설치 및 활용 QnA

김충길의 이미지

SQL 슬래머 재현 관련 질문..

현재 임의로 네트웍을 구성하여 SQL 감염을 재현해 보고 있는중입니다.

단순히 내부망 211.3.100.xxx 를 구성하여
SQL 서버 2대를 설치하고 공격자 컴퓨터, 트래픽 분석 컴퓨터, DNS 서버 한대
이렇게 덤미 허브로 구성이 되어 있습니다.

공격자컴에서 SQL 서버 1으로 직접 공격을 날리면 1차 감염이 이루어집니다.
이후 1차 감염된 컴퓨터는 계속 멀티캐스팅 주소로 감염 패킷을 날리더군요
헌데 이 패킷으로부터 SQL 서버 2가 감염이 이루어지지 않고 있는데

무혼인형의 이미지

NETDEV WATCHDOG: eth0: transmit timed out 이 어떤 에러죠

제 장비로의 네트웍 연결이 잘 안되길레 어렵게 터미널로 들어가서 보니까
CPU부하가 너무 커서..(telnetd가 99.9%를 점유하고 있더군요) 재부팅을 했습니다.

그런데 그 이후로

Quote:
Feb 17 23:07:07 main kernel: NETDEV WATCHDOG: eth0: transmit timed out
Feb 17 23:07:07 main kernel: eth0: Setting 100mbps full-duplex based on auto-negotiated partner ability 45e1.

messages 로그에 이런 것이 1분에 두세개 계속 나오고 있네요..

이게 어떤 의미 인가요?

ps> 검색엔진에서 watchdog찾으면 유해정소 차단만 잔득 나오는데..

seeker의 이미지

find로 현재 디렉토리에 한해 찾기

find . -name '*c'같이 하면
현디렉토리 이하 모든 서브디렉토리를 검색하는데
오직 현재디렉토리에서만 찾으려면
어떻케 하면되는지요?

-prune 또는 -depth를 이용하면 될것같은데
잘 모르겠네요.

GTksjun의 이미지

^^ 질문입니다. 네트웍쪽인데 답변 부탁드릴께요

똑같은 mac주소와 똑같은 IP주소와 같은 게이트웨이 ,DNS 를 가진 컴이 같은 네트웍하에 두대가 있다면. 둘다 인터넷이 안되나요 ^^?
지금 저의 집에 케이블 모뎀 밑으로 더미허브 하나가 달려있고 그 밑에 윈도우 머신하고 리눅스 머신이 있답니다..
리눅스 머신을 조정해서 윈도우 머신의 맥주소로 바인딩을 시켰고 IP 주소등은
윈도우 머신이 DHCP로 받아온 IP와 똑같이 세팅했습니다. 이렇게 하니까...
둘다 인터넷이 안되네요 ^^;;

ps 저의 목적은 IP공유기를 안사고 어케하면 두대를 인터넷을 사용할수 있을까 하는 것입니다.

purewell의 이미지

랜 카드 두 개 쓰기

일단 리눅스 박스에 랜카드가 두개 달려 있습니다.

처음에는 한 장만 잡아서 썼는데...

이런 것이 있더군요...

Quote:
랜카드 첫번째장은 input만,
두번째장은 output만 하게해서 선로 부하량을 줄일 수 있다

이거 이런 기술(?)의 정확한 용어는 뭐라고 하며,

어떻게 구현해야 하나요????

jjjjrr의 이미지

네임서버 BIND를 윈도우즈에서 사용하고싶읍니다

안녕하세요
네임서버 BIND를 윈도우즈에서 사용하고싶읍니다
설치는 했는데여
부트파일과 존 파일은 어디에 위치하나요
셋팅하는방법좀 갈켜주세요
부탁합니다

maddog의 이미지

네임데몬의 CPU 점유율이 99%를 넘나드는데요...?

어떻게 버벅대면서 named를 설치했습니다. 그럭저럭 설치하고 돌리다가
별 생각없이 top을 봤더니... -.-; named가 99.99%의 점유율을 자랑하고
있더라구요. 이게 뭔 일입니까?

검색해봤더니 똑같은 증상이 있던 분이 있는데 정확한 원인은 없더라구요.
그냥 제대로 설정했으면 그럴리 없다... 정도밖에... -.-; 더불어 그렇게 답하신
분이 named가 root로 실행되면 보안상의 문제가 있다고 하시는데 어째서
그런가요? 그리고 그렇다면 어떻게 해야 될지요...?

contra의 이미지

파일을 지울수가 없네요..

며칠전에 우연히 zip 파일을 받아서 풀었는데 한글 파일이름이 깨져서 풀리더군요. 이름을 바꾸지도 못하고 지워지지도 않고요... 이 파일을 지우는 방법이 없을까요? 다른 한글 파일들은 아무 문제가 없었는데 이런 경우는 처음이네요...

digitie의 이미지

Blackdown JDK는 어떤건가요?

오라클 설치문서에도 종종 보이고 새소식란에도 보니 1.4.1버젼이 떴다는 이야기가 있던데 ...

JDK의 또다른 구현인가요? 아니면 리패키징인지 알 수가 없네요...

썬이나 IBM의 JDK와 비교하였을때 JDK의 기술적인 면이나 라이센스면에서 어떠한 이득이 있는지 궁금합니다.

답변 부탁드립니다.

그럼 즐거운 하루 되시길.. :)

daybreak의 이미지

SPARC Linux 에서 Solaris Binary Emulation 설정 방법

저는 Debian GNU/Linux 3.0(woody) 를 sun4u 기계에 설치해서 쓰고 있습니다.

갑자기 j2sdk 를 사용할 일이 생겼는데, 당연히 SPARC Linux 용 j2sdk 는 없고,
Solaris Binary Emulation 을 사용하면 solaris 용 프로그램을 실행할 수 있다고 들었습니다.
그런데 구체적인 설정 방법을 모릅니다.

아시는 분이 계시면 알려주세요.

페이지

설치 및 활용 QnA 구독하기