설치 및 활용 QnA

ki_style의 이미지

redhat에서 df 결과 값을 보면 Used + Available 값과 Total Size 값이 다르네요??

Red Hat 5.5~5.8, 6.1 등을 사용하고 있습니다.

무심코 df -h 명령어를 쳐 봤는데요...

결과 값이 이상해서요 ;;;;

zamjaja의 이미지

"glib-compile-schemas not found" 이 뜨면서 ./cofigure 가 중단됩니다

제가요 centos 6.2 를 깔았습니다
설치한지는요 5일정도 된거 같아요
그런데 awesome 이라는 타일링 윈도우 매니저를 써보고 싶어서
여러가지 오픈소스 패키지를 설치하고 있습니다

그런데 이상합니다 해당파일이 설치가 되어있음에도 불구하구 에러를 뿜어댑니다
10개의 패키중에서 반절정도는 에러를 뿜어냅니다 패키지를 찾을수 없다고도 나오고요
그중에서도 제가 제일 힘들어 하고 있는게 있습니다
./configure 를 실행하면 "glib-compile-schemas not found"
라고 나오면서 더이상 설치를 진행할수 없습니다 make 파일이 만들어져야 하는데 에러가 나서
만들어지지 않고 있는 상황입니다

저좀 구해주실분 안계신가요 구글에서 찾아봐도 뭔소린지 모르겠구요
몇일동안 찾다가 찾다가 질문을 올리게 되었습니다
리눅스는 사용한지 몇일 안되었습니다

kmti212의 이미지

무선 핫스팟

많이 거론될듯한 문제일것 같았지만 원하는 답을 찾지못해 질문드립니다.
윈도우경우 Connectify Hotspot으로 쉽게
Wireless -> 노트북 -> Wireless
혹은
Wireless -> 노트북 -> Wired
이 가능한데

우분투12.04 에서도 가능한지 알고 싶습니다.
가상장치 생성이 가능하면 될거같기도하고 불가능할 것 같기도하고...

그리고 애드훅 방식이이아닌 유선에서 무선으로 일반공유기 처럼 AP역활이 가능한지 알고싶습니다.

참고로 무선랜은 마스따모드가 지원되는 랄링크 제품입니다.

japanox의 이미지

gentoo 설치중 /boot/grub/grub.conf가 존재하지 않습니다.

1. /boot파티션 따로 지정해서 마운트 시키고 gentoo.org 핸드북에 나온데로 따라하고있는데요
/boot/에 보면 grub이라는 디렉터리가 따로 없습니다. 그때문에 grub.conf도 없구요..
find / -name해서 찾아봤는데 grub.conf가 없네요...어느작업에서 grub 디렉터리가 생성되는지 알고싶습니다.

설치는 http://www.gentoo.org/doc/en/gentoo-x86-quickinstall.xml#doc_chap2 따라하고 있습니다.

2. grub.conf파일이 없어서인지 grub이라는 명령어를 치면 없는 명령어라고 나옵니다. 해결방법을 알려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ylkmin의 이미지

[질문] Home 디렉토리에 was 및 app를 설치하는 이유가 있는지?

최근 공공사업을 하다 보면, redhat이나, hp등 unix 서버에 was,web등 app 를 home 이항 설치된것을 많이 봅니다.

특별한 이유가 있는 것인지????

home은 user 디렉토리 라고 일고 있는데.....

mrcypark의 이미지

삼바 파일 서버 설치 후 윈도우 비스타에서 검색해보니 검색이 안되고요 맥에서는 네트웍 이름은 뜨는데 접속이 fail 되네요 설정은 내용과 같습니다. 어떻게 해야할까요?

공유기의 135, 137, 138번 udp 포트와 139, 445 tcp 포트를 열어주었고요

sudo gedit /etc/samba/smb.conf &
security = user 이부분 #제거
맨끝부분에 다음을 추가
[share]
comment = Ubuntu File Server Share
path = /srv/samba/share
browable = yes
guest ok = yes
read only = no
create mask = 0755
만약 홈폴더 외에 공유 설정이 되지 않으면 [global] 밑에 다음줄을 첨가
usershare owner only = false
sudo gedit /etc/init/nmbd.conf & 에서 다음 줄을 파운(#)함
# NMBD_DISABLED=’testp.........
#[ “x$NMBD_DISABLED” = …......
sudo restart smbd
sudo restart nmbd

ngh1262의 이미지

파일전송 속도를 올리려고 합니다...

우선 삼바를 쓰고있는중인데 기가비트랜구성에 초당속도가 20메가까지 나오고있습니다.

(순간속도라서 점점 떨어져서 5메가까지도 나오더군요;;;)

그래서 지금 생각한것이 2개가 있는데

1. 본딩을 한다.

현재 서버에 광랜카드가 2개 꼽혀있는데 지금은 하나만 쓰고있는 상황입니다.

검색을 해보니깐 본딩을 하게 되면 대역폭이 늘어나 속도가 좀 더 난다고 알고있습니다.

(예전 서버 이전하기 전에는 광랜카드가 두개 꼽혀있었는데 뭣도 모르고 지금은 하나밖에 안꼽았네요 ㅎ;;;;)

2. FTP서버를 돌린다.

상대적으로 삼바보다는 FTP서버가 빠르다고 해서 삼바와 FTP를 같이 운영을 할까 생각중입니다.

NFS라는 것도 있다는걸 알고있는데 테스트용으로 이것저것 해 볼 생각입니다.

현재 서버에 접속하려는 PC는 대부분 윈도우 계열입니다.

혹시 이중에 나은 방법이 뭐가 있을지, 아님 해결방안같은게 있는 분들의 조언 부탁드리겠습니다 (__)

narshyas2의 이미지

메일서버 사용자 계정 추가 관련 질문드려요

안녕하세요,

다름이 아니라 메일서버 사용자 계정에 관하여 질문드리고자 합니다.
기존에 전체 그룹을 설정하여서
all@abc.com 이런식으로 전체메일을 보내곤 했는데요

all이라는 전체계정에
new라는 신규사용자가 추가하고 싶습니다.
new라는 사용자의 이메일이 new@gmail.com 이라고 할때
어떻게 연동해야할까요 ㅜㅜ

OS는 CentOS에 sendmail을 사용하고 있습니다.

나그네나그네의 이미지

Windows 7에서 page caching 끄기.

Windows 7에서 특정 프로그램 성능 테스트를 위해서 page caching을 끄고자 합니다.

Windows 7에서 page caching을 끌 수 있는 방법이 있는가요?

페이지

설치 및 활용 QnA 구독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