스터디 멤버를 모집합니다.
모집 스터디는 다음과 같습니다.
이번에는 대전 지역도 함께 모집 하니 관심 있으신 분들의 많은 참여 부탁드립니다.

스터디 모집 분야

===================================================
〔Linux Kernel Source 분석 9차 (x86_64 SMP)〕
- 시작일 : 2012년 4월 7일 오후 3시
- 대상 : 관심있는 사람 누구나
- 시간 : 매주 토요일 오후 3시 ~ 오후 10시 30분
- 장소 : 상암 누리꿈스퀘어 비즈니스타워 4층 대회의실

http://ko.wikipedia.org/wiki/%EB%88%84%EB%A6%AC%EA%BF%88%EC%8A%A4%ED%80%98%EC%96%B4

마잇의 이미지

[건의] 게시판 볼 때 특정 사용자의 글, 댓글 안보이는 설정이 가능 할까요?

드루팔을 사용하는 것으로 알고 있는데 그런 기능이 있는지 모르겠네요.

그런 기능이 있고 다른 문제가 없다면 사용할 수 있게 부탁 드립니다.

규칙 위반 까지는 아닌데 고정적으로 쓸데없는 글을 올리는 분들이 좀 있어서 귀찮네요.

cleansugar의 이미지

네이버 뉴스의 사소한 버그를 찾았습니다

이적 "내가 하면 '이적표현'이라 자제했지만..."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6&oid=047&aid=0001996511

네이버 뉴스의 사소한 버그를 찾았습니다.

오마이뉴스에서 HTML로 된 기사를 가져올 때 문법 검사를 안하는 걸까요?

이걸로 신문사가 네이버에 불만이 있으면 시위를 할 수 있을 겁니다.

gostis의 이미지

CUDA or OpenCL 로 할만한 프로젝트가 있을까요?

최근에 해당 주제로 뭔가 보여줘야할 상황이 생겼는데
단순히 계산하는거 보여주기엔 좀 그렇고
3개월정도 짜리 프로젝트로 할만한게 있을까요?
아무리 생각해도 시뮬레이션이나 헤비데이터 처리하는것 밖에 생각이 안나네요. ㅠㅠ

poteito의 이미지

데이터를 반영구적으로 보존하려면?

사진이나 동영상같은 파일을 반영구적으로 보존하려면 어떤 저장장치가 가장 좋을까요?
디지털로 찍은 사진을 수십년 뒤까지 안전하게 보관하고 싶어요.
예전에 디지털 자료의 수명이 대부분 10여년을 못 넘긴다는 기사를 본 적이 있어서 가장 오래 가는 저장장치는 어떤게 있는지 궁금하네요.
읽고 쓰고 자주 사용하는게 아니라 한 번 쓰고 가끔 읽어보는 용도로 어떤게 좋을까요?
대략 100년정도면 한 평생 보기에 충분할 것 같은데..
떠오르는게 HDD, CD, DVD, SSD, FLASH.. 정도가 있는데 어느게 가장 나을까요?

cleansugar의 이미지

C:\Documents and Settings\user\Recent\연예가.lnk 공직윤리지원관실와 경찰이 연예인 사찰했다니?

정부가 한심하게 연예인 감시나 하냐고 떠들던 사람들이 있었는데, 순진한 건지 약은 건지 궁금했습니다.

건강보험관련 공무원이 연예인 기록을 뒤졌다고 논란이 된 적도 있죠.

총리실 이어 경찰까지 동원해 ‘현정부 비판 연예인’ 뒷조사
http://news.naver.com/main/hotissue/read.nhn?mid=hot&sid1=100&cid=516086&iid=462733&oid=081&aid=0002269626&ptype=011

이 기사에 최근 문서 로그가 나오는데 이게 어디서 나온 건지 궁금합니다.

그리고 0130번으로 시작하는 휴대폰을 썼다고 합니다.

jw8704의 이미지

impulse 신호와 impulse response 를 실제로 확인해보고싶습니다..

안녕하세요

학교에서 이론적으로 impulse 신호와 impulse response 에 대해서 다루는 내용을 들었습니다.

그런데 실제로 오실로스코프와 간단한 회로를 이용해서 , 회로의 입력으로 impulse 를 주고 그 신호에 대한 결과인 impulse response 를 오실로스코프를 이용해서 확인해보고싶은데요

사실 어떤 회로를 만들고 , 그회로에 impulse 를 인가한다는것이 어떤것을 의미하는지..

또 , impulse response 가 나오면 그걸갖고 그것이 정류회로인지 , 혹은 증폭회로인지 혹은 어떤 회로인지..

이런것을 아는것이 가능한지.. 등등 하나씩 해보고싶습니다.

간단한것부터 시작해보고싶은에 어떠한 방법이있을까요?

조언부탁드립니다.

안녕히계세요.

jaeyeun97의 이미지

클라우드를 같이 만들어갈 개발자 분을 구합니다.

현재 있는 모든 클라우드는 기업이나 전문가를 위한 것이였습니다.

그래서 클라우드의 혜택을 모두에게 드리기 위해서, 모두를 위한 클라우드, 정말 쉬운 클라우드를 만들고자 합니다.

하지만 클라우드는 제가 혼자 만들어 나가기에는 너무 크고 벅찬 일입니다.

따라서 C++ Daemon 개발, Python C 플러그인 개발, Python 개발, 웹 디자인/프로그래밍, Node.js 개발, Java 개발, Openstack, Xen Hypervisor, 서버 관리, 보안 관리, 경영 등의 분야에서 저희를 도와주실 수 있는 분을 구하고,

저희( 현재 중학교 3학년)와 부담없이 소통하고 만들어 가실수 있는 분을 구합니다.

열정에는 보상이 있어야겠지요. 보상은 스톡옵션과 인센티브로 제공될 예정입니다.

읽어 주셔서 감사합니다.

mapoo의 이미지

DNS 서버

a

페이지

자유 게시판 구독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